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장. 서구 보수주의의 기원과 발전
1. 인식의 틀. (개념)
2. 본 질
3. 기 원
4. 보수주의 종교관, 인간관, 국가관
5. 보수주의의 주요가치
2장. 한국 보수주의 성격과 발전 방향
1. 서구 보수주의 사상의 전개
2. 한국 보수주의 특징
3. 보수 정당론
<결 론>
<본 론>
1장. 서구 보수주의의 기원과 발전
1. 인식의 틀. (개념)
2. 본 질
3. 기 원
4. 보수주의 종교관, 인간관, 국가관
5. 보수주의의 주요가치
2장. 한국 보수주의 성격과 발전 방향
1. 서구 보수주의 사상의 전개
2. 한국 보수주의 특징
3. 보수 정당론
<결 론>
본문내용
다. 북한을 동족으로 보느냐, 현실적으로 대치하는 적성국가로 보느냐의 차이입니다.
3. 보수 정당론
지금 사회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40~60대의 가장 세대는 6.25를 겪었거나, 그 후의 가난을 겪었습니다. 실제로 전쟁을 겪었고, 50~60년대 엄청나게 많은 공비 침투사건 등을 겪으면서, 많은 희생을 치뤘습니다. 그런 경험이 북한을 못 믿을 존재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외부에 대해 폐쇄적인, 특히 한국에 대해서 폐쇄적인 북한 체제가 그걸 더욱 확신시켰습니다. 또 6.25 이후 지속된 군비경쟁을 통해 북한이 대남 적화 전술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확신하는 것입니다. 또 오랜 사회경험으로 사람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이 없다고 해야겠죠. 사람의 마음은 자기도 모른다는 걸 절실히 알고 있는 분들이라 그런 것입니다. 민족애를 외치다가 언제든지 마음을 바꿔서 나를 칠지도 모른다로 북한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또 북한은 충분히 그럴 능력이 있고, 노동당 강령 등으로 그런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여전히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 현실에 바탕을 두고 대 북한 강경론을 말하는 것이고, 그게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기본 정책이었습니다. 그 정책을 바꾸지 말자고 하니까 보수주의가 되는 것입니다.
<결 론>
“한국의 보수주의”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꼭 묵은 신문철의 사설을 읽는 기분이 들었는데 우리나라는 절대 권력자인 대통령이 통치를 하지만 대통령 자신도 국정운영을 할 때에는 진보 혹은 보수진영의 눈치를 보는구나 하는 느낌이 들 정도다.
요즘에는 뉴라이트라는 신조어도 생겨났지만 예전에는 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1년 국정운영계획을 밝힐 때 보수, 진보 어느 진영에서 든 자신들의 생각과 다른 방향의 내용이 발표될 때는 집요하게 문제를 제기하여 8.15경축사를 할 때쯤에는 양진영의 눈치를 의식한 듯한 변경된 내용이 나오고 마는 실정이다. 끊임없이 밀고 밀리는 보수와 진보의 대결양상 속에서 대통령마저도 자신의 정책을 소신껏 펼치기 어렵고 눈치를 보는 듯 한 이러한 것은 국익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국민들이 대통령에게서 통솔력이나 지휘력, 카리스마를 느낄 수 있는 흔들림 없는 국정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는 국민들 개개인이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표하고 어느 진영에서든 반대를 위한 반대, 자신의 집단만을 위한 집단이기주의적 행동은 국익을 위하여서도 자제해 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3. 보수 정당론
지금 사회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40~60대의 가장 세대는 6.25를 겪었거나, 그 후의 가난을 겪었습니다. 실제로 전쟁을 겪었고, 50~60년대 엄청나게 많은 공비 침투사건 등을 겪으면서, 많은 희생을 치뤘습니다. 그런 경험이 북한을 못 믿을 존재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외부에 대해 폐쇄적인, 특히 한국에 대해서 폐쇄적인 북한 체제가 그걸 더욱 확신시켰습니다. 또 6.25 이후 지속된 군비경쟁을 통해 북한이 대남 적화 전술을 포기하지 않았다고 확신하는 것입니다. 또 오랜 사회경험으로 사람에 대한 무조건적인 믿음이 없다고 해야겠죠. 사람의 마음은 자기도 모른다는 걸 절실히 알고 있는 분들이라 그런 것입니다. 민족애를 외치다가 언제든지 마음을 바꿔서 나를 칠지도 모른다로 북한에 대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또 북한은 충분히 그럴 능력이 있고, 노동당 강령 등으로 그런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여전히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런 현실에 바탕을 두고 대 북한 강경론을 말하는 것이고, 그게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기본 정책이었습니다. 그 정책을 바꾸지 말자고 하니까 보수주의가 되는 것입니다.
<결 론>
“한국의 보수주의”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꼭 묵은 신문철의 사설을 읽는 기분이 들었는데 우리나라는 절대 권력자인 대통령이 통치를 하지만 대통령 자신도 국정운영을 할 때에는 진보 혹은 보수진영의 눈치를 보는구나 하는 느낌이 들 정도다.
요즘에는 뉴라이트라는 신조어도 생겨났지만 예전에는 대통령이 연두기자회견에서 1년 국정운영계획을 밝힐 때 보수, 진보 어느 진영에서 든 자신들의 생각과 다른 방향의 내용이 발표될 때는 집요하게 문제를 제기하여 8.15경축사를 할 때쯤에는 양진영의 눈치를 의식한 듯한 변경된 내용이 나오고 마는 실정이다. 끊임없이 밀고 밀리는 보수와 진보의 대결양상 속에서 대통령마저도 자신의 정책을 소신껏 펼치기 어렵고 눈치를 보는 듯 한 이러한 것은 국익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국민들이 대통령에게서 통솔력이나 지휘력, 카리스마를 느낄 수 있는 흔들림 없는 국정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앞으로는 국민들 개개인이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표하고 어느 진영에서든 반대를 위한 반대, 자신의 집단만을 위한 집단이기주의적 행동은 국익을 위하여서도 자제해 주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추천자료
한국정보경찰의 기능 및 조직에 관한 연구
스톡옵션의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도입 배경 및 각국의 사례 그리고 한국
재가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한국 이벤트 발전에 관한 연구
국내기업의CRM고객관계관리성공요인에관한연구
기업집단의지배구조개선방향에관한연구
부당행위계산부인에관한연구
위치정보서비스사업모델에관한연구
인터넷무역에관한국제논의와해결과제연구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전자정부 발전방안에 관한연구.
관광지이미지의형성에관한연구
동북아지역의 철도를 연계한 북한지역 관광사업 활성화에 관한연구방안
여행사인터넷마케팅에관한연구
관광호텔내부마케팅전략방안에_관한_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