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미국의 실용주의 교육사상
(2)진보주의 교육운동
(3)본질주의 교육사상
(4)항존주의 교육사상
(2)진보주의 교육운동
(3)본질주의 교육사상
(4)항존주의 교육사상
본문내용
약점을 비난하는 일파가 나타났다. 이것이 본질주의라고 하는 교육사상이다. 또 한편으로 본질주의자들의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공격이 철저하지 못함을 불만으로 여긴 일파가 있다.이들은 시키고 대학 총장 허친스(R.Hutchins)를 중심으로 진보주의 교육의 이론적 근거인 프래그머티즘 자체를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항존주의 또는 항존주의파를 말한다. 따라서 현재 미국의 교육사상의 흐름은 진보주의 교육과 본질주의 교육의 2대 조류이며, 또한 항존주의 교육까지 포함한 3대 조류로 크게 구분되기도 한다.
2)철학적 배경과 발전과정
진리의 '절대성'과 '영원성'을 중시한다. 이런 사상적 배경 때문에 '변화의 원리'의 강조하는 진보주의에 반대된다. 그 철학적 배경은 고전적 실재론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철학자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 등이 있다. 실용주의(또는 진보주의)를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데서 발생하여 허친스와 아들러 등에 의하여 발전하였다.
3. 교육이론
1)인간은 본질은 항상 불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교육의 본질도 변하지 않는다.
2)인간은 이성이 있기 때문에 교육은 인간의 이성 발달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3)교육이 이끌어야만 하는 단 하나의 적응 유형은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진리에 대한 적응이다.
4)교육의 목적은 진리에다가 인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5)교육이란 생활을 그래도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위해서 어떤 기초가 되는 교과목을 배워야만 한다.
6)학생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영원한 것으로 남아 있게 될 어떤 기초가 되는 교과목을 배워야만 한다.
7)영원불변의 진리들은 '위대한 고전'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8)인간은 어느 곳에 살고 있든지 근본적으로 같다. 그러므로 교육은 모든 사람을 위해서 보편적이고, 또한 동일하여야만 한다.
4. 비판
1)너무나 귀족적이고 금욕적이며, 학교의 역할은 지적인 귀족을 기르는 데 있다.
2)대부분은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에 직면하는 사회는 고전적인 교과서에 있는 내용이 그대로 펼쳐지는 곳이 아니다.
5. 대표적 교육사상가
- 허친스, 아들러, 마리탱, 커닝햄 등
6. 한국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1)교육과정에서 현실과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하게 함
2)지역과 시대, 계층의 특질과 특징, 경향을 무시한채 절대적인 명제로 제시된 한정된 지 식을 교육과정의 주요과업으로 제시
->현장교육과 지역사회와 유리되어 고립된 지식을 학생들이 배우게 됨
2)철학적 배경과 발전과정
진리의 '절대성'과 '영원성'을 중시한다. 이런 사상적 배경 때문에 '변화의 원리'의 강조하는 진보주의에 반대된다. 그 철학적 배경은 고전적 실재론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철학자로는 아리스토텔레스와 아퀴나스 등이 있다. 실용주의(또는 진보주의)를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데서 발생하여 허친스와 아들러 등에 의하여 발전하였다.
3. 교육이론
1)인간은 본질은 항상 불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교육의 본질도 변하지 않는다.
2)인간은 이성이 있기 때문에 교육은 인간의 이성 발달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3)교육이 이끌어야만 하는 단 하나의 적응 유형은 보편적이고 불변하는 진리에 대한 적응이다.
4)교육의 목적은 진리에다가 인간을 적응시키는 것이다.
5)교육이란 생활을 그래도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위해서 어떤 기초가 되는 교과목을 배워야만 한다.
6)학생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영원한 것으로 남아 있게 될 어떤 기초가 되는 교과목을 배워야만 한다.
7)영원불변의 진리들은 '위대한 고전'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8)인간은 어느 곳에 살고 있든지 근본적으로 같다. 그러므로 교육은 모든 사람을 위해서 보편적이고, 또한 동일하여야만 한다.
4. 비판
1)너무나 귀족적이고 금욕적이며, 학교의 역할은 지적인 귀족을 기르는 데 있다.
2)대부분은 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한 후에 직면하는 사회는 고전적인 교과서에 있는 내용이 그대로 펼쳐지는 곳이 아니다.
5. 대표적 교육사상가
- 허친스, 아들러, 마리탱, 커닝햄 등
6. 한국교육과정에 미친 영향
1)교육과정에서 현실과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하게 함
2)지역과 시대, 계층의 특질과 특징, 경향을 무시한채 절대적인 명제로 제시된 한정된 지 식을 교육과정의 주요과업으로 제시
->현장교육과 지역사회와 유리되어 고립된 지식을 학생들이 배우게 됨
추천자료
교육사조, 교육사상, 교육철학 고찰
정도전의 유학사상에 대한 교육론적 고찰 - 정도전 교육사상의 의의와 향후 과제
[몬테소리교육][몬테소리교육이론][몬테소리교육프로그램][몬테소리교육방법]몬테소리교육이...
이황과 이이의 교육사상 비교 - 교육 목적, 방법론적 성격, 교육동기, 이상적 인간상.
에라스무스의 생애, 에라스무스의 저서, 에라스무스의 시대적 배경, 에라스무스의 교육특징, ...
듀이, 루소, 몬테소리, 방정환, 프뢰벨, 교육사상, 교육방법, 교육철학 보고서
루소(Rousseau)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교육사상의 배경, 교육목적, 특징 및 시사점과 한계점
[유아교육사와 보육] 신인문주의 시대의 유아교육 - 시대적 배경, 페스탈로치(Johann Heinric...
[연암 박지원 (燕巖 朴趾源)]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교육사상과 특성, 박지원의 교육사상의 ...
[존 듀이 (John Dewey)] 존듀이(존 듀이)의 생애, 존듀이(존 듀이) 교육사상의 원리와 시사점...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 그...
[교육사] 원효 -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