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원리(이론적 배경)
3. 실험 방법
4. 실험 기구 및 시약
5. 보고서 작성
2. 실험 원리(이론적 배경)
3. 실험 방법
4. 실험 기구 및 시약
5. 보고서 작성
본문내용
bulb
microplate reader와 96-well microplate (UV transparent)
5㎖ pipette과 filler
5. 보고서 작성
1) 분획의 번호를 축으로 하고 280nm에서의 흡광도를 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려라. 이 그래프에 420nm에서의 흡광도를 또 하나의 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려라.
2) 어떤 단백질이 먼저 elution 되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라.
헤모글로빈이 먼저 용리되어 흡광도 그래프 상에 나타남을 알 수 있고, 그 이유는 PI값이 헤모글로빈과 알부민 모두 낮아 흡착되지만, 헤모글로빈이 알부민보다 흡착력이 떨어져 먼저 용리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염의 농도를 늘리면 염의 염소이온과 경쟁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흡착력이 약한 물질은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3) 만약 두 단백질을 처음에 pH가 6.0인 완충용액에 녹여서 column에 더해주었다면 어떤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가?
헤모글로빈의 PI값은 6.9이고, 알부민의 PI값은 4.8이기 때문에 PH가 6.0인완충용액을 녹여서 column에 넣으면 PI값이 6보다 낮은 알부민은 음전하를 띠게 되어 흡착되고 PI값이 6보다 높은 헤모글로빈은 흡착되지 않는다.
4) 이 실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두 단백질을 더 잘 분리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NaCl의 농도를 더 높여서 흡착되어 있는 차이를 이용해 두 단백질을 분리하거나 PH완충용액의 특성을 헤모글로빈보다는 작게 만들고 알부민보다 큰 PH값을 만들어 본래부터 흡착된 것과 흡착되지 않은 것을 가려내, 원심 분리하여 분리해 낸다.
microplate reader와 96-well microplate (UV transparent)
5㎖ pipette과 filler
5. 보고서 작성
1) 분획의 번호를 축으로 하고 280nm에서의 흡광도를 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려라. 이 그래프에 420nm에서의 흡광도를 또 하나의 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그려라.
2) 어떤 단백질이 먼저 elution 되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하라.
헤모글로빈이 먼저 용리되어 흡광도 그래프 상에 나타남을 알 수 있고, 그 이유는 PI값이 헤모글로빈과 알부민 모두 낮아 흡착되지만, 헤모글로빈이 알부민보다 흡착력이 떨어져 먼저 용리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염의 농도를 늘리면 염의 염소이온과 경쟁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흡착력이 약한 물질은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3) 만약 두 단백질을 처음에 pH가 6.0인 완충용액에 녹여서 column에 더해주었다면 어떤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가?
헤모글로빈의 PI값은 6.9이고, 알부민의 PI값은 4.8이기 때문에 PH가 6.0인완충용액을 녹여서 column에 넣으면 PI값이 6보다 낮은 알부민은 음전하를 띠게 되어 흡착되고 PI값이 6보다 높은 헤모글로빈은 흡착되지 않는다.
4) 이 실험 결과로 미루어볼 때 두 단백질을 더 잘 분리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NaCl의 농도를 더 높여서 흡착되어 있는 차이를 이용해 두 단백질을 분리하거나 PH완충용액의 특성을 헤모글로빈보다는 작게 만들고 알부민보다 큰 PH값을 만들어 본래부터 흡착된 것과 흡착되지 않은 것을 가려내, 원심 분리하여 분리해 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