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전자 조작에 관한 반대 측 기조조장원고
논점1.유전자 조작 치료의 안전성.
논점2.유전자 조작에 사용되는 배아는 생명체로 볼수있는가?
논점3.유전자 조작 식품은 유익한가?
논점1.유전자 조작 치료의 안전성.
논점2.유전자 조작에 사용되는 배아는 생명체로 볼수있는가?
논점3.유전자 조작 식품은 유익한가?
본문내용
경스페셜" 보도내용 )
.인도의 목장은 비상이다. 기르던 양과 염소들의 절반이 죽어 나가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수만 마리의 양이 폐사했다. 조사 결과, 유전자조작 면화를 심었던 밭에서 방목한 양들이다. 1998년 8월, 미국 ‘아파드 푸스타이’ 박사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쥐에게 유전자조작 감자를 먹이자 거의 모든 장기의 중량이 감소하였고, 90일을 먹은 쥐는 간 기능, 면역 기능이 저하되었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곧 실험 설계가 잘못됐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고, 현재까지 유전자조작 식품의 유해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미국 정부와 상당수의 유전공학자들은 아직 위험을 단정할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과학자들의 잇단 양심선언과 세계 곳곳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 발표는 끊이지 않고 있다.
(저의 생각으로는 실험설계가 잘못되었다는 것 자체에 의문. 미국 농업계의 무서운 로비의 정황으로 보아서. 이미 미국 농업은 GMO에 절대적으로 의존.)
2004년, 미국 퍼듀 대학에서는 유전자조작생명체의 생태계 적응 실험을 실시했다. 일반 물고기 6만 마리 속에 유전자조작 물고기 60마리를 넣어 보았다. 그 결과, 예상을 뛰어 넘는 급속한 장악으로 기존 생태계는 완전히 초토화되고 불과 40세대 만에 종이 절멸했다.
미국의 한 연구소에서는 성장 호르몬을 계속 분비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하여 성장 속도가 4배 이상 빠르고 크기도 10-30배나 되는 슈퍼연어 개발에 성공했다. 그러나 안전성 실험을 위해 30배 이상으로 키우자 머리와 장기 등에 심한 기형이 나타났다. 유전자조작 생물체는 언제 어떻게 자연 생태계로 유입될지 모른다. 유전자조작 생명체에 의한 생태계 교란,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세계 종자 시장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몬산토’사는 제초제 저항성 콩, BT 옥수수와 BT면화 등의 개발 회사다. 12,000명의 연구 인력들은 이곳에서 세계 각지에서 수집된 생물자원을 가지고 갖가지 다양한 유전자 조작 실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몬산토’에서 만든 소가죽을 한 돼지는 활용도가 높고, 모성을 제거한 닭은 열악한 공장형 축산에도 쉽게 적응한다. 그러나 그들이 만든 제초제에도 죽지 않는 슈퍼 잡초가 탄생하고, 인간 유전자를 넣은 돼지는 근육이 뭉쳐 서질 못한다. 자연이 아닌 인간이 만든 유전자가 토양을 오염시키고, 먹거리를 담당하는 세상, 그러나 이윤을 위한 그들의 행보에는 아무런 제동 장치가 없다. (출처: KBS 방송국의 "환경스페셜" 보도내용 )
<자료2>(출처:한겨례21)
지난 92년 일본의 쇼와텐코사에서 유전자가 조작된 박테리아를 이용한 새로운 공정을 이용해 식품첨가제인 트립토판(아미노산의 일종)을 제조, 미국에 판매했다가 수천명의 희생자를 낸 것을 대표적인 유전자조작 관련 사고로 내세운다. 당시 트립토판을 섭취한 37명이 숨지고 최소한 1천 5백여 명이 ‘호산구근육통증후군’이란 괴이한 병에 걸려 신경증세를 호소했다.
<자료3>(출처:네이버블로그)
유전자조작 곡물이 실험동물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켰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영국 로웨트연구소는 지난해 8월 병충해에 견딜 수 있도록 유전자조작한 감자를 실험용 쥐에 먹인 결과 쥐의 면역체계가 파괴되는 부작용이 일어났다고 밝혔다. 연구소측에 따르면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하는 렉틴이란 단백질을 생성하도록 유전자를 변형시킨 감자를 실험용 쥐에게 1백 10일(인간의 10년에 해당)간 먹인 결과 쥐의 면역기능이 크게 떨어졌다. 렉틴은 면역세포를 손상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물질인데 실험은 렉틴을 생성하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감자를 먹어도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인도의 목장은 비상이다. 기르던 양과 염소들의 절반이 죽어 나가고 있다. 지난 3년 동안 수만 마리의 양이 폐사했다. 조사 결과, 유전자조작 면화를 심었던 밭에서 방목한 양들이다. 1998년 8월, 미국 ‘아파드 푸스타이’ 박사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쥐에게 유전자조작 감자를 먹이자 거의 모든 장기의 중량이 감소하였고, 90일을 먹은 쥐는 간 기능, 면역 기능이 저하되었다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곧 실험 설계가 잘못됐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고, 현재까지 유전자조작 식품의 유해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미국 정부와 상당수의 유전공학자들은 아직 위험을 단정할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과학자들의 잇단 양심선언과 세계 곳곳의 유해성에 관한 연구 발표는 끊이지 않고 있다.
(저의 생각으로는 실험설계가 잘못되었다는 것 자체에 의문. 미국 농업계의 무서운 로비의 정황으로 보아서. 이미 미국 농업은 GMO에 절대적으로 의존.)
2004년, 미국 퍼듀 대학에서는 유전자조작생명체의 생태계 적응 실험을 실시했다. 일반 물고기 6만 마리 속에 유전자조작 물고기 60마리를 넣어 보았다. 그 결과, 예상을 뛰어 넘는 급속한 장악으로 기존 생태계는 완전히 초토화되고 불과 40세대 만에 종이 절멸했다.
미국의 한 연구소에서는 성장 호르몬을 계속 분비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하여 성장 속도가 4배 이상 빠르고 크기도 10-30배나 되는 슈퍼연어 개발에 성공했다. 그러나 안전성 실험을 위해 30배 이상으로 키우자 머리와 장기 등에 심한 기형이 나타났다. 유전자조작 생물체는 언제 어떻게 자연 생태계로 유입될지 모른다. 유전자조작 생명체에 의한 생태계 교란,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세계 종자 시장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의 ‘몬산토’사는 제초제 저항성 콩, BT 옥수수와 BT면화 등의 개발 회사다. 12,000명의 연구 인력들은 이곳에서 세계 각지에서 수집된 생물자원을 가지고 갖가지 다양한 유전자 조작 실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몬산토’에서 만든 소가죽을 한 돼지는 활용도가 높고, 모성을 제거한 닭은 열악한 공장형 축산에도 쉽게 적응한다. 그러나 그들이 만든 제초제에도 죽지 않는 슈퍼 잡초가 탄생하고, 인간 유전자를 넣은 돼지는 근육이 뭉쳐 서질 못한다. 자연이 아닌 인간이 만든 유전자가 토양을 오염시키고, 먹거리를 담당하는 세상, 그러나 이윤을 위한 그들의 행보에는 아무런 제동 장치가 없다. (출처: KBS 방송국의 "환경스페셜" 보도내용 )
<자료2>(출처:한겨례21)
지난 92년 일본의 쇼와텐코사에서 유전자가 조작된 박테리아를 이용한 새로운 공정을 이용해 식품첨가제인 트립토판(아미노산의 일종)을 제조, 미국에 판매했다가 수천명의 희생자를 낸 것을 대표적인 유전자조작 관련 사고로 내세운다. 당시 트립토판을 섭취한 37명이 숨지고 최소한 1천 5백여 명이 ‘호산구근육통증후군’이란 괴이한 병에 걸려 신경증세를 호소했다.
<자료3>(출처:네이버블로그)
유전자조작 곡물이 실험동물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켰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영국 로웨트연구소는 지난해 8월 병충해에 견딜 수 있도록 유전자조작한 감자를 실험용 쥐에 먹인 결과 쥐의 면역체계가 파괴되는 부작용이 일어났다고 밝혔다. 연구소측에 따르면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하는 렉틴이란 단백질을 생성하도록 유전자를 변형시킨 감자를 실험용 쥐에게 1백 10일(인간의 10년에 해당)간 먹인 결과 쥐의 면역기능이 크게 떨어졌다. 렉틴은 면역세포를 손상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물질인데 실험은 렉틴을 생성하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감자를 먹어도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추천자료
유전자 복제
유전자 복제의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복제][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인간복제][배아]인간배아복제,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필요성, 생명경시풍조와 배아복제실험, 인간체세포 배아복제의 문제점...
유전자변형작물의현황및고찰[GMO
[배아줄기세포]배아줄기세포의 개념, 배아줄기세포의 목적, 배아줄기세포의 기능, 배아줄기세...
유전자 재조합 작물
[GMO]GMO(유전자재조합식품) 논란의 원인과 주요쟁점 소개, GMO - 안전성 확보와 식량부족 문...
인간배아복제의 정의, 인간배아복제의 유용성, 인간배아복제의 필요성, 인간배아복제의 윤리,...
인간배아복제의 개념, 인간배아복제의 필요성, 인간배아복제의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복제의 ...
[A+자료]GMO, LMO에 관한 조별과제, GMO의 장점 단점, LMO의 장점 단점, 사례, GMO 현황, 유...
유전자 치료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접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