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다이오드의 원리
Ⅱ. 다이오드의 특성
Ⅲ. 다이오드의 종류
1. 범용 다이오드
2. 쇼트키 베리어 다이오드
3. 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4. 발광 다이오드 (LED)
5. 가변용량 다이오드 (배리캡 또는 버랙터)
6. 브릿지 다이오드
Ⅱ. 다이오드의 특성
Ⅲ. 다이오드의 종류
1. 범용 다이오드
2. 쇼트키 베리어 다이오드
3. 정전압 다이오드(제너 다이오드)
4. 발광 다이오드 (LED)
5. 가변용량 다이오드 (배리캡 또는 버랙터)
6. 브릿지 다이오드
본문내용
용 값은 중요한 체크 포인트이다 역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경우, 역방향 전류는 흐르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6) 브릿지 다이오드
교류전압(주파수를 포함하는 전압; 대한민국의 가정용 전압의 상용 주파수는 60 ㎐, 220V이다.50㎐를 쓰는 나라도 있는데, 기기에 50㎐라 써있으면 두 주파수모두 사용가능한데,60㎐기기는 50㎐에서 사용할 수 없다. 220V를 쓰는 것은 공급측의 손실을 최소하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안전을 생각하지 않은 것이라 볼 수 있다. 110V보다 220V는 위험하다.) 을 직류전압(주파수가 없는 0인)으로 바꾸기 위해 정류용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하나의 다이오드는 반파정류(+와 -가 교대로 변화하는 전압의 + 또는 - 중에서 한쪽만 사용)밖에 할 수 없지만, 다이오드를 4개 조합하면 전파정류를 할 수 있다. 4개를 조합한 것이 다이오드 브리지(diode bridge)이다.
그림은 브리지 다이오드이다. 좌의 우측 - 1A의 다이오드 브리지로, 직경이 10mm, 높이가 7mm의 원주형으로 되어 있다. 좌의 좌측 - 4A의 다이오드 브리지로, 평판 모양을 하고 있다. 폭 19mm, 높이 16mm, 두께 6mm이다.우측은 대전력용 다이오드 브리지이다. 전류용량은 15A까지 흘릴 수 있다. 또, 역전압 내압도 400V이다. 중심에 나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이 정도의 전류용량이라면 방열을 하기 위해 금속판에 나사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크기는 1변이 26mm, 모듈 부분의 높이가 10mm이다.
브리지 다이오드는 대부분 수100V의 역 전압에 견디는 소자들이다.
(6) 브릿지 다이오드
교류전압(주파수를 포함하는 전압; 대한민국의 가정용 전압의 상용 주파수는 60 ㎐, 220V이다.50㎐를 쓰는 나라도 있는데, 기기에 50㎐라 써있으면 두 주파수모두 사용가능한데,60㎐기기는 50㎐에서 사용할 수 없다. 220V를 쓰는 것은 공급측의 손실을 최소하하는 것이며, 사용자의 안전을 생각하지 않은 것이라 볼 수 있다. 110V보다 220V는 위험하다.) 을 직류전압(주파수가 없는 0인)으로 바꾸기 위해 정류용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하나의 다이오드는 반파정류(+와 -가 교대로 변화하는 전압의 + 또는 - 중에서 한쪽만 사용)밖에 할 수 없지만, 다이오드를 4개 조합하면 전파정류를 할 수 있다. 4개를 조합한 것이 다이오드 브리지(diode bridge)이다.
그림은 브리지 다이오드이다. 좌의 우측 - 1A의 다이오드 브리지로, 직경이 10mm, 높이가 7mm의 원주형으로 되어 있다. 좌의 좌측 - 4A의 다이오드 브리지로, 평판 모양을 하고 있다. 폭 19mm, 높이 16mm, 두께 6mm이다.우측은 대전력용 다이오드 브리지이다. 전류용량은 15A까지 흘릴 수 있다. 또, 역전압 내압도 400V이다. 중심에 나사를 통과시키는 구멍이 뚫어져 있으며, 이 정도의 전류용량이라면 방열을 하기 위해 금속판에 나사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크기는 1변이 26mm, 모듈 부분의 높이가 10mm이다.
브리지 다이오드는 대부분 수100V의 역 전압에 견디는 소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