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언어 정책에 대하여 - 김일성 교시 담화문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언어 정책에 대하여 - 김일성 교시 담화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자개혁론을 반대하는 중요한 이유

문자개혁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언어의 발전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서 우리
가 지침으로 삼아야 할 원칙

우리말의 장점

이러한 우리말을 더욱 정확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발전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

우리말을 발전시키기 위해 해야 할 노력

다른 나라와의 접촉으로 생긴 우리말의 문제점

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한 우리말로 고치고 우리말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나갈 방법

우리말을 잘 다듬기 위한 사회적 방안

♣ 김일성과 북한 언어학자들과의 담화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하고 심지어는 우리의 고유어까지 왜곡시켜 사용하고 있는 반면 북한의 언어 정책은 우리의 고유어를 끝까지 놓지 않고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북한의 고유어를 위한 의지의 원인 중의 하나가 우리는 한 민족이라는 생각을 밑바탕에 깔고 있다는 것을 담화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생기는 새말과 그것들로 인해 유입되는 외래어나 학술용어까지도 우리의 고유어로 변화시켜 사용하려는 북한의 정책은 우리 고유어까지 훼손시키며 사용하고 있는 우리에게 큰 반성을 하게 만드는 것 같다. 그동안 북한말을 들으면서 촌스럽다고 생각했던 것은 우리의 고유어가 외래어에 비해 촌스럽다고 인식하는 것과 어쩌면 동일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내가 그동안 생각했던 북한의 사상적인 내용이 언어정책에 있어서는 생각보다 많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는 점도 놀라웠다. 보통 우리가 생각하기를 북한의 언어정책은 사회주의 체제를 위해 언어를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이것보다도 우선적으로 우리말을 훼손하지 않고 우리말 고유의 특성을 살려 발전시키고자 하는 그들의 기본 정신과 구체적 방안에 대한 의지는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인 것 같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10.11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67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