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장치
3. 이론
4. 실험절차
5. 참고문헌
2. 실험장치
3. 이론
4. 실험절차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론적인 압력분포는 식4.1로부터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4.6)
수두강하량 을 후두부에서의 속도수두인 와의 비로 표시하면
(4.7)
식 4.7의 과변을 연속방정식 4.2을 사용하여 단면적의 항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4.8)
4. 실험절차
① 벤츄리미터 장치를 유체 실험대 위에 올려놓고 급수호스를 연결하고 벤츄리계 장치의 제어밸브 쪽에 연결 된 호스 끝이 계량탱크로 향하게 한 다음 4개 수평조정나사로 수평이 되도록 조정 장치한다.
② 상부 쪽에 위치한 공기 정화 밸브를 확인하고 제어밸브를 열어 실험대의 펌프를 작동시킨 후 실험대 급수 밸브를 점차 열면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장치 내 공기를 제거하면서 흐른다. (이때 제어 및 급수 밸브는 1/3 정도를 열어 놓는 것이 좋다.)
③ 액주관 내의 수주가 전체 높이의 절반가량 상승하면 조절 밸브와 급수밸브를 완전히 폐쇄하여(잠그고) 미터내의 물이 정지해 있도록 한다. 따라서 미터를 연한 여러 개의 액주관 내 수면은 거의 수평을 유지할 것이며, 4개의 조정나사를 조정하여 눈금자 판에 나타나는 각 액주관내 수면고가 같도록 할 수 있다.
④ 이와 같이 미터의 수평이 이루어지면 급수밸브와 조절밸브를 조정하여 미터내의 유량을 변화시켜 가면서 각 유량에 해당되는 수두강하량(h1-h2)을 잃어 나간다. (이때 수두강하량이 최대가 되도록 밸브를 열어 미터 내로 흘릴 수 있는 최대 유량에 대한 실험자료를 얻은 후 점차로 유량을 감소시켜 가면서 수두강하량을 읽으면 질서정연한 실험을 할 수 있다.)
⑤ 벤츄리미터를 통한 유량은 수리실험대의 중량측정용 유량 탱크에 일정시간 동안 담겨지는 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며 매번 유량측정시 h1과 h2의 값을 읽어 압력강하량(h1-h2)의 값이 대략 등간격이 되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가능하다면 다수의 자료를 얻음이 바람직히다.
⑥ 벤츄리미터를 통한 유량 는 유량측정탱크에 일정시간 동안 담겨지는 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⑦ 수두강하량 을 식 (5.4)에 대입하여 계산한 유량과 유량측정탱크를 이용한 유량과 비교하여 유량계수 C를 구하고 C의 값이 0.92~0.99정도의 값을 갖는 지 확인한다.
※ 주의사항
1. 너무 과도한 유량이 벤츄리미터로 흐르는 경우 공기가 모두 빠지거나 수은이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최대 실험 가능한 유량을 찾을 경우 유량조절밸브의 작동 시 주 의하여야 한다.
2. 특히, 액주관이 공기로 찬 벤츄리미터 실험에서 공기가 다 제거되어 물로 차면 실 험이 수행될 수 없으므로 수위차를 인식할 만큼의 공기가 액주관내에 남도록 하여 야 한다.
3. 벤츄리미터가 수평이 되지 않으면 올바른 수위차를 읽을 수 없으므로 매번 읽을 경우 수평을 확인한다.
4. 유량을 관측할 때마다 유량측정탱크 내 물을 비우고 유량측정탱크가 넘치지 않도 록 조심한다.
5. 참고문헌
「기초수리실험법」, 운용남 저, 청문각, pp.127~136
「수리실험」,김운중 저, 조선대학교 출판부, pp.51~55
http://ehlab.re.kr
(4.6)
수두강하량 을 후두부에서의 속도수두인 와의 비로 표시하면
(4.7)
식 4.7의 과변을 연속방정식 4.2을 사용하여 단면적의 항으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다.
(4.8)
4. 실험절차
① 벤츄리미터 장치를 유체 실험대 위에 올려놓고 급수호스를 연결하고 벤츄리계 장치의 제어밸브 쪽에 연결 된 호스 끝이 계량탱크로 향하게 한 다음 4개 수평조정나사로 수평이 되도록 조정 장치한다.
② 상부 쪽에 위치한 공기 정화 밸브를 확인하고 제어밸브를 열어 실험대의 펌프를 작동시킨 후 실험대 급수 밸브를 점차 열면 관로를 따라 흐르는 물은 장치 내 공기를 제거하면서 흐른다. (이때 제어 및 급수 밸브는 1/3 정도를 열어 놓는 것이 좋다.)
③ 액주관 내의 수주가 전체 높이의 절반가량 상승하면 조절 밸브와 급수밸브를 완전히 폐쇄하여(잠그고) 미터내의 물이 정지해 있도록 한다. 따라서 미터를 연한 여러 개의 액주관 내 수면은 거의 수평을 유지할 것이며, 4개의 조정나사를 조정하여 눈금자 판에 나타나는 각 액주관내 수면고가 같도록 할 수 있다.
④ 이와 같이 미터의 수평이 이루어지면 급수밸브와 조절밸브를 조정하여 미터내의 유량을 변화시켜 가면서 각 유량에 해당되는 수두강하량(h1-h2)을 잃어 나간다. (이때 수두강하량이 최대가 되도록 밸브를 열어 미터 내로 흘릴 수 있는 최대 유량에 대한 실험자료를 얻은 후 점차로 유량을 감소시켜 가면서 수두강하량을 읽으면 질서정연한 실험을 할 수 있다.)
⑤ 벤츄리미터를 통한 유량은 수리실험대의 중량측정용 유량 탱크에 일정시간 동안 담겨지는 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며 매번 유량측정시 h1과 h2의 값을 읽어 압력강하량(h1-h2)의 값이 대략 등간격이 되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가능하다면 다수의 자료를 얻음이 바람직히다.
⑥ 벤츄리미터를 통한 유량 는 유량측정탱크에 일정시간 동안 담겨지는 물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⑦ 수두강하량 을 식 (5.4)에 대입하여 계산한 유량과 유량측정탱크를 이용한 유량과 비교하여 유량계수 C를 구하고 C의 값이 0.92~0.99정도의 값을 갖는 지 확인한다.
※ 주의사항
1. 너무 과도한 유량이 벤츄리미터로 흐르는 경우 공기가 모두 빠지거나 수은이 빠져 나올 수 있으므로 최대 실험 가능한 유량을 찾을 경우 유량조절밸브의 작동 시 주 의하여야 한다.
2. 특히, 액주관이 공기로 찬 벤츄리미터 실험에서 공기가 다 제거되어 물로 차면 실 험이 수행될 수 없으므로 수위차를 인식할 만큼의 공기가 액주관내에 남도록 하여 야 한다.
3. 벤츄리미터가 수평이 되지 않으면 올바른 수위차를 읽을 수 없으므로 매번 읽을 경우 수평을 확인한다.
4. 유량을 관측할 때마다 유량측정탱크 내 물을 비우고 유량측정탱크가 넘치지 않도 록 조심한다.
5. 참고문헌
「기초수리실험법」, 운용남 저, 청문각, pp.127~136
「수리실험」,김운중 저, 조선대학교 출판부, pp.51~55
http://ehlab.re.kr
추천자료
[화학공업실험] 유체유동(레이놀즈수,손실두 측정)실험 예비레포트
전자회로 실험(김동식 저) - 1장 다이오드 특성 및 반파 정류회로 실험
전자공학실험- Diode 응용회로
기초실험예비-커패시터 및 RC 회로
기초실험예비-Diode 및 Zener diode의 특성
[물리학 실험] 4 기초회로실험
[아주대 기계 공학 실험] 길이 측정 실습 실험
[전자회로실험] 1. 접합 다이오드, 2. 다이오드 리미터와 클램퍼 - 실험목적, 이론, 결과 및 ...
[기계공학실험] 관내 유동 실험
유체역학 실험 - 관로마찰 실험
[전기전자 실험] 옴의 법칙 실험
[열유체실험] 유량 측정 실험 (예비 + 결과)
실험2 전압분배기 결과보고서
실험2 전류계의 분류기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