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 전반의 흐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세 시대의 교육

2. 문예부흥과 인문주의 교육

3. 종교개혁기의 교육

4. 17C 실학주의의 교육

5. 18C의 교육(계몽주의의 교육)

6. 19C 근대 유럽의 교육(신인문주의, 국가주의, 노작교육)

본문내용

함께 계발되어야 한다.
출생초기는 잠재력 발달, 출생 후 3년 이내는 세부인지, 양손 사용, 걷기, 언어획득에 민감한 시기라고 강조하였다.
(4) 교사의 역할 : 관찰자로서의 태도를 지닌다.
38. 엘렌케이(Ellen Key, 1849~1926) : 『아동의 세기』
1) 교육목적 : 아동의 개성을 신장시키고 인격을 존중하고 아동의 자연성에 의하여 지 적, 도덕적, 창작적 운동을 발전시키는 데 있다.
2) 교육방법 : 아동의 교육은 소극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 아동은 존중되어야 한다.
그가 제시하는 가정학교로서의 미래학교는 학적부, 상벌, 시험이 없고, 남 녀차별, 계급의 차도 없고, 교과서도 없고, 학습은 자유선택하며 강제로 가 르치지 아니한다.
39. 듀이(John Dewey, 1859~1952)
* 저서:『학교와 지역사회』,『민주주의와 교육』,『경험과 교육』,『아동과 교육과정』, 『나의 교육학적 신조』
1) 교육의 개념 :
(1) 교육은 생활이다.
(2) 교육은 성장이다.
(3) 교육은 계속적인 경험의 재구성이다.
(4) 교육은 사회적 과정이다.
2) 교육목적 : 교육목적을 생명의 발전으로 보고, 그것은 또한 생물자연의 요구라는 것이다.
3) 교육내용 : 생활경험에 필요한 가치적인 교과
4) 교육방법 : 논리성 교재의 심리화와 실용주의 입장에서 교재의 가치등급을 정하 고 지식을 위한 지식교육을 배격하고 경험주의, 실용주의, 작업주의 등의 생활교육의 원리를 논하였다.
특히 학습 지도면에서 '학생이 어떻게 학습할 것인가?'하는 것을 중요 시했으며 여기에서 그는 문제해결학습을 주장하였다. 학습지도법의 문제 는 결국 아동의 힘과 흥미의 발달 순서의 문제로 돌릴 수 있다.
5) 교육학의 5가지 기본이념(『나의 교육학 신조』)
(1) 교육이란 무엇인가? : 교육은 인류의 사회의식에의 참여이다.
(2) 학교란 무엇인가? : 학교는 개인을 사회화하는 기관이다.
(3) 교육내용은 무엇이 되야 하는가?
: 그것은 아동의 노력과 성과에 대한 무의식적인 통일과 배경을 주는 사회활동 그 자체이어야 한다.
(4) 가장 바람직한 교육방법은 무엇인가?
: 아동의 본성의 전개에 있어서는 능동적인 면이 수동적인 면보다 선한다.
따라서 능동적인 활동을 촉구하는 활동 학습(learning by doing)이 가장 좋다.
(5) 교육과 사회진보는 어떤 관련을 가야 하는 가?
: 교육은 사회진보를 가져오는 가장 근본적인 수단방법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0.25
  • 저작시기200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