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내용 소개
1) 요약
2) 저자 소개
3. 내용비평
1) 주요활동에 관한 저자의 비판
2) 인물 활동 노선에 대한 평가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2. 내용 소개
1) 요약
2) 저자 소개
3. 내용비평
1) 주요활동에 관한 저자의 비판
2) 인물 활동 노선에 대한 평가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천도교 교세의 확장과 각종 교리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였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애국계몽운동에도 깊숙이 간여하여 호남학회와 공진회 그리고 헌정연구회에서 크게 활동하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런 양한묵의 구체적인 활동 내용은 고사하고 그의 행적조차 잘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잘못 알려진 것도 적지 않다고 한다. 따라서 천도교와 애국계몽운동 상에서의 그의 위상을 고려한다면 반드시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서론에서는 이렇듯 저자는 굉장히 호의적인 태도로 인물에 대한 접근을 시도 하였다. 또한 인물이 옥사하였기 때문에 다른 민족대표들과 달리 사상의 변화를 볼 수 없기 때문에 더욱 호의적이라고 본다.
그러나 본문에 대해서 보면 1900년대의 활동에 대해서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기술하고 가급적이면 자신의 생각을 넣어 서술하고자 하지 않았다. 중립적인 위치에서 서술하고자 하였다고 본다.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추측도 간혹 있지만 이런 추측도 당시의 시대상과 주변 자료를 통해서 추론하고자 하였다.
본인도 논문의 저자와 인물에 대한 평가는 비슷하다. 많은 부분이 묻혀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지만 분명 광복을 위해 많은 일을 한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정치사회단체에 가입하여 여러 활동을 한 것을 통해서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다루지는 않았지만 1906년 이후 천주교 활동에 전념하면서 했던 행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4. 나오는 말
홍영기 교수의 논문을 통해 양한묵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히 인물 조사를 위해서 봤던 사람을 좀 더 자세히 공부 할 수 있었다. 33인 중에 유일하게 옥사를 한 인물이지만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또한 여러 활동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인물들의 그늘에 가려 빛을 보지 못한 인물 이였다고 본다. 하지만 이 번 논문을 통해 이런 인물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는 것이 좋았다고 본다.
이 인물논문을 쓰며 아쉬웠던 점이라면 우선 저자가 서론에 너무 지역에 연연하여 서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논문을 발표한 것이 전라남도 화순문화원에서 주최한 것이기도 하고 저자 자신이 호남에 뿌리를 두고 연구를 하는 인물이라 그렇기는 하지만 너무 지역에 연연한 모습이 아쉬웠다.
다음으로는 자료가 너무 천주교 활동에 한정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양한묵이 천주교에서 많은 활동을 한 것이 사실이지만 천주교 활동에 전념하기 전인 1900년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좀 더 다양한 활동을 연구해 낸다면 그가 좀 더 빛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인물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역사적 자료가 적기 때문에 그렇겠지만 논문이 두 편 밖에 있지 않다. 나머지 참고 논문은 대다수 천도교에 대한 논문 사이에 조금씩 언급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두 편의 논문 또한 서로 비슷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거의 한 논문이 되버린듯 싶었다. 저자가 서론각주에서 밝혔듯이 양한묵에 대한 다른 논문이「한말 천도교와 양한묵- 그 활동과 사상을 중심으로-」을 기본으로 서술하다보니 많은 부분이 겹치게 되어 새로운 해석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이 글을 작성 중 독립신문사이트의 신문류 자료가 읽히지 않아 원본을 보지 못한 점 또한 아쉽지만 다음에 다시 읽힌다면 꼭 원문과 비교를 통해서 그의 활동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하게 보고 싶다.
# 참고문헌
「芝江 梁漢의 生涯와 活動」 홍영기 <<한국근현대사논총>>. 대구: 오세창교수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5.
「韓末 天道敎와 梁漢」최기영 <<역사학보>> 147, 1995.
「韓末 東學의 天道敎로의 개편에 관한 검토」 최기영. <<한국학보>> 76, 1994.
『民族代表三十三人傳』 오재식 서울: 동방문화사, 1959
『三一運動秘史』 이병헌, 시사시보사, 1959
『大韓民國獨立運動功勳史』 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1971,
『大韓民國 獨立有功者』 공훈록 第2卷, 국가보훈처,1986年, pp.384~385.
신문- 마이데일리 2005년 2월28일자 민족대표 33인 재조명; STV ‘누가 변절자인가?’
국립순천대학교 (http://202.30.44.91)
The Korean Historical Connection (www.hongik.ac.kr/~khc)
독립기념관 (www.i815.or.kr)
네이버 백과사전
엠파스 백과사전
그러나 본문에 대해서 보면 1900년대의 활동에 대해서 자료를 바탕으로 정확하게 기술하고 가급적이면 자신의 생각을 넣어 서술하고자 하지 않았다. 중립적인 위치에서 서술하고자 하였다고 본다.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추측도 간혹 있지만 이런 추측도 당시의 시대상과 주변 자료를 통해서 추론하고자 하였다.
본인도 논문의 저자와 인물에 대한 평가는 비슷하다. 많은 부분이 묻혀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지만 분명 광복을 위해 많은 일을 한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정치사회단체에 가입하여 여러 활동을 한 것을 통해서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는 다루지는 않았지만 1906년 이후 천주교 활동에 전념하면서 했던 행적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4. 나오는 말
홍영기 교수의 논문을 통해 양한묵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처음에는 단순히 인물 조사를 위해서 봤던 사람을 좀 더 자세히 공부 할 수 있었다. 33인 중에 유일하게 옥사를 한 인물이지만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아쉬울 따름이다. 또한 여러 활동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인물들의 그늘에 가려 빛을 보지 못한 인물 이였다고 본다. 하지만 이 번 논문을 통해 이런 인물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는 것이 좋았다고 본다.
이 인물논문을 쓰며 아쉬웠던 점이라면 우선 저자가 서론에 너무 지역에 연연하여 서술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논문을 발표한 것이 전라남도 화순문화원에서 주최한 것이기도 하고 저자 자신이 호남에 뿌리를 두고 연구를 하는 인물이라 그렇기는 하지만 너무 지역에 연연한 모습이 아쉬웠다.
다음으로는 자료가 너무 천주교 활동에 한정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양한묵이 천주교에서 많은 활동을 한 것이 사실이지만 천주교 활동에 전념하기 전인 1900년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좀 더 다양한 활동을 연구해 낸다면 그가 좀 더 빛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인물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역사적 자료가 적기 때문에 그렇겠지만 논문이 두 편 밖에 있지 않다. 나머지 참고 논문은 대다수 천도교에 대한 논문 사이에 조금씩 언급되는 내용이 대부분이다. 두 편의 논문 또한 서로 비슷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거의 한 논문이 되버린듯 싶었다. 저자가 서론각주에서 밝혔듯이 양한묵에 대한 다른 논문이「한말 천도교와 양한묵- 그 활동과 사상을 중심으로-」을 기본으로 서술하다보니 많은 부분이 겹치게 되어 새로운 해석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이 글을 작성 중 독립신문사이트의 신문류 자료가 읽히지 않아 원본을 보지 못한 점 또한 아쉽지만 다음에 다시 읽힌다면 꼭 원문과 비교를 통해서 그의 활동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하게 보고 싶다.
# 참고문헌
「芝江 梁漢의 生涯와 活動」 홍영기 <<한국근현대사논총>>. 대구: 오세창교수 화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1995.
「韓末 天道敎와 梁漢」최기영 <<역사학보>> 147, 1995.
「韓末 東學의 天道敎로의 개편에 관한 검토」 최기영. <<한국학보>> 76, 1994.
『民族代表三十三人傳』 오재식 서울: 동방문화사, 1959
『三一運動秘史』 이병헌, 시사시보사, 1959
『大韓民國獨立運動功勳史』 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1971,
『大韓民國 獨立有功者』 공훈록 第2卷, 국가보훈처,1986年, pp.384~385.
신문- 마이데일리 2005년 2월28일자 민족대표 33인 재조명; STV ‘누가 변절자인가?’
국립순천대학교 (http://202.30.44.91)
The Korean Historical Connection (www.hongik.ac.kr/~khc)
독립기념관 (www.i815.or.kr)
네이버 백과사전
엠파스 백과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