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 제목
1. 실험 목적
2-1. 이론
2-2. 용어 정리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사항
1. 실험 목적
2-1. 이론
2-2. 용어 정리
3. 실험 장치
4. 실험 방법
5. 주의사항
본문내용
장치
미지의 전지, 표준전지, 가변저항, 검류계, power supply
< 그림 : 전위차계, 위 이론을 도식화 한 것과 같다.>
4. 실험 방법
1) 전위차계를 이용해서 그림 1과 같이 배선을 끝내고, 의 스위치는 on, 의 스위치는 off로 놓는다.
2) 전환 스위치 를 표준 전지 에 연결되도록 돌려 놓고, 스위치를 on으로 놓으면서 이동단자 를 이동해 간다.
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의 위치 를 정하고 기록한다.
4)의 스위치를 off로 하고, 미지전지 에 전환 스위치 를 옮겨 놓는다.
5) 다시 스위치를 on으로 연결하고 이동단자 를 이동해 간다.
6)에 전류가 이 되는 의 위치 를 정하고 기록한다.
7) 과정 3) ~ 6)까지를 5회 반복하여 기록하고 식 (6)을 사용하여 미지기전력 를 계산한다.
8) 다른 미지전지의 기전력을 위 방법에 의해서 측정한다.
5. 주의 사항
1. Power Supply는 미지의 기전력보다 더 높은 전압이어야 한다.
2. 실험 중 이동형 가변저항이 가열되어 뜨거우므로 화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3. Power Supply의 전압이 5 V 이상이 되면 가변저항의 온도가 상당히 올라가고 이로 인해서 철선이 휘어지므로 5 V 이상 올리지 않도록 한다.
4. 측정에 있어 검침봉의 사용방법은 저항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서 측정을 하여야 하며, 검류계의 바늘이 한쪽으로 꺽이는 위치에서 계속해서 저항선에 대고 있으면 안 된다. 심한 충격으로 검류계의 바늘이 한쪽 끝에서 부딪쳐 굽어지는 경우도 있다. 더욱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는 디지털 전압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미지의 전지, 표준전지, 가변저항, 검류계, power supply
< 그림 : 전위차계, 위 이론을 도식화 한 것과 같다.>
4. 실험 방법
1) 전위차계를 이용해서 그림 1과 같이 배선을 끝내고, 의 스위치는 on, 의 스위치는 off로 놓는다.
2) 전환 스위치 를 표준 전지 에 연결되도록 돌려 놓고, 스위치를 on으로 놓으면서 이동단자 를 이동해 간다.
3)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의 위치 를 정하고 기록한다.
4)의 스위치를 off로 하고, 미지전지 에 전환 스위치 를 옮겨 놓는다.
5) 다시 스위치를 on으로 연결하고 이동단자 를 이동해 간다.
6)에 전류가 이 되는 의 위치 를 정하고 기록한다.
7) 과정 3) ~ 6)까지를 5회 반복하여 기록하고 식 (6)을 사용하여 미지기전력 를 계산한다.
8) 다른 미지전지의 기전력을 위 방법에 의해서 측정한다.
5. 주의 사항
1. Power Supply는 미지의 기전력보다 더 높은 전압이어야 한다.
2. 실험 중 이동형 가변저항이 가열되어 뜨거우므로 화상에 주의하여야 한다.
3. Power Supply의 전압이 5 V 이상이 되면 가변저항의 온도가 상당히 올라가고 이로 인해서 철선이 휘어지므로 5 V 이상 올리지 않도록 한다.
4. 측정에 있어 검침봉의 사용방법은 저항선에 대해서 수직으로 세워서 측정을 하여야 하며, 검류계의 바늘이 한쪽으로 꺽이는 위치에서 계속해서 저항선에 대고 있으면 안 된다. 심한 충격으로 검류계의 바늘이 한쪽 끝에서 부딪쳐 굽어지는 경우도 있다. 더욱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는 디지털 전압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