[홍보론]특정 기업의 사례를 통해 기업 PR의 중요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보론]특정 기업의 사례를 통해 기업 PR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2.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3. 매스미디어의 종류
4. 매스미디어의 기능
5. 대중문화
6. PR의 의미
7. PR의 기능
8. PR의 예
1) CASS의 발상
2) CASS의 의미
3) 로고
4) Character
5) TV CF
카스에 대해..

결론

본문내용

남자를 겨냥한 것이었다. 그리고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카스맥주가 `100% 비열처리 맥주'이며 `젊고 남성적인 맥주'로 인식시키는 데 성공했다.
한편 소비자조사 결과, 국내 맥주시장은 기존 업소 위주의 꾸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주부들이 신구매층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가정시장 공략을 위한 `키스 & 카스'편을 제작, 최민수의 캐릭터를 십분 활용, 액션영화촬영을 마친 최민수가 사랑하는 아내를 만나기 위해 집으로 달려가는 스토리 텔링 기법을 사용했다. 천편일률적인 가정용 PR의 틀을 탈피, 차별화를 선언하고 나섰다.
하지만, 여기서 살펴본 CASS PR에서는 예전의 `젊고 남성적인 맥주'보다는 가정시장 공략에 더 치중한 듯한 느낌이다. OB 라거는 유머PR에 치중하고 HITE는 암벽등반 뒤의 전원일기의 일용엄니의 반전되는 유머를 통한 PR를 하고 있는데서 뭔가 차별화를 두기 위한 전략인 것 같다. `생일'편에서 아내의 생일을 기억하지 못한 남자가 자기를 비하하는 것을 통한 PR에서는 가정에서 흔히 있는 일을 소재로 삼아서 이럴 때는 카스맥주를 마셔야 한다는 것을 은근히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흔히 있는 술자리에서 돈이 모자랄 때 역시 자주 있는 경우이다. 이때 그녀가 남몰래 지갑을 채워줄 때 감동받지 않을 남자는 없으리라. 누구나 한번쯤을 겪었을 일을 소재로 잔잔한 감동을 이끌어 내는 크리에이티브가 돋보인다.
한가지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은 요즘 시대가 시대이니만큼 가족과 연인의사랑을 PR 소재로 해서 가족간의 정,연인간의 사랑을 소재로 한 PR를 많이 하고 있는데 카스 PR는 너무 스토리에 의존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스토리상 감동은 줄 수 있지만 그 감동을 통해 카스(CASS)라는 브랜드를 상기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예를 들어 '그 남자한테 지갑주는 여자 있잖아' 하면 아는데... 반응은 '그게 카스 PR였나?' 하는 식이다. `살아가는맛, 살아있는 맛'이라는 concept중에 너무 살아가는 맛에 의존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카스PR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릴때 바로 PR를 상기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즉, 이렇게 스토리가 감동적인데도 '보통이다'라는 의견이 반응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오비라거의 경우 브랜드 최초상기율,총상기율, 브랜드 호감도 등에서 1위를 달리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PR때문이다. 다른 부분에서는 카스가 뒤질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랄랄라~ 오 비 라 거... 라는 copy로 코믹한 스토리이면서도 브랜드를 강조하고 있지 않았는가? 브랜드 인지도를 상승시킬수 있는 PR전략도 고려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지금의 카스PR는 기존의 `살아가는 맛'에 초점을 맞추다가 젊은 인기연예인 송승헌을 등장시킨 PR가 방영되고 있다. 살아있는 연어를 카스맥주에 비교하여 `살아있는 맛'에 초점을 맞춘 PR인 것같다.
다른 경쟁 회사의 PR도 전략을 달리한 PR가 나오고있지만 카스의 시리즈 PR가 나오는 당시의 PR로 비교를 해 보았다.
결 론
매스미디어를 통한 PR활동은 경제의 대중화에 공헌하였다. 매스미디어가 효과적인 PR매체로 각광받아 널리 이용됨으로써 대량소비 및 대량생산의 시대가 막을 올리게 되었고 일반대중은 마침내 소비자로서의 위치를 점하게 되었던 것이다.
PR는 현대 산업사회에서 가장 왕성하게 소비되는 대중문화현상의 하나이다.
이것은 우리에게 대량생산되는 상품을 대량판매함으로써 대량소비를 가능케 하는 물질적 소비문화를 창출해 내지만 상품 이외에도 기호를 판매한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의 대중문화를 만들어낸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부와 지위를 상징하는 기호표현이 되며 나를 다른 사람과 구분시켜 줌으로써 나를 말해 주는 기호내용이 된다. 그 기능에 사실상 커다란 차이가 없는 소비상품들 중에서 굳이 다른 상표가 아닌 바로 그 상표의 상품을 산다는 것은, 우리가 상품 자체의 기능보다도 그것이 표방하는 기호를 구매하고 소비한다는 직접적 증거인 셈이다. 우리는 상품의 실질적 내용물이 아닌 상품의 이미지를 구입하고 소비하는 셈이다.
우리가 특정한 상표의 상품을 구입한다는 것은 상품의 이미지(기호)와 자신을 교환한다는 것을 말한다. PR는, 김민종이 되고 싶고 최진실이 되고 싶은 우리의 욕망을 자극하고, 얼마든지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설득한다. PR는 항상 우리에게 무엇인가 결핍되어 있는 듯 느끼게 만듦으로써 우리를 유혹한다.
뉴 밀레니엄시대는 영상문화의 시대가 될 것이다. 70년대가 문학의 시대, 80년대가 사회 과학의 시대, 90년대가 문화의 시대였다면 2천년대의 첫 10년간은 영상문화가 한 시대를 풍미하게 될 것이다.
지금도 여전히 상품을 팔기 위해 PR비를 지출하고는 있지만 뉴 밀레니엄시대의 소비자들은 PR 그 자체를 즐긴다. 우연히 PR를 보기보다는 세심히 PR를 보려 한다.
이에 PR는 PR의 본래적인 목적은 은밀하게 숨긴 채 문화생산자 및 유포자로서의 역할을 하면서 지금보다 훨씬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
각주*******************
각주1)Robert Guerin, Les Francais naiment la Publicite, 1957, p.1
각주2)PR정보, 1998년 3월호, p. 39
각주3)PR와 대중소비문화, 스튜어트 유엔, 나남, p.6
각주4)매스미디어와 사회, 최정호외 3명, 나남, p.21
각주5)매스미디어와 사회, 최정호외 3명, 나남, p.325-326
각주6)현대PR의 이해, 조병량외, 나남, p.17
각주7)매스미디어와 사회, 최정호외 3명, 나남, p.276
각주8)카스홈페이지, http://www.cass.co.kr/
< 참고문헌 >
PR와 대중소비문화, 스튜어트 유엔, 나남
매스미디어와 사회, 최정호,강현두,오택섭 공저, 나남
현대PR의 이해, 조병량외, 나남
PR의 기호학, 주디스 윌리암슨, 나남
Robert Gu rin, Les Fran ais n iment la Publicit ,1957
PR정보, 1998년 3월호
월간 애드버타이징, 1999년 3월호
카스홈페이지, http://www.cass.co.kr/
  • 가격3,8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9.11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