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화교의 기원과 분포
1. 화교와 화인
2. 화교의 이주 역사
1) 제 1기
2) 제 2기
3) 제 3기
4) 제 4기
Ⅱ. 화교의 형성 요인과 분포
Ⅲ. 한국화교의 형성과 변화 과정
1. 한국화교 이주의 역사적 배경
2. 이주 초기의 역사적 배경
3. 화교단체
4. 동남아시아 화교 형성과정의 특징
5. 동남아시아 화교 경제활동의 특징
Ⅳ. 결 론
1. 화교와 화인
2. 화교의 이주 역사
1) 제 1기
2) 제 2기
3) 제 3기
4) 제 4기
Ⅱ. 화교의 형성 요인과 분포
Ⅲ. 한국화교의 형성과 변화 과정
1. 한국화교 이주의 역사적 배경
2. 이주 초기의 역사적 배경
3. 화교단체
4. 동남아시아 화교 형성과정의 특징
5. 동남아시아 화교 경제활동의 특징
Ⅳ. 결 론
본문내용
2세, 3세가 아직까지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 그것은 우리 사회의 배타성에 주로 기인한 것이다. 일제의 강점이나 한국전쟁, 중국 대륙의 공산혁명과 같은 역사적인 사건이 화교의 입지를 좁게 만들고, 화교의 경제적 기반을 파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이 끝난 후부터 1990년대 말까지 정부가 취한 외국인에 대한 정책은 국내 출생 화교들이 차별로 받아들이기에 충분하였고, 이 사회에 뿌리를 내리는 대신 제3국으로의 이민을 선택하도록 만들었다. 외국인에 대한 외환규제와 창고봉쇄조치, 통화개혁은 일제식민시기와 한국전쟁 속에서도 한국을 떠나지 않았던 화교들에게 큰 타격을 주었고, 외국인 토지소유 제한은 경제성장 속에서 결실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길을 막았다. 무역업과 농업에서 음식업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었던 화교들은 재료사용량 제한, 가격 제한, 영업 제한 등의 각종제약 속에서 현상유지에 만족하여야 했다. 동남아시아 화교들이 노역과 행상에서 출발하였지만, 자본을 축적하고 사업을 다각화하면서 세계적인 재벌로 성장한 것과 대조적이다. 개항 초기 국내에 들어온 화교의 2/3 이상이 인천에 거주하였고, 지금도 15%인 3천 여명이 인천에 거주하고 있다. 인천시정부나 지역주민이 의도적으로 화교를 차별대우하지는 않았지만, 국내 화교가 처한 상황이 인천에서도 그대로 재현되었다. 외국인의 토지소유를 금지하는 조치로 화교들의 공동소유인 인천 소재 화교묘지를 빼앗겼고, 청국 조계지였고 현재 화교들이 5백여 명 거주하고 있는 차이나타운 개발 계획에서일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하였다. 최근 몇 년 동안 국내화교의 처지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법개정이 이루어졌다. 정기적으로 외국인 등록을 할 필요가 없어지고, 귀화 절차도 간소해졌다. 그러나 은행을 이용하고, 인터넷 사이트에 등록하는 것과 같은 실생활의 문제는 법개정만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사회의 소수 구성원을 배려하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질 때 비로소 가능한일이다. 기본권 중 하나인 참정권을 확보하는 것도 아직은 요원한 일로 여겨진다. “同則不繼, 和則相生”. 국내화교를 진정한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일 때, 동남아시아나 미국 등지에서 마음껏 재능을 발휘하는 화교들처럼 그들이 재능을 발휘하도록 할 수 있고, 자본과 경쟁의 논리가 아닌 공동번영의 차원에서 우리나라가 세계화로 나아가는 데 그들이 기여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