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 론
1. 실험 목적 -------------------------------------------- P3
2. 이론적 배경 ------------------------------------------- P3
3. 에릭슨 시험의 장단점 ------------------------------------- P3
◉ 본 론
4. 실험장치 ----------------------------------------------- P4
5. 시험이론 ---------------------------------------------------- P4
6. 실험방법 ---------------------------------------------------- P5
7. 실험시 유의사항 ---------------------------------------- P6
◉ 결 론
8. 에릭슨 시험 결과 Data 표 --------------------------------- P6
9. 결론 및 고찰 ------------------------------------------------- P6
10. 참고문헌 --------------------------------------------------- P7
1. 실험 목적 -------------------------------------------- P3
2. 이론적 배경 ------------------------------------------- P3
3. 에릭슨 시험의 장단점 ------------------------------------- P3
◉ 본 론
4. 실험장치 ----------------------------------------------- P4
5. 시험이론 ---------------------------------------------------- P4
6. 실험방법 ---------------------------------------------------- P5
7. 실험시 유의사항 ---------------------------------------- P6
◉ 결 론
8. 에릭슨 시험 결과 Data 표 --------------------------------- P6
9. 결론 및 고찰 ------------------------------------------------- P6
10. 참고문헌 --------------------------------------------------- P7
본문내용
어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깊이를 측정할 때, 오차가 나지 않도록 조절나사를 이용 하여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8. 시험 결과 Data 표
시험 순서
시험 Data
시험 Data 평균
에릭슨 값
에릭슨 값 평균
1
13.0 mm
12.97mm
B 13.0
B 12.97
2
13.1 mm
B 13.1
3
12.8 mm
B 12.8
<표-2 시험결과 Data>
9. 결론 및 고찰
에릭슨 시험기를 사용하여 3개의 시험편의 에릭슨 값, B13.0, B13.1, B12.8 을 얻었다. 3개 시험편의 평균값 B12.97로 인하여 시험편의 연성을 구하는데 중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같은 재료와 시험기로 같은 실험을 했다면 3개 모두의 값이 같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똑같은 시험기와 같은 재료, 같은 조건으로 시험을 했지만 각 시험편의 에릭슨 값에 오차가 생긴 것을 데이터 값을 통하여 알 수 있다. 3개의 에릭슨 값의 오차의 이유를 몇 가지 추측해 본다.
ⅰ) 에릭슨 시험기와 테이블이 서로 고정되지 않은 점.
ⅱ) 펀치로 시험편에 압력을 가할 때 힘이 일정하지 못한 점.
ⅲ) 육안으로 시험편의 균열을 관찰했기 때문에 미세한 균열을 파악하지 못한 점.
ⅳ) 펀치와 시험편 사이에 마찰로 인하여 처음에 구리스를 바른 1, 2번째 시험은 오차 값이 작지만 마지막 3번째 시험은 앞의 두 경우와 달리 오차가 크게 나타남.
ⅴ) 시험기 사용이 미숙했던 점.
이 밖에 실험실의 환경, 시험기의 갑작스런 이상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오차가 생긴 것이라 생각한다.
오차가 있는 실험이었지만 이번 실험을 통하여 재료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재료의 연성 측정 방법에 대하여 알았고, 앞으로 기계공학을 전공함에 있어 많은 선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번 실험이 미경험과 나의 미숙한 시험방법으로 인하여 완벽한 성공을 이루지 못한 점이 가장 아쉽게 생각된다. 앞으로 여러 가지의 기계공학 시험들이 남아 있지만 이번 경험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의 실험들은 실험방법의 숙지와 충분한 자료의 습득으로 미세오차도 없는 실험을 하고 싶다.
10. 참고문헌
http://www.kipae.co.kr/sub_09.html ((주)기배이앤티)
http://www.standard.go.kr (국가표준 종합정보센타)
금속공학실험(1980) 문인형, 백영현, 이동녕, 이동희
대한금속학회지(1981) 유연철, 강일구, 이동녕
8. 시험 결과 Data 표
시험 순서
시험 Data
시험 Data 평균
에릭슨 값
에릭슨 값 평균
1
13.0 mm
12.97mm
B 13.0
B 12.97
2
13.1 mm
B 13.1
3
12.8 mm
B 12.8
<표-2 시험결과 Data>
9. 결론 및 고찰
에릭슨 시험기를 사용하여 3개의 시험편의 에릭슨 값, B13.0, B13.1, B12.8 을 얻었다. 3개 시험편의 평균값 B12.97로 인하여 시험편의 연성을 구하는데 중요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같은 재료와 시험기로 같은 실험을 했다면 3개 모두의 값이 같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똑같은 시험기와 같은 재료, 같은 조건으로 시험을 했지만 각 시험편의 에릭슨 값에 오차가 생긴 것을 데이터 값을 통하여 알 수 있다. 3개의 에릭슨 값의 오차의 이유를 몇 가지 추측해 본다.
ⅰ) 에릭슨 시험기와 테이블이 서로 고정되지 않은 점.
ⅱ) 펀치로 시험편에 압력을 가할 때 힘이 일정하지 못한 점.
ⅲ) 육안으로 시험편의 균열을 관찰했기 때문에 미세한 균열을 파악하지 못한 점.
ⅳ) 펀치와 시험편 사이에 마찰로 인하여 처음에 구리스를 바른 1, 2번째 시험은 오차 값이 작지만 마지막 3번째 시험은 앞의 두 경우와 달리 오차가 크게 나타남.
ⅴ) 시험기 사용이 미숙했던 점.
이 밖에 실험실의 환경, 시험기의 갑작스런 이상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오차가 생긴 것이라 생각한다.
오차가 있는 실험이었지만 이번 실험을 통하여 재료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재료의 연성 측정 방법에 대하여 알았고, 앞으로 기계공학을 전공함에 있어 많은 선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한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번 실험이 미경험과 나의 미숙한 시험방법으로 인하여 완벽한 성공을 이루지 못한 점이 가장 아쉽게 생각된다. 앞으로 여러 가지의 기계공학 시험들이 남아 있지만 이번 경험을 토대로 하여 앞으로의 실험들은 실험방법의 숙지와 충분한 자료의 습득으로 미세오차도 없는 실험을 하고 싶다.
10. 참고문헌
http://www.kipae.co.kr/sub_09.html ((주)기배이앤티)
http://www.standard.go.kr (국가표준 종합정보센타)
금속공학실험(1980) 문인형, 백영현, 이동녕, 이동희
대한금속학회지(1981) 유연철, 강일구, 이동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