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교육과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잠재적 교육과정(latent curriculum)의 배경
<학교 교육의 순기능과 역기능> ----------------------------p1

■본론
1. 잠재적 교육 과정이란? ------------------------------p2
1) 잠재적 교육의 개념 ---------------------------------------p2
2) 잠재적 교육과정의 장(場) ----------------------------------p3
3) 사회·심리적상황 -------------------------------------------p3
4) 잠재적 교육과정이 갖는 특성 --------------------------------p4
2. 잠재적 교육과정(학교생활)이 지니는 방향 -------p4
3.잠재적 교육 과정의 공헌 ------------------------------p4
4.잠재적 교육 과정의 사회적 의미 --------------------p5
1)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기능론적 입장 ------------------p5
2)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갈등론적 입장 ------------------p6
5.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의 관계 -----p6

■결론 -----------------------------------------------p9

본문내용

Bloom 은 흔히 말하는 정의적 교육목표인 태도나 가치관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두 교육과정의 조화를 통해서이다. 만약 잠재적 교육과정과 표면적 교육과정이 서로 갈등을 일으킬 때 잠재적 교육과정이 보다 우세한 위치에 서리라는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다라고 말하고 있다(황정규, 1972,p.171).
여덟째, 잠재적 교육과정을 찾아내어 이를 계획한다 하여도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이 구조는 변하지 않는다. 잠재적 교육과정은 학교제도가 있는 이상 언제나 잠재하고 있다. 사회와 인간의 가치관이나 욕구는 정태적이 아니라는 것이다. 현재의 사회가 변화하지 않고 또 인간의 가치관이나 욕구가 달라지지 않는다면, 잠재적 교육과정의 모든 부정적 측면을 발굴하여 계획할 수 있다는 가정이 성립된다. 그러나 오늘날과 같이 사회의 변화속도가 빠르며 다가치적이고 조건적인 가치가 많고 특수가치가 팽창하는 사회에서는 학교교육의 양태가 수시로 달라지기 때문에 모든 잠재적 교육과정을 계획화한다는 전제 자체가 성립되지 못한다.
아홉째, 표면적 교육과정 자체의 잠재적 기능이 있다.표면적 교육과정과는 무관하게 학교라는 제도자체 또는 사회 및 인간 자체의 변화성 때문에 파생되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것이었으나, 이와는 각도를 달리하여 교과의 계획과 의도에 의하여 나타나는 학습결과에 잠재적 교육과정이 있음을 간과할 수는 없다. 아무리 철저한 계획을 세워서 아동을 지도한다 하여도 아동들이 계획한대로만 배우는 것은 아니다. 즉 표면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은 마치 동전의 양면의 관계와도 흡사하며, 표면적 교육과정이 있으면 잠재적 교육과정이 뒤따른다. 이 뒤따르는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계획을 세워 표면화하면 이에 따라 종래와는 다른 잠재적 교육과정이 나타난다. 종래에 동시학습이라고 불러오던 개념이 바로 이에 해당한다.
< 결 론 >
오늘날 현대적 교육과정의 경향을 보면 첫째, 현대교육은 경험을 토대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의 개인차를 존중하여, 즉 학생들의 필요나 능력에 응할 수 있도록 개별적인 요구와 수준에 맞는 생활경험체계의 교육과정을 준비해야만 가능 하다. 그리고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경험체계의 교육과정은 활동 프로그램 또는 활동화된 교육과정의 성격을 갖게 된다.
둘째, 경험성을 기반으로 하는 현대 교육과정의 분과적인 경향을 지양하고 종합화된 구성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단편적 성격을 띠고 있던 교과와 교과 사이에 긴밀한 관련을 맺어야 하므로 교육과정의 종합화는 학문분야의 기준에 따라 분과적 교과를 다시 유사한 교과간의 관련과 통합으로 구성한 일종의 교과군화하는 것이다.
셋째, 경험성을 기반하는 하는 현대 교육과정의 중앙통제적이며, 일률적 교육과정 구성과 운영 및 관리를 지양하고 지역사회의 특수성에 따라 교육과정을 지역화하는 경향이다.
넷째, 지식의 구조를 중시하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정의적 영역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는비판에서 인간중심 교육과정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인간을 자아실현의 존재로 보고 교육과정을 자아실현의 과정으로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고자 하는 교육과정의 경향이다.
다섯째, 의도된 표면적 표현과정이 인지적 영역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데 비하여 의도되지도 않고 계획되지도 않는 잠재적 교육과정이 인간의 정서적·사회적·윤리적·인격적 면에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아 잠재적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종래의 교육과정의 개념은 교과에서 의도한 것만의 경험에 국한되어 있었다. 즉, 표면적 교육과정으로서 학교가 계획적으로 의도했던 목표를 가식적인 형태를 제공하는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현재는 학교생활을 하는중에 배우게 되는(의도적인 것+무의도적인 것)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앞으로 잠재적 교육과정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교육내용의 공정성, 개관성, 성실성을 확보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
잠재적 교육 과정/김종서/교육 과학사
교육과정탐구 /이홍우 저/박영사
http://artbin.com.ne.kr/5cheun/5bin/data/report5.hwp
http://www.prokang.pe.kr/instruction_room/cur_eva/cur_eva02_01.htm
http://web.edunet4u.net/Users/inja/mun019.htm
http://dream.celab.or.kr/~jun0/zb40pl4/data/%b1%b3%c0%b0%b0%fa%c1%a4.hwp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0.19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7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