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DP 개요
PDP 정의
PDP 역사
PDP 분류 특징
PDP 구조 발광원리
PDP 재료 제조공정
PDP 구동방식
PDP 정의
PDP 역사
PDP 분류 특징
PDP 구조 발광원리
PDP 재료 제조공정
PDP 구동방식
본문내용
된다. 아직은 여러 가지 과제가 남아 있지만 CRT에 대비한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진다.
◎ PDP 시장현황
2006년 2사분기 세계 PDP TV 출하 대수 220만 대
○ 디스플레이 시장 전문 조사기관인 DisplaySearch가 2006년 8월 24일 발표한 ‘Quarterly Global TV Shipment and Forecast Report’에 따르면 2006년 제2사분기 세계 PDP TV 출하 대수는 220 만 대로, 1사분기 대비 30%, 전년 동기 대비 95% 급증
- 전체 TV 시장 가운데 PDP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1사분기 4%에서 5%로 상승
○ 지역적으로 보면, 전 지역에서 전망치보다 3% 이상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특히 중국은 1사분기 대비 최소 20%,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의 높은 성장세
- 북미 지역의 점유율(34%)은 대형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에 힘입어 출하 대수 기준으로는 최초로 유럽(32%)을 앞섬. 참고로 북미 지역은 2사분기 50인치 PDP TV 세계 시장의 63%를 차지
- LCD TV가 소형 PDP TV 시장을 잠식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 TV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북미 지역이 앞으로 PDP TV 시장을 선도할 것
- 중국의 PDP TV 생산량은 자국 브랜드들이 40~47인치 LCD로 무게중심을 옮겨감에 따라 2분기 연속 하락. PDP TV가 중국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
○ 북미 지역에서는 50인치 PDP TV가 판매대수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50~54인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반의 RP(Rear Projection) TV를1) 앞섬
- 이는 PDP TV의 가격이 지난 수년간 50% 이상 하락, 1,400달러 이하로 떨어져 가격 차가 줄어들어든데 힘입은 것
- 50인치 PDP TV는 유럽, 일본 및 여타 지역에서도 LCD TV, RP TV 등 경쟁 기술을 앞선 것으로 조사됨
○ 매출액 기준으로 보면 2사분기 세계 PDP TV 시장규모는 49억 달러로 1사분기 대비 23%, 전년 동기 대비 57% 성장
- 가격 하락 속도가 빨라 출하량 증가폭보다 매출액 증가폭이 적음
- 세계 TV 시장 매출액에서 PDP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1사분기 18%에서 2사분기 20%로 상승
○ PDP TV 시장을 사이즈 측면에서 살펴보면, 42~43인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절대적이나 점유율은 78%에서 73%로 하락. 이는 37인치와 50인치 이상 제품의 점유율이 조금 늘어났기 때문
- 평균 인치 수는 43.4에서 43.7인치로 약간 상승. 42~43인치 HD급 PDP TV의 점유율은 36%에서 43%로 상승하여 가장 많이 팔린 PDP TV가 되었으며, 처음으로 42인치 ED급을 앞지름
- HD급의 가격이 ED급보다 두배의 속도로 하락하면서 양자 간의 가격차는 881 달러에서 666 달러로 좁혀짐
* 전체 PDP TV 출하량에서 HD급이 차지하는 비중은 56%에서 70%로 상승
○ Panasonic은 8분기 연속 PDP TV 1위 브랜드를 차지하고 있음. 2사분기 점유율은 1사분기 22%에서 28%로 상승하였으며, 성장률은 70% 이상으로 상위 5위 안의 다른 업체에 비해 약 세배 가량 빠른 성장률을 보임
- 상위 5위 안의 다른 업체들은 두 자리수 성장에도 불구하고 점유율은 줄어들었음
- 지역별로 보면 북미, 일본, 유럽 등 주요 지역에서 Panasonic이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기타 지역에서만 LG전자가 1위를 차지
- 사이즈로 보면 LG전자는 42인치 ED급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Panasonic은 37, 42인치 HD와 50인치에서 1위를 차지. Hitachi는 55인치 시장에서 1위를 유지했으며, 삼성전자는 60인치 이상에서 1위를 차지
◎ PDP의 기술과제 및 전망
PDP의 경우 이미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품목이기에 기술 과제 역시 기초적인 Research 보다는 상품의 특성 개선에 맞추어져 있다. 중요과제로는 고휘도 및 고효율화, 화질개선, 저가격화 등을 등 수 있다. 현재 양산되는 PDP의 경우 Module 효율은 2㏐/W 미만이고 Peak 위도는 1000㏅/㎡ 수준이다. PDP가 가정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3㏐/W 이상을 달성하여 소비전력을 200W 미만으로 낮추어야 한다. 휘도는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PDP Set에서는 전면에 필터가 존재하기에 500㏅/㎡ 미만이며, 이를 최소 700㏅/㎡ 이상 상승시켜야 한다.
PDP의 화질은 현재 CRT에 동등하거나 근접한 수준으로 평가되나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면 기존 480Scan Line(Panel의 가로방향 Line 수)에 소비된 시간으로 768 혹은 1080 Scan Line에 화상을 구현하여야 한다. 한시적으로 Panel을 양분하여 두 개의 독립된 화상을 한번에 구현하는 방법(Dual Scan)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기에 지속적으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명암비의 경우, 암실에서는 3000:1(Peak휘도 : Balck휘도)을 나타내나 명실에서는 100:1 수준을 나타내기에 개선이 요구된다. 이외의 의사윤곽 및 잔상 문제 등을 개선해 나가야한다.
PDP는 경쟁 디스플레이인 LCD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사용하기에 생산시설 투자비나 Panel 제조단가가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생산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재료나 생산설비 부분에서는 한국의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외국제품/설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에 국산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적용되는 부품의 경우, 아직까지는 LCD에 비해 수요가 적기에 Cost-down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LCD의 경우 04년도와 05년도에 걸쳐서 6세대와 7세대 생산시설이 가동되고 06년부터 대량/저가격의 40˝급 Panel이 나오리라 예상되고 있다. PDP는 향후 1~2년 안에 inch당 $50 수준으로 낮추어야만 시장 확대가 가능하리라 본다. PDP는 해결되어야 하는 몇 가지 과제를 안고 있지만, CRT에 가장 근접한 화질로서 40˝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미 선점하고 있기에 향후에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된다.
◎ PDP 시장현황
2006년 2사분기 세계 PDP TV 출하 대수 220만 대
○ 디스플레이 시장 전문 조사기관인 DisplaySearch가 2006년 8월 24일 발표한 ‘Quarterly Global TV Shipment and Forecast Report’에 따르면 2006년 제2사분기 세계 PDP TV 출하 대수는 220 만 대로, 1사분기 대비 30%, 전년 동기 대비 95% 급증
- 전체 TV 시장 가운데 PDP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1사분기 4%에서 5%로 상승
○ 지역적으로 보면, 전 지역에서 전망치보다 3% 이상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특히 중국은 1사분기 대비 최소 20%,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의 높은 성장세
- 북미 지역의 점유율(34%)은 대형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에 힘입어 출하 대수 기준으로는 최초로 유럽(32%)을 앞섬. 참고로 북미 지역은 2사분기 50인치 PDP TV 세계 시장의 63%를 차지
- LCD TV가 소형 PDP TV 시장을 잠식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 TV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북미 지역이 앞으로 PDP TV 시장을 선도할 것
- 중국의 PDP TV 생산량은 자국 브랜드들이 40~47인치 LCD로 무게중심을 옮겨감에 따라 2분기 연속 하락. PDP TV가 중국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까지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
○ 북미 지역에서는 50인치 PDP TV가 판매대수 기준으로는 처음으로 50~54인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반의 RP(Rear Projection) TV를1) 앞섬
- 이는 PDP TV의 가격이 지난 수년간 50% 이상 하락, 1,400달러 이하로 떨어져 가격 차가 줄어들어든데 힘입은 것
- 50인치 PDP TV는 유럽, 일본 및 여타 지역에서도 LCD TV, RP TV 등 경쟁 기술을 앞선 것으로 조사됨
○ 매출액 기준으로 보면 2사분기 세계 PDP TV 시장규모는 49억 달러로 1사분기 대비 23%, 전년 동기 대비 57% 성장
- 가격 하락 속도가 빨라 출하량 증가폭보다 매출액 증가폭이 적음
- 세계 TV 시장 매출액에서 PDP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1사분기 18%에서 2사분기 20%로 상승
○ PDP TV 시장을 사이즈 측면에서 살펴보면, 42~43인치가 차지하는 비중이 여전히 절대적이나 점유율은 78%에서 73%로 하락. 이는 37인치와 50인치 이상 제품의 점유율이 조금 늘어났기 때문
- 평균 인치 수는 43.4에서 43.7인치로 약간 상승. 42~43인치 HD급 PDP TV의 점유율은 36%에서 43%로 상승하여 가장 많이 팔린 PDP TV가 되었으며, 처음으로 42인치 ED급을 앞지름
- HD급의 가격이 ED급보다 두배의 속도로 하락하면서 양자 간의 가격차는 881 달러에서 666 달러로 좁혀짐
* 전체 PDP TV 출하량에서 HD급이 차지하는 비중은 56%에서 70%로 상승
○ Panasonic은 8분기 연속 PDP TV 1위 브랜드를 차지하고 있음. 2사분기 점유율은 1사분기 22%에서 28%로 상승하였으며, 성장률은 70% 이상으로 상위 5위 안의 다른 업체에 비해 약 세배 가량 빠른 성장률을 보임
- 상위 5위 안의 다른 업체들은 두 자리수 성장에도 불구하고 점유율은 줄어들었음
- 지역별로 보면 북미, 일본, 유럽 등 주요 지역에서 Panasonic이 모두 1위를 차지했으며, 기타 지역에서만 LG전자가 1위를 차지
- 사이즈로 보면 LG전자는 42인치 ED급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Panasonic은 37, 42인치 HD와 50인치에서 1위를 차지. Hitachi는 55인치 시장에서 1위를 유지했으며, 삼성전자는 60인치 이상에서 1위를 차지
◎ PDP의 기술과제 및 전망
PDP의 경우 이미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품목이기에 기술 과제 역시 기초적인 Research 보다는 상품의 특성 개선에 맞추어져 있다. 중요과제로는 고휘도 및 고효율화, 화질개선, 저가격화 등을 등 수 있다. 현재 양산되는 PDP의 경우 Module 효율은 2㏐/W 미만이고 Peak 위도는 1000㏅/㎡ 수준이다. PDP가 가정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3㏐/W 이상을 달성하여 소비전력을 200W 미만으로 낮추어야 한다. 휘도는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PDP Set에서는 전면에 필터가 존재하기에 500㏅/㎡ 미만이며, 이를 최소 700㏅/㎡ 이상 상승시켜야 한다.
PDP의 화질은 현재 CRT에 동등하거나 근접한 수준으로 평가되나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면 기존 480Scan Line(Panel의 가로방향 Line 수)에 소비된 시간으로 768 혹은 1080 Scan Line에 화상을 구현하여야 한다. 한시적으로 Panel을 양분하여 두 개의 독립된 화상을 한번에 구현하는 방법(Dual Scan)이 사용되고는 있으나, 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기에 지속적으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명암비의 경우, 암실에서는 3000:1(Peak휘도 : Balck휘도)을 나타내나 명실에서는 100:1 수준을 나타내기에 개선이 요구된다. 이외의 의사윤곽 및 잔상 문제 등을 개선해 나가야한다.
PDP는 경쟁 디스플레이인 LCD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사용하기에 생산시설 투자비나 Panel 제조단가가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생산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재료나 생산설비 부분에서는 한국의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외국제품/설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기에 국산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적용되는 부품의 경우, 아직까지는 LCD에 비해 수요가 적기에 Cost-down이 빠르게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LCD의 경우 04년도와 05년도에 걸쳐서 6세대와 7세대 생산시설이 가동되고 06년부터 대량/저가격의 40˝급 Panel이 나오리라 예상되고 있다. PDP는 향후 1~2년 안에 inch당 $50 수준으로 낮추어야만 시장 확대가 가능하리라 본다. PDP는 해결되어야 하는 몇 가지 과제를 안고 있지만, CRT에 가장 근접한 화질로서 40˝이상의 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미 선점하고 있기에 향후에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된다.
추천자료
운영체제
스타 CEO 왜 낙마하나
IMF 전후 삼성SDI의 조직구조 변화
현재의 광고매체와미래의 광고매체
일본 전자회사
[국제통상협상] LG전자의 전략적 제휴 (LG-IBM, LG-필립스)
지식재산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LG전자 기업분석 및 경영전략
[마케팅]LG전자 '엑스캔버스' 마케팅전략 분석 및 발전전략
한국과 일본의 무역부쟁
'DIBOSS' 국제촉진전략 (중소기업의 국제 촉진 전략 성공 사례)
LG전자와 삼성전자의 재무제표분석
디지털기업에 대해 설명하시고 기업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기업의 핵심정보기술과 성공요인에...
평판디스플레이의 발광형과 비발광형의 차이점과 LCD의 구조를 그림으로 표시하고 동작원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