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유전자조작식품이란?

2. gmo의 제작배경

3. 개발목적에 따른 GMO작물의 세대 구분

4. gmo의 장.단점

5. gmo에 대한 각국의 반응

본문내용

인도를 떠나라"는 시위를 벌이고 있고, 아프리카 국가들은 자신들이 처지를 이용해서 GMO 판촉에 나서고 있는 다국적 기업들을 맹렬히 비난하고 있다.
▶ 생명공학안전성의정서(Biosafety Protocol) 채택
이와 같은 국제적인 추세가 반영되어 2000년 1월 28일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150개국 대표들이 GMO의 국제무역을 규제하는 [생명공학안전성의정서]를 채택하였다. 그동안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GMO 수출국들은 GMO 는 과학적으로 안전성이 입증되었다면서 자유로운 수출을 보장하기 위하여 의정서 채택을 방해해왔지만, 유럽과 제3세계, 시민 단체들이 주장하는 '사전예방의 원칙' 논리를 이길 수 없었다.
의정서에는 GMO 의 수출국이 수입국에 관련 정보를 사전에 통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수입국은 확고한 과학적 증거가 없더라도 자국의 이해관계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수입을 금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2년 이내에 의정서가 발효되면 GMO 수입국의 입장이 강화될 것이다.
▶ 우리나라의 현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이래로 아무런 조치나 표시 없이 콩, 옥수수 등의 GMO를 먹어왔다. 2001 년부터 표시제가 시행되면 그나마 우리들이 GMO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은 일부 마련되겠지만, 아직도 다른 나라들과 비교하면 우리 국민들은 GMO에 대한 인식이 낮고, 정부의 대응도 미흡하다. 이는 생명공학 전반에 대하여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환상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과 미국, 홍콩 등지에서는 GMO를 사용하지 않기로 선언한 기업들이 정작 우리나라에서는 아무런 대응도 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1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6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