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머리말
Ⅱ.본론
1.신화의 정의와 기원
2.중국 신화의 이해
3.중국의 창세신화
4.중국의 삼황오제 시대-사기(史記)를 중심으로
5.중국 신화와 중국 민속의 날
6.중국 신화와 청동기문화-상주(商周)시대를 중심으로
Ⅲ.맺음말
Ⅱ.본론
1.신화의 정의와 기원
2.중국 신화의 이해
3.중국의 창세신화
4.중국의 삼황오제 시대-사기(史記)를 중심으로
5.중국 신화와 중국 민속의 날
6.중국 신화와 청동기문화-상주(商周)시대를 중심으로
Ⅲ.맺음말
본문내용
성인의 덕을 갖추고 있었다. 그는 문자를 만들고, 사냥법 등을 가르쳤다. 이에 백성들 모두 그에게 복속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그를 ‘엎드릴 복(伏)’자를 써서 복희씨라 부르게 되었다. 복희씨의 뒤를 이어 천자에 오른 사람은 여와씨로, 그 또한 뱀의 몸에 사람의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여와씨가 죽자 신농씨가 왕위에 올랐는데, 그는 염제라고도 불렸으며 사람의 몸과 소의 머리를 가지고 있었다. 보습을 만들고, 농기구 사용법을 백성들에게 알려 농경의 방법을 가르쳤다. 그리하여 그를 신농(神農)씨라 부르게 되었다. 신농씨 이후 약 80대 530여년 만에 헌원씨가 일어나게 되었다.
(2) 오제시대
신농씨 자손들의 덕이 쇠하여 제후들은 서로 침탈을 일삼고 백성들은 살기가 어려워졌다. 그러나 신농씨는 그들을 다스릴 능력이 없었고, 이때 헌원(軒轅)이 무기 사용법을 익혀 신농씨에게 조공을 바치지 않는 제후들을 토벌하였다. 이에 제후들은 모두 헌원하게 복종하게 되었는데, 치우(蚩尤)라는 자는 끝까지 저항하였다. 헌원과 치우는 ‘탁록의 들판’에서 맞대결하게 되었고, 이 싸움에서 헌원은 치우를 잡아 죽이게 된다. 이로써 제후들 모두가 헌원씨를 천제로 추대하여 곧 황제가 되었다. 황제는 백성들이 살기 좋도록 천하를 다스렸다. 그는 탁록산 아래 임시로 도읍을 정하고, 정작 본인은 일정한 거처 없이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며 주둔지마다 병영을 지어 방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황제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둘째아들 창의의 아들인 전욱 고양이 즉위하였다. 깊이 있고 뛰어난 지혜를 가지고 만사에 능통한 전욱 고양은 토지를 골라 오곡을 번식시키고, 사계절의 행사를 행하였으며, 백성을 교화시키고 제사를 행하였다. 또한 나라의 영토를 확장하였고, 만물의 신들 또한 그의 덕에 복종하였다. 전욱의 뒤를 이은 사람은 그의 아들 궁선이 아니라 황제의 첫째아들 현효의 손자인 고신이었다. 제곡 고신은 널리 덕을 베풀어 만물에 이로움을 주고 자신의 이익은 조금도 탐하지 않았다. 그는 역서(曆書)를 만들었으며, 귀신의 권위를 밝혀 공경하고 섬겼고, 천시에 따라 움직이며 검약하였다. 제곡이 죽자 그의 아들 지가 즉위 하였으나 덕과 공이 적었고, 그가 죽자 아우 방훈이 즉위하였다. 방훈은 제요(帝堯), 즉 요임금이다. 요제는 덕이 높고 지혜로워 사람들은 그를 우러러 보았다. 그는 농업에 필요한 시기를 백성들에게 가르치고, 해 뜨는 시각을 알려 농사짓는 시기를 알려주었다. 1년을 366일로 정하고 3년에 한 번 윤달을 둔 것도 요임금 시대의 일이다. 요임금이 후계자를 고르게 되었는데 여러 신하들이 적자인 단주를 추천하였으나 단주의 인물됨을 아는 요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지위의 고하에 관계없이 훌륭한 인물을 찾아오게 하였다. 한 신하가 기주 출신으로 장님의 아들인 순을 추천하였는데, 순은 효성과 우애가 지극한 자였다. 그의 아버지는 후처에게서 얻은 상이라는 아들을 편애하여 순을 없앨 기회만 노리고 있었다. 순의 행실을 관찰하기 위해 요임금은 두 딸을 그에게 시집보내어 그의 사람됨을 평가하였다. 순의 어진 모습을 알게 된 요는 그에게 포상을 내렸는데, 이를 탐한 순의 아버지와 이복동생은 그를 없앨 계책을 꾸미고 순을 곤경에 빠뜨렸다. 죽을 고비를 두 번이나 넘긴 순은 아버지와 동생의 의도를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후로도 정성으로 아버지를 섬기고 동생을 사랑하였다. 순은 요임금이 시험삼아 내린 벼슬에 맡은 바 일도 훌륭히 해냈다. 어느 날 큰 산기슭에서 매서운 바람과 천둥 번개가 온 하늘을 뒤덮는 상황에서도 순은 침착하게 집으로 잘 돌아왔다. 이를 본 요임금은 순을 후계자로 확신하게 되었다. 이로써 순은 천자의 정사를 대행하게 되었다. 요임금이 세상을 떠나고 3년간의 복상이 지나자 순은 단주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남쪽으로 떠났으나, 모든 사람들이 순을 천자로 여기고 그와 같이 대했던지라, 순은 다시 천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순임금은 신하들로 하여금 농사, 교육, 법과 형벌, 산과 하천의 관리, 음악 등 각각의 임무를 담당케 하여 나라의 기틀을 확립하여 나갔다. 그 중에서도 우(禹)의 공적이 가장 컸는데, 전국 아홉 개의 산을 개간하고, 아홉 개의 호수를 통하게 했으며, 아홉 개의 강줄기를 통하게 하고 전국 구주(九州)를 확정지었다. 이는 각지의 제후와 군장들이 조공과 천자를 받드는 일을 잊지 않게 하였고, 하늘에서는 봉황까지 날아 그 시대를 찬양하였다. 순이 죽자 우가 천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고, 이로써 하(夏)나라가 개국하게 되었다.
5.중국신화와 중국민속의 날
(1) 설날을 전후한 시기의 신화와 관련된 습속
음력 12월 8일은 <납일(臘日)> 또는 <납팔(臘八)>이라고 불리며, 동물을 사냥해서 조상에게 제사를 지으며 한해를 마무리하였던 습속에서 비롯된 날이다. 팥죽을 먹는 습관은 불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석가모니가 섣달 초여드렛날에 오곡잡량죽을 만들어 굶는 백성을 살폈다고 한다. 납일 전날에 황제의 궁성에서는 <대나(大儺)>라는 의식이 거행되며, 이는 새해가 되기 전에 요괴나 잡귀, 역병들을 쫓아내기 위해 행해졌던 일종의 축역(逐疫)의식이었다. 이 의식에서 120명의 진자(子)를 뽑아 방상씨(方相氏)의 뒤를 쫓아가게 한다. 방상씨는 귀신들의 왕이며, 오른손에는 창을, 왼손에는 방패를 들고 맨앞에서 길을 인도한다. 이러한 위세에 눌려 잡귀와 역귀는 모두 도망을 쳤다고 한다. 방상씨의 뒤에 털가죽을 걸치고 뿔을 단 12가지의 괴이한 짐승들이 따라가는데 그 중의 하나가 서방천제 소호(小昊)의 아들 궁기(窮氣)이다. 서방상제 소호의 뛰어난 아들 중에 서방의 노을을 관장한 욕수(收)가 있으며, 활과 화살을 만들었던 반(般) 또한 그의 아들이다. 요(堯)임금을 도운 백익(伯益)역시 그의 후손이다. 하지만 궁기라는 자식도 있었으니 그는 이해할 수 없는 괴물 같은 짓만 골라서 하였다. 단 한 가지 좋은 일이라면 인간에게 재앙을 끼치는 고(蠱)라는 독성을 지닌 벌레를 잡아먹은 일이다. 이렇게 방상씨와 열두 동물, 120명의 진자들은 궁전을 행진하며 역귀들을 놀라게 하는 노래를 하였다. 그리고는 횃불을 피워 역귀를 대전의 문 밖으로 내
(2) 오제시대
신농씨 자손들의 덕이 쇠하여 제후들은 서로 침탈을 일삼고 백성들은 살기가 어려워졌다. 그러나 신농씨는 그들을 다스릴 능력이 없었고, 이때 헌원(軒轅)이 무기 사용법을 익혀 신농씨에게 조공을 바치지 않는 제후들을 토벌하였다. 이에 제후들은 모두 헌원하게 복종하게 되었는데, 치우(蚩尤)라는 자는 끝까지 저항하였다. 헌원과 치우는 ‘탁록의 들판’에서 맞대결하게 되었고, 이 싸움에서 헌원은 치우를 잡아 죽이게 된다. 이로써 제후들 모두가 헌원씨를 천제로 추대하여 곧 황제가 되었다. 황제는 백성들이 살기 좋도록 천하를 다스렸다. 그는 탁록산 아래 임시로 도읍을 정하고, 정작 본인은 일정한 거처 없이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며 주둔지마다 병영을 지어 방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황제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둘째아들 창의의 아들인 전욱 고양이 즉위하였다. 깊이 있고 뛰어난 지혜를 가지고 만사에 능통한 전욱 고양은 토지를 골라 오곡을 번식시키고, 사계절의 행사를 행하였으며, 백성을 교화시키고 제사를 행하였다. 또한 나라의 영토를 확장하였고, 만물의 신들 또한 그의 덕에 복종하였다. 전욱의 뒤를 이은 사람은 그의 아들 궁선이 아니라 황제의 첫째아들 현효의 손자인 고신이었다. 제곡 고신은 널리 덕을 베풀어 만물에 이로움을 주고 자신의 이익은 조금도 탐하지 않았다. 그는 역서(曆書)를 만들었으며, 귀신의 권위를 밝혀 공경하고 섬겼고, 천시에 따라 움직이며 검약하였다. 제곡이 죽자 그의 아들 지가 즉위 하였으나 덕과 공이 적었고, 그가 죽자 아우 방훈이 즉위하였다. 방훈은 제요(帝堯), 즉 요임금이다. 요제는 덕이 높고 지혜로워 사람들은 그를 우러러 보았다. 그는 농업에 필요한 시기를 백성들에게 가르치고, 해 뜨는 시각을 알려 농사짓는 시기를 알려주었다. 1년을 366일로 정하고 3년에 한 번 윤달을 둔 것도 요임금 시대의 일이다. 요임금이 후계자를 고르게 되었는데 여러 신하들이 적자인 단주를 추천하였으나 단주의 인물됨을 아는 요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지위의 고하에 관계없이 훌륭한 인물을 찾아오게 하였다. 한 신하가 기주 출신으로 장님의 아들인 순을 추천하였는데, 순은 효성과 우애가 지극한 자였다. 그의 아버지는 후처에게서 얻은 상이라는 아들을 편애하여 순을 없앨 기회만 노리고 있었다. 순의 행실을 관찰하기 위해 요임금은 두 딸을 그에게 시집보내어 그의 사람됨을 평가하였다. 순의 어진 모습을 알게 된 요는 그에게 포상을 내렸는데, 이를 탐한 순의 아버지와 이복동생은 그를 없앨 계책을 꾸미고 순을 곤경에 빠뜨렸다. 죽을 고비를 두 번이나 넘긴 순은 아버지와 동생의 의도를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후로도 정성으로 아버지를 섬기고 동생을 사랑하였다. 순은 요임금이 시험삼아 내린 벼슬에 맡은 바 일도 훌륭히 해냈다. 어느 날 큰 산기슭에서 매서운 바람과 천둥 번개가 온 하늘을 뒤덮는 상황에서도 순은 침착하게 집으로 잘 돌아왔다. 이를 본 요임금은 순을 후계자로 확신하게 되었다. 이로써 순은 천자의 정사를 대행하게 되었다. 요임금이 세상을 떠나고 3년간의 복상이 지나자 순은 단주에게 왕위를 넘겨주고 남쪽으로 떠났으나, 모든 사람들이 순을 천자로 여기고 그와 같이 대했던지라, 순은 다시 천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순임금은 신하들로 하여금 농사, 교육, 법과 형벌, 산과 하천의 관리, 음악 등 각각의 임무를 담당케 하여 나라의 기틀을 확립하여 나갔다. 그 중에서도 우(禹)의 공적이 가장 컸는데, 전국 아홉 개의 산을 개간하고, 아홉 개의 호수를 통하게 했으며, 아홉 개의 강줄기를 통하게 하고 전국 구주(九州)를 확정지었다. 이는 각지의 제후와 군장들이 조공과 천자를 받드는 일을 잊지 않게 하였고, 하늘에서는 봉황까지 날아 그 시대를 찬양하였다. 순이 죽자 우가 천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고, 이로써 하(夏)나라가 개국하게 되었다.
5.중국신화와 중국민속의 날
(1) 설날을 전후한 시기의 신화와 관련된 습속
음력 12월 8일은 <납일(臘日)> 또는 <납팔(臘八)>이라고 불리며, 동물을 사냥해서 조상에게 제사를 지으며 한해를 마무리하였던 습속에서 비롯된 날이다. 팥죽을 먹는 습관은 불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석가모니가 섣달 초여드렛날에 오곡잡량죽을 만들어 굶는 백성을 살폈다고 한다. 납일 전날에 황제의 궁성에서는 <대나(大儺)>라는 의식이 거행되며, 이는 새해가 되기 전에 요괴나 잡귀, 역병들을 쫓아내기 위해 행해졌던 일종의 축역(逐疫)의식이었다. 이 의식에서 120명의 진자(子)를 뽑아 방상씨(方相氏)의 뒤를 쫓아가게 한다. 방상씨는 귀신들의 왕이며, 오른손에는 창을, 왼손에는 방패를 들고 맨앞에서 길을 인도한다. 이러한 위세에 눌려 잡귀와 역귀는 모두 도망을 쳤다고 한다. 방상씨의 뒤에 털가죽을 걸치고 뿔을 단 12가지의 괴이한 짐승들이 따라가는데 그 중의 하나가 서방천제 소호(小昊)의 아들 궁기(窮氣)이다. 서방상제 소호의 뛰어난 아들 중에 서방의 노을을 관장한 욕수(收)가 있으며, 활과 화살을 만들었던 반(般) 또한 그의 아들이다. 요(堯)임금을 도운 백익(伯益)역시 그의 후손이다. 하지만 궁기라는 자식도 있었으니 그는 이해할 수 없는 괴물 같은 짓만 골라서 하였다. 단 한 가지 좋은 일이라면 인간에게 재앙을 끼치는 고(蠱)라는 독성을 지닌 벌레를 잡아먹은 일이다. 이렇게 방상씨와 열두 동물, 120명의 진자들은 궁전을 행진하며 역귀들을 놀라게 하는 노래를 하였다. 그리고는 횃불을 피워 역귀를 대전의 문 밖으로 내
추천자료
청동기시대
그리스세계와 그 문화
세계 역사를 바꾼 유럽의 고대-중세 전쟁
<금병매>와 <홍루몽>에 나타나는 중국 성문화
[과외]고등 국사-고대사회의발전 01
중국의 과학 기술과 전통문화 (동에서 서로, 서에서 동으로 간 과학기술)
(문헌정보) 서양 도서관 문화사
(A+) 중세 이슬람 과학이 유럽 문화에 끼친 영향과 역사적 배경
[세계] 세계 문화 유산.ppt
[동아시아신화, 만족(만주족), 몽골, 티벳]동아시아신화와 만족(만주족), 동아시아신화와 몽...
동아시아의 의미,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동아시아의 정세, 동아시아의 산업정책, 동아시아의 ...
한국의 농업발달-신석기시대 농경의 시작,청동기시대 본격적인 농경생활,철기 삼국시대 생산...
자연과학개론- 특징 및 현대現代에영향을 준 문화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실크로드의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