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바이러스에 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항체가 월등히 많다면 바이러스 입자의 모든 결합부위에 항체가 결합하고 이렇게 항체에 싸여진 바이러스 입자는 세포에 흡착하루 없게 될 것이다. 물론 이런 정도의 대량으로 항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거의 드물고 대개의 경우 하나의 바이러스 입자에 한개 내지 수개의 항체분자가 존재하는 정도이다. 소량의 항체로는 바이러스의 흡착이나 침입을 막지는 못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촉진하기도 한다.
- 혈구응집 반응0.5%(v/v)의 적혈구를 이용한 혈구응집반응으로 바이러스 역가검정.
바이러스를 1/128 이상으로 희석하면 RBC와 충분히 반응하지 못하므로 RBC만 침전하여 점으로 보인다.
어떤 바이러스는 적혈구 표면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는데 혈구보다도 많은 바이러스가 있으면 혈구들과 함께 결합하여 혈구응집을 일으킨다. 이 반응은 바이러스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감염성을 상실한 바이러스도 응집효율은 전혀 변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실험방법으로는 적혈구 응집실험이 있다.
적당한 구멍이 파진 플라스틱 판에 단계적으로 희석된 바이러스 액을 각각의 구멍에 넣고 일정량의 적혈구를 첨가하여 적당한 조건에서 한참 동안 방치해두면 어떤 농도까지 희석된 바이러스 액에서는 혈구응집반응이 일어나고 더욱 희석된 농도가 되면 바이러스 액을 첨가하지 않았던 곳과 같이 혈구응집이 없이 혈구는 침강되어 버린다. 이러한 방법으로 바이러스 원액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양의 상대가를 알 수 있으며 이것은 바이러스의 감염와는 다른 것이다. 이 실험방법의 이점은 속도가 빠르다는 것으로서 용균반점 실험법은 적어도 3일 정도가 걸리는데 비하여 이 방법은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다만 이 방법은 반응도가 낮다는 것이 단점인데 인플렌자 바이러스의 예를 보면 적혈구 응집을 위하여는 적어도 106 정도의 용균형성수 에 해당하는 바이러스 입자를 필요로 한다.
- 혈구응집 저지 반응
단계적으로 희석된 항체와 일정량의 바이러스를 반응시키고 난 다음에 적혈구를 재반응 시켜서 나타나는 혈구응집을 조사하는 응집저지실험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항혈청을 단계별로 희석시켜 플라스틱 판의 판에 넣고 반응에 필요한 일정량의 바이러스를 첨가한다. 그 다음에 반응이 일어날수 있는 적당한 온도에서 한시간 정도의 일정한 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적혈구를 첨가해 주면 이미 반응이 이루어진 구멍에서는 적혈구가 결합할 상대가 없어서 침강하게 되므로 이것을 확인할 수 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1.05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04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