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자개혁론을 반대하는 중요한 이유
문자개혁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언어의 발전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서 우리
가 지침으로 삼아야 할 원칙
우리말의 장점
이러한 우리말을 더욱 정확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발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
우리말을 발전시키기 위해 해야 할 노력
다른 나라와의 접촉으로 생긴 우리말의 문제점
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한 우리말로 고치고 우리말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나갈 방법
우리말을 잘 다듬기 위한 사회적 방안
♣ 김일성과 북한 언어학자들과의 담화에 대한 나의 생각
문자개혁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언어의 발전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서 우리
가 지침으로 삼아야 할 원칙
우리말의 장점
이러한 우리말을 더욱 정확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발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
우리말을 발전시키기 위해 해야 할 노력
다른 나라와의 접촉으로 생긴 우리말의 문제점
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한 우리말로 고치고 우리말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나갈 방법
우리말을 잘 다듬기 위한 사회적 방안
♣ 김일성과 북한 언어학자들과의 담화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하고 심지어는 우리의 고유어까지 왜곡시켜 사용하고 있는 반면 북한의 언어 정책은 우리의 고유어를 끝까지 놓지 않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고유어를 위한 의지의 원인 중의 하나가 우리는 한 민족이라는 생각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는 것을 담화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생기는 새말과 그것들로 인해 유입되는 외래어나 학술용어까지도 우리의 고유어로 변화시켜 사용하려는 북한의 정책은 우리 고유어까지 훼손시키며 사용하고 있는 우리에게 큰 반성을 하게 만드는 것 같다. 그동안 북한말을 들으면서 촌스럽다고 생각했던 것은 우리의 고유어가 외래어에 비해 촌스럽다고 인식하는 것과 어쩌면 동일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내가 그동안 생각했던 북한의 사상적인 내용이 언어정책에 있어서는 생각보다 많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점도 놀라웠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기를 북한의 언어정책은 사회주의 체제를 위해 언어를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것보다도 우선적으로 우리말을 훼손하지 않고 우리말 고유의 특성을 살려 발전시키고자 하는 그들의 기본 정신과 구체적 방안에 대한 의지는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인 것 같다.
추천자료
[일본 대북정책][북일관계][북핵문제][일본의 대북한 국교정상화정책]일본의 대북정책과 북일...
[북한경제][북한경제정책][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의 형성, 북한경제의 특성, 북한경제의 변화...
[대외정책][대외정책 사례][중국의 대외정책 사례][미국의 대외정책 사례][북한의 대외정책 ...
[대외정책][일본대외정책][미국대외정책][러시아대외정책][북한대외정책][조선대외정책]일본...
[남북통일정책][남북통일]남한의 통일정책, 북한의 통일정책, 남북한 통일정책의 변천, 독일...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의 정의, 발생배경과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의 탈북경로, 북한이탈주민(...
[북한토지제도][북한토지이용][북한토지소유][북한토지개혁][북한토지정책]북한토지제도의 변...
북한 과학기술의 목적, 북한 과학기술의 행정체계, 북한 과학기술의 교육체계, 북한 과학기술...
[과학기술정책]과학기술정책의 내용, 북한의 과학기술정책, 독일의 과학기술정책, 미국의 과...
[일본, 경제정책, 보육정책]일본의 경제정책, 일본의 동아시아지역형성정책, 일본의 지역주의...
[일본 정책][일본][교육정보화정책]일본의 교육정보화정책, 일본의 교육정책, 일본의 여성정...
교육정책의 정의, 교육정책의 특징, 고등교육정책(대학교육정책)의 북한고등교육, 고등교육정...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성격, 신개입주의,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 입장...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성격, 배경, 부시행정부 한반도정책(대북정책)의 개입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