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경복궁 선정 이유
Ⅱ. 경복궁, 무엇을 볼 것인가?
Ⅲ. 500년 전 경복궁 속으로 떠나는 여행
Ⅳ. 경복궁 답사 후기
Ⅱ. 경복궁, 무엇을 볼 것인가?
Ⅲ. 500년 전 경복궁 속으로 떠나는 여행
Ⅳ. 경복궁 답사 후기
본문내용
고 보기엔 너무나 작은 집이라는 것이다. 내 앞에 가던 두 남녀도 이것이 의심스러운 듯이 서로에게 질문을 했다. 집에 와서 살펴보니, 실제로 명성황후를 시해한 곳은 옥호루란 곳인데 일본이 없앴다고 한다.
Ⅳ. 경복궁 답사 후기
조선 초부터 태조가 나라를 건국하면서부터, 세종이 집현전에서(지금의 수정전) 한글을 창제하고, 조선말 을미사변까지 조선의 역사가 그대로 베어있는 경복궁을 돌아보며, 그야말로 산 역사를 느꼈다.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 근정전과 북한산과 멋들어지게 조화를 이룬 건물들, 아름다운 호수와 경회루, 그리고 처마 끝 재미난 잡상에 이르기 까지 어느 하나 부족하고 빠지는 곳이 없었다. 과연 조선 최고의 궁궐이라고 칭할 만 하였다. 건축이나 한국의 미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한 답사인데도, 난 이번 답사가 뿌듯하고 즐거운 기억으로 남았다. 다만 너무나 안타까웠던 것은 예전의 궁궐의 모습이 일제에 의해 많이 훼손되었다는 것이다. 내가 경복궁을 방문 했을 때는 태원전의 복원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경복궁 복원 공사가 수천억 원을 들여서 2025년까지 계속된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었다. 앞으로 20년 후에는 지금보다 더 예전의 모습을 되찾은 경복궁이 완성되어있기를 바란다. 그래서 앞으로 후세들에게 좀 더 나은 모습의 문화유산을 남겨주어야 겠다. 그것이 우리의 아픈 과거를 빨리 청산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 잡는 길이라는 생각이 든다. 미술사는 단지 예술적, 미술적 영역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에 큰 뿌리를 박고 있다는 깨달음과 함께 이번 답사기를 마치려한다.
Ⅳ. 경복궁 답사 후기
조선 초부터 태조가 나라를 건국하면서부터, 세종이 집현전에서(지금의 수정전) 한글을 창제하고, 조선말 을미사변까지 조선의 역사가 그대로 베어있는 경복궁을 돌아보며, 그야말로 산 역사를 느꼈다.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 근정전과 북한산과 멋들어지게 조화를 이룬 건물들, 아름다운 호수와 경회루, 그리고 처마 끝 재미난 잡상에 이르기 까지 어느 하나 부족하고 빠지는 곳이 없었다. 과연 조선 최고의 궁궐이라고 칭할 만 하였다. 건축이나 한국의 미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한 답사인데도, 난 이번 답사가 뿌듯하고 즐거운 기억으로 남았다. 다만 너무나 안타까웠던 것은 예전의 궁궐의 모습이 일제에 의해 많이 훼손되었다는 것이다. 내가 경복궁을 방문 했을 때는 태원전의 복원이 한창 진행 중이었다. 경복궁 복원 공사가 수천억 원을 들여서 2025년까지 계속된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었다. 앞으로 20년 후에는 지금보다 더 예전의 모습을 되찾은 경복궁이 완성되어있기를 바란다. 그래서 앞으로 후세들에게 좀 더 나은 모습의 문화유산을 남겨주어야 겠다. 그것이 우리의 아픈 과거를 빨리 청산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 잡는 길이라는 생각이 든다. 미술사는 단지 예술적, 미술적 영역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에 큰 뿌리를 박고 있다는 깨달음과 함께 이번 답사기를 마치려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