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회 커리큘럼(서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목회 커리큘럼(서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Bibliographical Entry
Author Information

Content Summary
1부 정황( The Context)
제1장: 교회-목회적 소명을 지닌 하나님의 백성
제2장“교회-교육적 소명을 지닌 하나님의 백성
제3장: 커리큘럼-교회 생활의 과정
2부 소명(The Vocation)
제4장: 코이노니아-공동체의 커리큘럼
제5장: 레이투르기아-기도의 커리큘럼
제6장: 디다케-가르침의 커리큘럼
제7장: 케리그마-말씀선포의 커리큘럼
제8장: 디아코니아-봉사의 커리큘럼
3부 계획세우기(The planning)
제9장: 형성작업 촉진하기

Evaluation

본문내용

존재로 부름 받은 사실을 인식하게 하고 있다. 또한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삶을 그리스도의 삼중적 (제사장적, 예언자적, 정치적)인 직무를 통해서 다섯 가지 중심테마 즉 코이노니아, 레이루르기아, 디다케, 케리그마, 디아코니아를 가지고 교육목회 커리큘럼을 형성하려는 시도로 매우 내용성이 있다. 앞으로 우리 나라 교육목회 현실에 보다 더 정밀하게 연구해서 새로운 커리큘럼을 만들 수 있는 기초가 될 정도로 자세하게 다루는 점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1부인 '정황'에서는 커리큘럼을 창출하고, 교회는 목회적 소명과 교육적인 소명을 가지고 있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보고 있다. 2부인 '소명'은 좀더 구체적으로 다섯 가지 중심 모델을 공동체의 커리큘럼인 코이노니아 와 기도의 커리큘럼인 케리그마와 봉사에 관련된 커리큘럼인 디아코니아에 초점을 맞추었다-을 소개하고 있다. 3부에서 계획 세우기를 통해 옹기장이의 창조활동에 대한 도예가적인 소명을 가지고 교회공동체 구성원들의 실천에 옮길 모델을 제시한 점을 볼 때 책의 구성적인 부분에서 매우 세심한 배려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기독교 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할 우리에게 매우 좋은 길잡이가 되고 있다. 또한 매 장 후반부에 연습문제를 가지고 묵상과 토론을 위한 질문과 각 장의 세부적인 질문을 통해 커리큘럼을 형성하려고 한 의도는 좋은 성찰과 실행의 과정이 되리라 생각한다. 특히 한국교회의 교육실정을 생각할 때 이 책에서 새로운 대안의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교회 교육의 자리를 새롭게 찾아 나갈 수 있는 길이 나오길 희망한다.
반면에 이 책은 현재 교회 교육에서 이 커리큘럼을 적용시킬 인식이 우리 교회 교육의 환경 속에 있느냐?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즉 우리의 교회교육현실과 미국의 교회 교육 현실과의 차이를 어떻게 매울 수 있느냐? 이다. 또한 각 장 후반부의 연습 문제를 통해 성찰과 실행을 위한 질문에 대한 것이 구체적인 적용의 과정을 도출할 수 있겠느냐? 이다. 이 성찰과 실행에 대한 자료근거가 너무 부족하다는 생각을 떨쳐 버리기 어렵다. 그리고 앞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우리 나라의 교회 교육의 현 주소와 미국의 교회 교육의 현주소의 차이가 있음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앞으로 신학을 하는 우리에게와 기독교 교육에 관심을 가져 그 일에 종사하는 분들과 현 교회 목회를 담당하는 목회자에게 꼭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된다. 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기회를 준 마리아 해리스에게 감사드린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0.13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1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