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장치
3. 이론
4. 실험절차
5. 참고문헌
2. 실험장치
3. 이론
4. 실험절차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되었을 때, 색소액 주입밸브를 열어 관내에 색소액을 흐르게 하여 색소액의 상태를 관찰한다.
③ 유속이 적을 때 색소액은 관의 축선상에 평행하게 선상으로 흐른다.
이러한 흐름이 층류이다.
④ 유리관 내의 유속을 점차 크게 하면 색소액의 선이 흔들리게 된다.
⑤ 유속을 증가시키면 색소액은 흐트러져 관속에 충만하게 흐르게 된다. 이것이 난류이다.
⑥ ③에서 ④로 변할 때의 유량와 ⑤의 상태가 되었을 때 유량를 측정한다.
⑦ 유속을 충분히 크게 하여 난류상태를 만들어 놓고 밸브로 서서히 조절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면 어떤 점에서 흐트러진 색소 액이 일정한 한 개의 선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의 유량 를 측정한다.
⑧ 온도계로 수온을 측정한다.
⑨ ①~⑧의 과정을 여러번 반복한다.
위 과정이 끝나면, 측정치를 기록하고 유리관의 단면적과 유량으로부터 유속을 구하고, 실험 수온에 대한 동점성계수를 도표에서 찾는다.
※ 실험관로 내의 유량이 너무 급히 변하지 않도록 유량조절 밸브의 작동을 조금씩 조절한다.
5. 참고문헌
「기초수리실험법」,운용남 저, 청문각, pp136~140
「수리실험」,김운중 저, 조선대학교 출판부, pp25~30
http://ehlab.re.kr
③ 유속이 적을 때 색소액은 관의 축선상에 평행하게 선상으로 흐른다.
이러한 흐름이 층류이다.
④ 유리관 내의 유속을 점차 크게 하면 색소액의 선이 흔들리게 된다.
⑤ 유속을 증가시키면 색소액은 흐트러져 관속에 충만하게 흐르게 된다. 이것이 난류이다.
⑥ ③에서 ④로 변할 때의 유량와 ⑤의 상태가 되었을 때 유량를 측정한다.
⑦ 유속을 충분히 크게 하여 난류상태를 만들어 놓고 밸브로 서서히 조절하여 유속을 감소시키면 어떤 점에서 흐트러진 색소 액이 일정한 한 개의 선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의 유량 를 측정한다.
⑧ 온도계로 수온을 측정한다.
⑨ ①~⑧의 과정을 여러번 반복한다.
위 과정이 끝나면, 측정치를 기록하고 유리관의 단면적과 유량으로부터 유속을 구하고, 실험 수온에 대한 동점성계수를 도표에서 찾는다.
※ 실험관로 내의 유량이 너무 급히 변하지 않도록 유량조절 밸브의 작동을 조금씩 조절한다.
5. 참고문헌
「기초수리실험법」,운용남 저, 청문각, pp136~140
「수리실험」,김운중 저, 조선대학교 출판부, pp25~30
http://ehlab.re.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