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정의
◈ 분류
◈ 진단
◈ 폐렴의 특수 사항
(1) 바이러스성 폐렴
(2) 폐렴 구균 폐렴(Pneumococcal pneumonia)
(3 포도상 구균 폐렴(Staphylococcal pneumonia)
(4) 연쇄상 구균 폐렴(Streptococcal pneumonia)
(5)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폐렴
(6) 클렙시엘라 폐렴(Klebsiella pneumonia, Friedlӓder's bacillus pneumonia)
(7) 녹농균 폐렴(Pseudomonas aeruginosa pneumonia)
(8)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
(9) 뉴우모시스티스 카리니 폐렴(Pneumocystis carnil pneumonia)
(10)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11) 탄화수소 폐렴(hydrocarbon pneummonia)
(12)과민성 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a)
(13) 폐혈철 침착증(Pulmonary hemosiderosis)
(14) 폐 아스페르길루스증(pulmonary aspergillosis)
(15)뢰플러 증후군(Lӧffler syndrome)
(16)위 식도 역류성 호흡장애
◈ 분류
◈ 진단
◈ 폐렴의 특수 사항
(1) 바이러스성 폐렴
(2) 폐렴 구균 폐렴(Pneumococcal pneumonia)
(3 포도상 구균 폐렴(Staphylococcal pneumonia)
(4) 연쇄상 구균 폐렴(Streptococcal pneumonia)
(5)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폐렴
(6) 클렙시엘라 폐렴(Klebsiella pneumonia, Friedlӓder's bacillus pneumonia)
(7) 녹농균 폐렴(Pseudomonas aeruginosa pneumonia)
(8) 마이코플라스마 폐렴(Mycoplasma pneumonia)
(9) 뉴우모시스티스 카리니 폐렴(Pneumocystis carnil pneumonia)
(10)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
(11) 탄화수소 폐렴(hydrocarbon pneummonia)
(12)과민성 폐렴(Hypersensitivity pneumonia)
(13) 폐혈철 침착증(Pulmonary hemosiderosis)
(14) 폐 아스페르길루스증(pulmonary aspergillosis)
(15)뢰플러 증후군(Lӧffler syndrome)
(16)위 식도 역류성 호흡장애
본문내용
린 증가, 폐기능 이상 저산소증 소견이 있고, 추정 항원에 의한 유발 검사로 진단할 때도 있다. 흉부 X선 소견은 양측 폐하부 간질성 침윤 소견을 보인다. 치료는 추정 항원을 제거하는 것이며, 부신 피질 호르몬으로 증세가 호전되거나 폐섬유증이 예방되기도 한다.
(13) 폐혈철 침착증(Pulmonary hemosiderosis)
이는 특별한 원인 없이 폐조직 내 출혈로 인한 혈철소가 비정상적으로 침착하여 생기는 보기 드문 질환이다. 혈철소의 침착은 폐포 내 출혈이 있은 후 생기며, 소아에서는 1차적인 질환이 심장 및 전신성 혈관 질환에 의한 2차적인 것보다 많으며, 1차적인 것으로는 특발성이거나 심근염, 사구체 신염, Goodpasture 및 우유 과민과 연관된 4가지 형태가 있고, 2차적인 것은 심장질환, 승모판 협착증, 교원병 및 출혈성 질환에 의한 3가지 형태가 있다.
주증상은 반복되는 객혈 및 호흡곤란, 철 결핍성 빈혈이나 흉부 X선상 미만성 폐침윤을 나타낸다.
(14) 폐 아스페르길루스증(pulmonary aspergillosis)
진균의 일종인 aspergillus에 대한 과민반응에 의하여 만성 폐질환이 야기된다. 기침, 천명, 미열을 일으키며, 흉부 X선상 광범위한 침윤을 보이고, 혈액 eosinophilia, 총 IgE증가 및 aspergillus 특이 IgE가 증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에는 amphotericin B 혹은 5-fluorocytocine이 유효하다.
(15)뢰플러 증후군(Lffler syndrome)
광범위한 폐침윤이 속립성 결핵 양상으로 일시적으로 나타나고, 혈액 eosiniphilia가 동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이다. 증상에는 돌발적인 기침, 호흡곤란, 근육통 및 미열이 있으며, 때로 천명이 있다. 주병변은 폐침윤과 간비대이며, 검사 소견상 호산구 세포 증다증, 고글로빈증이 있다. 이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기생충으로는 개의 Toxocara canis가 있고, 고양이의 Toxacara cati이외 회충, 동양 선모선충, 십이지장충, 폐 디스토마 등이 있다.
또한 관련된 약물로는 aspirin, penicillin, sulfonamide, imipramine, nitrofuantoin, methotrexate, gold salts 등이 있다. 예후는 양호하다.
(16)위 식도 역류성 호흡장애
위식도 역류는 소화 장애뿐만 아니라 호흡장애를 일으키며 이와 연관된 질환에는 흡인성 폐렴을 위시하여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재발성 폐렴 등 하기도염이 있고 상기도 자극에 의한 인두염, 후두염 및 중이염과 신생아 무호흡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호흡장애의 발생기전은 음식물의 역류로 기도로 직접 흡인에 의한 것과 식도로 위산이 역류되면 식도의 산도 증가로 미주 신경이 자극되어 위문 수축과 더불어 기관지가 수축되는 것이다.
주 증상은 만성 반복성 기침과 천명이며, 간혹 음성 장애와 딸꾹질 등이 있다.
위 식도 역류 진단을 위한 검사법은 식도 X선 촬영검사, 식도에서의 24시간 산도검사, 식도 괄약근의 압력검사, 동위원소 검사 등이며 동위원소가 가장 예민하다.
호흡장애 검사법은 기관지 유발검사가 유용하다. 양성 기준은 유발에 의하여 발작적인 기침 또는 천명이 있으며 FEV₁치가 20%이상 감소되는 것이다.
일반요법으로 머리를 높이고 1회 섭취량을 줄이고 음식 또는 산성 지방식을 제한한다. 약물요법에는 제산제, H₂길항제, Sucralfate 및 기관지 확장제 등이 있다. 외과적 요법에는 위문성형술이 있다.
*참고문헌
홍창의(2003) : 임상소아과학,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홍경자외(2003) : 아동간호학 Ⅱ, 수문사.
(13) 폐혈철 침착증(Pulmonary hemosiderosis)
이는 특별한 원인 없이 폐조직 내 출혈로 인한 혈철소가 비정상적으로 침착하여 생기는 보기 드문 질환이다. 혈철소의 침착은 폐포 내 출혈이 있은 후 생기며, 소아에서는 1차적인 질환이 심장 및 전신성 혈관 질환에 의한 2차적인 것보다 많으며, 1차적인 것으로는 특발성이거나 심근염, 사구체 신염, Goodpasture 및 우유 과민과 연관된 4가지 형태가 있고, 2차적인 것은 심장질환, 승모판 협착증, 교원병 및 출혈성 질환에 의한 3가지 형태가 있다.
주증상은 반복되는 객혈 및 호흡곤란, 철 결핍성 빈혈이나 흉부 X선상 미만성 폐침윤을 나타낸다.
(14) 폐 아스페르길루스증(pulmonary aspergillosis)
진균의 일종인 aspergillus에 대한 과민반응에 의하여 만성 폐질환이 야기된다. 기침, 천명, 미열을 일으키며, 흉부 X선상 광범위한 침윤을 보이고, 혈액 eosinophilia, 총 IgE증가 및 aspergillus 특이 IgE가 증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료에는 amphotericin B 혹은 5-fluorocytocine이 유효하다.
(15)뢰플러 증후군(Lffler syndrome)
광범위한 폐침윤이 속립성 결핵 양상으로 일시적으로 나타나고, 혈액 eosiniphilia가 동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이다. 증상에는 돌발적인 기침, 호흡곤란, 근육통 및 미열이 있으며, 때로 천명이 있다. 주병변은 폐침윤과 간비대이며, 검사 소견상 호산구 세포 증다증, 고글로빈증이 있다. 이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기생충으로는 개의 Toxocara canis가 있고, 고양이의 Toxacara cati이외 회충, 동양 선모선충, 십이지장충, 폐 디스토마 등이 있다.
또한 관련된 약물로는 aspirin, penicillin, sulfonamide, imipramine, nitrofuantoin, methotrexate, gold salts 등이 있다. 예후는 양호하다.
(16)위 식도 역류성 호흡장애
위식도 역류는 소화 장애뿐만 아니라 호흡장애를 일으키며 이와 연관된 질환에는 흡인성 폐렴을 위시하여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재발성 폐렴 등 하기도염이 있고 상기도 자극에 의한 인두염, 후두염 및 중이염과 신생아 무호흡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호흡장애의 발생기전은 음식물의 역류로 기도로 직접 흡인에 의한 것과 식도로 위산이 역류되면 식도의 산도 증가로 미주 신경이 자극되어 위문 수축과 더불어 기관지가 수축되는 것이다.
주 증상은 만성 반복성 기침과 천명이며, 간혹 음성 장애와 딸꾹질 등이 있다.
위 식도 역류 진단을 위한 검사법은 식도 X선 촬영검사, 식도에서의 24시간 산도검사, 식도 괄약근의 압력검사, 동위원소 검사 등이며 동위원소가 가장 예민하다.
호흡장애 검사법은 기관지 유발검사가 유용하다. 양성 기준은 유발에 의하여 발작적인 기침 또는 천명이 있으며 FEV₁치가 20%이상 감소되는 것이다.
일반요법으로 머리를 높이고 1회 섭취량을 줄이고 음식 또는 산성 지방식을 제한한다. 약물요법에는 제산제, H₂길항제, Sucralfate 및 기관지 확장제 등이 있다. 외과적 요법에는 위문성형술이 있다.
*참고문헌
홍창의(2003) : 임상소아과학,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홍경자외(2003) : 아동간호학 Ⅱ, 수문사.
추천자료
소아과(med)
소아과 약물
폐렴, 기관지염, 기관지 환아 객담배출법
폐렴casestudy
소아과병동 폐렴환아 케이스 스터디
소아과 케이스 급성기관지염
폐렴 케이스
아동간호학 폐렴 케이스 A+ 받은 자료예요..!!
[기관지][기관지 구조][기관지암][기관지염][기관지천식][소아 기관지천식]기관지의 구조, 기...
소아 폐렴 case study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폐렴 case
소아과) 기관지 천식 케이스, 천식 케이스, Bronchial Asthma CASE, ASTHMA 케이스, 천식 간...
영아기 호흡기 질환(영아돌연사증후군, 감기, 폐렴, 중이염) - 영아기 호흡기계질환의 원인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