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론
방법
결과
고찰
방법
결과
고찰
본문내용
그래프의 정상상태 도달을 위해 P,I,D 값을 조절하여 보다 정상적인 형태의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데이터를 엑셀로 불러온 모습이다.
위의 데이터를 엑셀로 불러온 모습이다.
7. 고찰
이번 실험은 PCT-M2을 이용하여 PID 및 FOPDT를 설계해보는 실험이다. PCT M2은 Level Control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리저버 탱크에서 프로세스 탱크로 PVC 파이프를 통해 연결된 펌프와 프로세스 탱크에서 리저버 탱크로의 유출을 제어하는 밸브로 구성된다. 프로세스 탱크의 수위는 압력 변환기를 사용하여 측정되며 시스템에 방해를 제공하기 위해 니들 유형의 배수 밸브가 장착된다. 실험을 통해 PCT M2의 구조 및 조작 방법과 FOPDT 설계 과정을 익힐 수 있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처음엔 그래프가 예측한 대로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Level를 측정할 때 정상상태인지 잘 확인하지 않았거나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실험을 진행하지 않았거나 엑셀로 FOPDT의 값을 구할 때 계산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P, I, D의 값을 다시 조절하였다. I의 값을 올리니 비교적 안정적인 개형의 그래프로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데이터를 엑셀로 불러온 모습이다.
위의 데이터를 엑셀로 불러온 모습이다.
7. 고찰
이번 실험은 PCT-M2을 이용하여 PID 및 FOPDT를 설계해보는 실험이다. PCT M2은 Level Control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리저버 탱크에서 프로세스 탱크로 PVC 파이프를 통해 연결된 펌프와 프로세스 탱크에서 리저버 탱크로의 유출을 제어하는 밸브로 구성된다. 프로세스 탱크의 수위는 압력 변환기를 사용하여 측정되며 시스템에 방해를 제공하기 위해 니들 유형의 배수 밸브가 장착된다. 실험을 통해 PCT M2의 구조 및 조작 방법과 FOPDT 설계 과정을 익힐 수 있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처음엔 그래프가 예측한 대로 나오지 않았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Level를 측정할 때 정상상태인지 잘 확인하지 않았거나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실험을 진행하지 않았거나 엑셀로 FOPDT의 값을 구할 때 계산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서 P, I, D의 값을 다시 조절하였다. I의 값을 올리니 비교적 안정적인 개형의 그래프로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