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중예술의 흐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민중예술의 흐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머리말

Ⅱ. 조선왕조 이전의 풍속화
1. 청동기시대
2. 삼국시대 및 남북조시대
3. 고려시대

Ⅲ.조선왕조 전반기의 풍속화

Ⅳ. 조선왕조 후반기의 풍속화
1. 18세기 전반의 풍속화
2. 18세기 후반 - 19세기 전반의 풍속화

V. 맺음말

본문내용

실 일제시대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에 풍속화의 전통이 자취를 감춘채 되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은 심히 안타까운 일이다. 물론 이러한 배경에는 곱상한 인물과 예쁜 花鳥 등 장식적이고 감각적이며 현실회피적인 일제식민통치기의 미술 및 미술교육의 영향, 그후 밀려든 서양화 특히 비구상화의 유행, 작가들의 풍속화에 대한 인식 부족과 현실기피적 경향 등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풍속화가 꼭 어떤 현실고발적인 성격을 띠어야만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현대에도 우리의 일상생활, 우리의 주변 등에 풍속화의 소재는 어디에든 널려 있다. 지하철 주변의 바쁜 모습, 여름철 해변가나 산속의 피서객들의 즐거운 행태, 시장 속의 활력에 넘치는 서민들의 생활 모습, 국민학교 주변 어린이들의 천진스러운 모습, 주택가 골목을 누비는 행상들, 박물관과 미술관을 찾는 국내외 관람객들의 진지하고 즐거운 표정 등등 얼마든지 생동하며 현장감 넘치는 소재들을 택할 수가 없다. 우리 주변의 이러한 밝고 활력에 찬 모습들을 기운생동하게 표현한다면 현대적인 감각의 풍속화를 성공적으로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의 풍속화에 대한 현대적인 감각의 풍속화를 성공적으로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한국,   미술,   풍속화,   민화,   그림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0.0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5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