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건축의 사례와 영국건축 양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럽건축의 사례와 영국건축 양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로마네스크
2. 영국의 로마네스크
3. 고딕 건축(Gothic)
4. 영국의 고딕 건축
5. 튜더양식(tudor)
6. 르네상스(Renaissance)
7. 영국의 르네상스
8. 바로크(baroque)
9. 영국의 바로크
10. 근세 과도기 건축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11. 영국의 신고전주의
12. 낭만주의
13. 영국의 낭만주의
14. 절충주의
15. 영국의 절충주의

Ⅲ. 결론

본문내용

유럽국가에서 전개된 건축양식으로서 감각적, 역동적, 장식적 효과를 중시하였다.
9. 영국의 바로크
프랑스의 절대왕정이나 로마의 교황청 같은 강력한 후원자가 없었으므로 그 세력이 미약하였고, 프랑스로부터 도입되어 17c후반부터 18c 초까지 전개되었다.
크리스토퍼 렌(Christopher Wren, 1632~1723)
-원래는 수학자, 천문학자, 해부학자로서 후예 건축가로 활돌 17c 영국 건축계를 주도
-세인트 폴 성당, 세인트 스테판 성당
제임스 깁스 (James Gibbs, 1674~1726)
-세인트 마틴 성당
존 반브루(John Van brugh, 1664~1726)
-블렌하임 성, 하워드 성
로버트 아담(Robert Adam, 1728~1792)
-켄우드
세인트 폴 성당( St. Paul Cathedral)↑
↑세인트 마틴 성당 (St. Martin’s Church) ↑블렌하임 성 (Blenheim Palace )
← 켄우드 하우스 (Kenwood House)
10. 근세 과도기 건축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18c전반 고대유적에 대한 발굴과 고고학적 연구가 활발하여 고전건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시대를 초월하는 절대적 美는 그리스 로마의 건축이라고 믿었다.
그리스, 로마 건축양식의 정확한 복원 모방에 열중하였다.
르네상스 건축- 로마건축을 규범으로 창조적으로 이용하였다.
신고전주의 건축- 그리스, 로마건축을 정확하게 복원하는데 주력하였다.
11. 영국의 신고전주의
주범, 열주랑, 박공(pediment), 엔타블레춰(entablature)등을 이용한 그리스 복고양식이 성행하였다.
스머크 경(Sir Smirke, 1780~1867)
-대영 박물관: 그리스 양식을 재현한 영국 신고전주의 건축의 대표작
존 소안 경(Sir John Soane, 1753~1837)
-잉글랜드 은행
대영박물관 (British Museum) 잉글랜드은행 (Bank of England)
12. 낭만주의
신고전주의 건축에 반발하여 발생하였다.
고대보다는 중세의 고딕양식에 주목하였고, 자신들의 국가와 민족이 기원이 중세에 있는 것으로 보고 중세양식을 낭만주의의 이상으로 삼았다.
구조와 재료의 정직한 표현이라는 진실성이 반영된 고딕건축의 양식과 방법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시도하였다.
13. 영국의 낭만주의
낭만주의 건축의 발상지로서 유럽에 전파하였다.
영국의 낭만주의 건축은 후에 19c말의 현대 건축 운동인 미술공예운동을 유발하였다.
찰스베리경(Sir Charles Barry, 1795~1860)
-영국 국회의사당
← 국회의사당
(Houses of Parliament)
14. 절충주의
신고전주의 건축과 낭만주의 건축을 통해 과거 건축 양식 복원에 의한 새로운 건축양식의 접근방법을 습득하였고, 활발하고 광범위한 역사의 연구를 통하여 과거 건축양식 전반에 관한 지식이 증대하였다.
과거 양식에 관한 객관적 이해와 평가로 사라센, 비잔틴, 바로크 등 건축양식 선택 대상의 범위가 확대대어 일정한 양식에 국한되지 않고 과거의 모든 양식을 이용하였다.
과거양식의 절충을 통하여 새로운 양식의 창조를 시도하였고, 일정한 기준이 없이 건축가의 주관에 의해 각종양식을 선택하거나 종합하였다.
15. 영국의 절충주의
존 나쉬(John Nash, 1752~1835)
- 로얄 파빌리온(Royal Pavilion)
- 브라이튼 (Brighton)궁 이라고도 이름
- 동양의 사라센양식과 고딕양식의 혼
- 합양식
존 프란시스 벤트리(John Francis Bently)
- 웨스트민스터 성당(Westminster Cathedral)
- 영국 가톨릭 교회의 본부
- 런던에서 유일한 네오비잔틴 양식의 건축물
- 내부는 대리석과 속이 빈 벽돌로 되어있다.
- 비잔틴 양식을 기본으로 하여 여러 양식을 절충
↑로얄 파빌리온(Royal Pavillion) 웨스트민스터 성당↑(Westminster Cathedral)
Ⅲ. 결론
나는 이번 과제물로 인해 유럽건축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많은 것을 깨닫게 되었다. 예전에는 눈여겨보지 않았던 것을 이번계기로 자세하게 조사, 관할 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이렇게 조사하면서 아직도 유럽건축에 대해서 많은 것을 알지 못한다. 우선 영국 건축물을 보고 뾰족하고 웅장한 건축물에 놀라고 어떻게 지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도 많은 것을 알지 못하지만 유럽건축에 대해서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는 것에 시발점이라 생각하고 거기에 큰 의의를 두게 되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0.20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