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서 1,2,3
본문내용
이다. 바로 그 달걀들은 하나의 닭에서 나온 것들이다.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사람들도 알게 모르게 연관되어 있다는 취지를 달걀이라는 것을 통하여 보여주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닭을 선정해야 할 것이고, 그 닭이 낳은 달걀들의 유통경로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사실 굉장히 주의를 요하는 작업이다. 사실 달걀이 다 비슷비슷하게 생기지 않았는가.
우리는 살아가면서 각자 다르게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공통으로 공유하고 있는 공통분모는 반드시 존재한다고 본다. 가령 내가 지금 먹는 이 달걀과 영화배우 심은하가 먹는 달걀의 어미가(닭) 같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발상을 통해서 우리는 결국 하나이고, 평등하다는 의식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모르는 누군가와 달걀이라는 소재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해보자. 생각만으로도 설레이고 흥미롭지 않은가.
구분
달걀아 달걀아 어디까지 갔니? (논 픽션)
개요
하나의 닭에서 나온 달걀들의 경로를 따라가 본다.
배경
산업사회는 우리가 알게 모르게 많은 사람들과 연결되어있다.
목적
다른 사람과 같은 것을 공유한다는 인식과 함께 공동체 정신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초점
달걀을 먹는 사람들의 다양함을 보여준다. 후반부에 그들의 공통점을 보여주는 부분은 반전의 묘미를 살린다.
형식 및 태도
각각 달걀을 여러 가지 형태로 먹는 사람들을 나열하고, 그들의 공통점을 결론에서 보여준다.
해설
최소화. 간단한 자막정도
시각
다양한 사람들이 공통된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유쾌하게 보여줌으로써 우리는 하나라는 공동체 정신을 보여줄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각자 다르게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공통으로 공유하고 있는 공통분모는 반드시 존재한다고 본다. 가령 내가 지금 먹는 이 달걀과 영화배우 심은하가 먹는 달걀의 어미가(닭) 같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발상을 통해서 우리는 결국 하나이고, 평등하다는 의식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모르는 누군가와 달걀이라는 소재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해보자. 생각만으로도 설레이고 흥미롭지 않은가.
구분
달걀아 달걀아 어디까지 갔니? (논 픽션)
개요
하나의 닭에서 나온 달걀들의 경로를 따라가 본다.
배경
산업사회는 우리가 알게 모르게 많은 사람들과 연결되어있다.
목적
다른 사람과 같은 것을 공유한다는 인식과 함께 공동체 정신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초점
달걀을 먹는 사람들의 다양함을 보여준다. 후반부에 그들의 공통점을 보여주는 부분은 반전의 묘미를 살린다.
형식 및 태도
각각 달걀을 여러 가지 형태로 먹는 사람들을 나열하고, 그들의 공통점을 결론에서 보여준다.
해설
최소화. 간단한 자막정도
시각
다양한 사람들이 공통된 부분이 있다는 사실을 유쾌하게 보여줌으로써 우리는 하나라는 공동체 정신을 보여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