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답사 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복궁 답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목차

2. 경복궁 선정 동기
① 경복궁이 조선시대 주거문화의 집약적인 모습이라고 판단했기 때문
② 경복궁의 모습을 통해 조선시대 역사를 추측해 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
③ 경복궁의 국보와 보물을 통해 조선의 문화를 알아볼 수 있다고 파악했기 때문

3 사전조사
① 경복궁
② 궁궐 개요
③ 답사 정보

4. 경복궁의 역사
① 태조
② 창건
③ 복구 논의
④ 재건
⑤ 중건 이후

5. 경복궁의 문화
① 문화재
② 유형
③ 무형
④ 기타

6. 감상

본문내용

과 외수(外水)인 한강이 흐르는 명당 터이다. 왼쪽에는 종묘가 있고 오른쭉에 사직단이 자리잡았는데, 이는 중국에서 고대부터 지켜져오던 도성의 건물 배치의 기본형식이다. 고종 때 중건된 궁의 형태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으로 남면(南面)을 하였으며 궁의 주요 건물들도 모두 남향이다.
건물의 배치는 앞쪽에 정전과 편전들이 놓이고 뒤쪽에 침전과 후원이 자리잡아 이른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격식이다. 이것은 조선시대의 다른 궁궐들이 정전과 침전들이 좌우에 놓이거나 앞뒤의 관계가 불분명한 것과 대조를 이루는데, 이 궁이 조선조의 정궁이므로 특히 엄격한 규범을 나타낸다.
주요건물의 위치를 보면 궁 앞면에 광화문이 있고 동·서쪽에 건춘(建春)·영추(迎秋)의 두 문이 있으며 북쪽에 신무문이 있다. 궁성 네 귀퉁이에는 각루가 있다. 광화문 안에는 흥례문이 있고 그 안에 개천(開川) 어구(御溝)가 있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나간다. 어구에 돌다리인 금천교(錦川橋)가 놓여 있고 다리를 건너면 근정문이 있고 문을 들어서면 정전인 근정전이 이중으로 높이 쌓은 월대 위에 우뚝 솟아 있다. 근정전 뒤의 사정문을 들어서면 왕이 정사를 보는 곳인 사정전이 있고 그 동·서쪽에 만춘전(萬春殿)·천추전이 모두 남향으로 놓여 있다. 사정전 뒤 향오문(嚮五門)을 들어서면 정면에 연침(燕寢)인 강녕전이 있고 그 앞 동서 양쪽에 연생전·경성전이 있다.
강녕전 뒤에는 양의문(兩儀門)이 있고 문 안에 왕비가 거처하는 교태전이 있으며 잇대어서 동쪽에 원길헌(元吉軒), 서쪽에 합광각(含光閣), 동북쪽에 건순각(健順閣)이 있다. 그뒤로는 후원이 전개되어 소나무가 우거지고 연못·정자 등이 여기저기 자리잡고 있다. 흥례문으로 부터 이곳까지에는 동서로 낭무(廊 )가 각 건물을 둘러싸고 있다. 이밖에 궁 서쪽에 수정전이 있고 그 위에 경회루가 있는데 수정전은 의정부 청사로 쓰였던 곳이며, 경회루는 양금과 신하들이 모여 잔치를 베풀던 곳이다. 또한, 건춘문과 영추문 안에도 수많은 건물들이 들어차 있었다.
Ⅵ 감상
1.
학창시절, 우연한 계기로 서울 5대 고궁 탐사에 참여한 적이 있다. 인천 밖을 벗어나 본 적이 없던 나로서는 처음으로 서울 소재의 문화재를 답사할 수 있었던 기회였다. 그 나이 먹도록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고궁을 한 번도 안 가 봤다는 부끄러움을 안고 가장 먼저 방문했던 곳이 바로 경복궁이었다. 서울 경제의 메카라고 손꼽히는 종로에서 바라본 경복궁의 모습은 가히 이색적이었다. 현대 속의 역사, 경제 속의 문화.
탐사 활동에 참여하면서 경복궁이 가지는 의미를 배울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경복궁에 용마루가 있는 궁과 없는 궁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궁의 계단 가운데에는 왜 용 문향이 아닌 봉황 문향이 새겨져 있는지, 계단 가운데에 문향이 있다면 왕은 어떻게 이동할 수 있는지, 궁내의 해태가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자세하게 학습할 수 있어서 잊지 못할 산 교육으로 생각하고 있다.
시간이 조금 더 지나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듣고, 관광과 지리와 한국 근현대사 수업을 들으며 우리 문화와 우리 역사에 관해 조금 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된 것 같다. 더군다나 한국의 역사와 문화 기말 레포트가 답사 보고서로 결정되면서, 나는 주저할 것 없이 경복궁을 다시 방문해 봤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다시 방문한 경복궁은 여전히 아름다웠다. 처음 방문했을 때 복구 공사중이던 근정전은 근엄하고 엄숙한 자태를 뽐내고 있었고, 교태전은 아직까지도 아름다운 단풍과 색채로 멋스러운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건축양식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이리라.
답사 후 작성하는 보고서를 통해 경복궁의 모습 속에 담긴 역사를 다시 한 번 살펴보면서
느끼는 벅찬 감동과 함께 뼈저린 아픔이었다. 장엄한 조선 건국과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아픔, 명성황후 시해의 끔찍하고 잔인한 사건, 일제 하에 정치적으로 파괴되어간 경복궁의 모습들...
이제라도 다시 복원된 경복궁을 더욱 아끼고 사랑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 없다. 그래도 새는 지저귀듯이.
2.
경복궁을 마지막으로 방문한 것이 대략 4년여 전인 것 같다. 중학교 시절 소풍으로 전교의 친구들과 함께 다녀왔던 것이다. 그 당시에는 경복궁을 답사하는데 있어, 그것의 역사적 문화적인 측면에서 감상하기보다는 그저 답답한 일상 속에서 탈출해 친구들과 웃고 즐기며 시간을 보냈던 기억이 난다. 근정전을 보되 그것이 지니고 있는 웅장하고 위엄있는 자태를 느끼며 조선 왕조의 숨결을 느끼기 보다는, 그저 옛날부터 책으로만 읽어왔던 경북궁에 대한 감상을 기준삼아 크고 멋있다는 단순한 느낌만을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그 나이에 그저 친구들과 웃고 떠들기만 하지 않고 조금이나마 경복궁을 관찰하게 했던 것에 나는 자부심을 갖는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역시 경복궁을 좀 더 여유를 갖고 차분한 시각으로 살펴보지 못했음이다. 때문에 이번 과제를 부여받고 나서 가장 먼저 떠오른 목적지는 경복궁이었다.
첨단과 현대화의 극을 달리는 세계적인 도시 서울의 한복판에 그 웅장하고 고고한 자태를 뽐내고 있는 경복궁은 변한게 없었다. 오로지 변한 것이라고는 나 자신 뿐이었다. 과연 그 동안 인생을 헛산 것은 아니었는지 오랜만에 접하는 경복궁에 대한 느낌은 그 때와는 달랐다.
광화문이라는 역사적 건축물 안에서, 맑은 하늘 아래에 깨끗한 햇살이 차창들과 건물들에게 반사되는 모습은 시공간을 초월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 같은 기묘한 느낌을 주었다. 긍전전을 바라보되 그 피상적인 겉모습만 보지 않고, 항상 경복궁을 수호하고 있는 인왕산과 북한산과의 조화는 어떤지, EH 주위에 자리잡고 있는 해태들의 위치는 어떻고 왜 다 있는 용마루가 근정전 위에만 없는지에 대한 의구심도 들었던 것은 경복궁을 이해하는데 있어 한발짝 더 다가선 느낌을 주었다.
물론 답사 목적이 명확히 정해져 있었기 때문에 이런 태도로 관람을 했을지는 모른다. 그러나 이유야 어떻든 조선 왕조의 명실상부한 주궁인 경복궁을 더 깊이 아아보고 느끼는데 그 누가 비난할것인가?
답사를 마치며 비록 조원은 둘 뿐이었지만 더할 나위 없었던 훌륭한 답사였다고 생주한다.

키워드

경복궁,   답사,   감상,   보고서,   역사,   문화,   문화재,   한국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12.21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8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