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2.Case study1
3. Case study2
4. Case study3
5. 참고문헌
2.Case study1
3. Case study2
4. Case study3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취하게 할 수 있다.
3. 반좌위를 취하고 어깨와 등 뒤로 베개를 대어준다.
체위를 변경해주는 것은 늑골을 충분히 팽창시켜주어 호흡 시 심장이 부담되는 것을 줄여줌으로써 호흡곤란이나 피로를 감소시켜 준다. 그리고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4. Digoxin의 투약을 즉시 중단한다.
Digoxin의 부작용으로 심맥 관계 증상 및 anorexia, N/V, blurred vision 이 나타날 수 있다.
5. side rail을 올려준다.
대상자의 시야가 흐려져 신체손상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침상 안정 시 side rail을 올려준다.
6. 마사지나 burger allen, 을 시행한다.
말초순환을 증진시킴으로써 skin cool과 slight cyanosis 을 호전시킬 수 있다.
7.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비 약물적인 방법으로 상태를 개선시킬 수 없거나 기능을 유지,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 시 투약할 수 있다.
문제3. 추후 필요한 간호 중재를 기술하고, 그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시오.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 휴식과 활동제한 ≫
1. 일일계획에 따른 휴식시간과 식후 1시간동 안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2. 활동 시 짧은 시간동안 천천히 하도록 한 다.
3. 식사, 개인위생, 배뇨, 배변 등 일상 활동 시 도움을 받는다.
4. 재상자의 수면 시간과 깨어있는 시간을 고 려하여 투약과 간호처치를 한꺼번에 모아 서 수행한다.
5. 필요한 물건은 환자와 근접한 위치에 놓아 둔다.
심장기능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적은 활동은 신체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피부손상 예방 및 관리 ≫
1. 대상자의 피부손상 정도를 사정한다.
( 부종, 욕창, 손상부위, 손상정도, 피부색 )
2. 2hr 마다 체위 변경을 시행한다.
3. 공기매트리스, 물침대, 피부 보호 기구를 제공한다.
4. 필요시에만 목욕을 하고 중성비누를 사용 하며, 목욕 후 피부에 윤활제를 발라 피부 가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활동이 제한된 침상안정 심부전환자에게 부종이 잘생기고 욕창이 빠르게 번진다. 따라서 피부손상을 예방하는 것은 경제적 으로 효과적이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안위를 증진 시킨다.
≪ 영양 증진 ≫
1. 영양사와 협조하여 대상자의 식이를 계획 한다. (저염식이)
2. hypokalemia 방지를 위해 K이 함유된 보 충식이를 제공한다.
3. 처방된 식이 이외의 다른 음식 섭취를 하 지 않도록 교육한다.
염분 섭취를 제한시킴으로써 심부전 환 자의 부종을 조절 할 수 있다.
≪ 수면증진 ≫
1. 낮에 너무 많은 잠을 자지 않도록 한다.
2.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하여 수면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3.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한 환경을 유 지하고,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심부전과 호흡곤란은 야간에 심해지기 쉬 우므로 낮에 적절한 치료를 충분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
심부전 증상이 완화되어도 불면이 있을 경우 병실 환경을 정비하고, 불안제거 하 는 것이 필요하다.
≪ 불안 완화 ≫
1. 대상자와 가족에게 질병에 대한 지식, 증 상을 설명한다. ( 단, 필요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 필요이상의 정보제공은 오히려 불안을 가중 시킨다. )
2. 환자의 불안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지지하 고 격려한다.
3.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4. 마사지, 명상, 이완요법 등으로 신체적 안 위를 증진시킨다.
심부전 증상이 있을 때 불안이 발생하며 불안은 호흡곤란을 증가시킨다.
호흡곤란은 또다시 불안을 증가시키므로 대상자의 불안의 감소는 심부전 증상을 완화 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 배설 증진 ≫
1. 화장실까지 보행이 어려울 때는 침상위 내 지 침상 옆에서 배설하도록 한다.
2. 적절히 배변을 조절하기 위해 복부마사지, 처방된 좌약을 투여한다.
3. 위의 수행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을시 처방 된 변완화제(colace, psyllium)를 투여한 다.
대변을 볼 때 힘을 주면 성문을 폐쇄시키 는 valsalva 수기로 힘을 쓰게 된다. 이때 심부전 환자는 흉곽 내에 압력의 증가로 인해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정맥혈류량은 감소된다. 힘을 준 후에 압력이 감소되면 정맥으로 귀환하는 많은 양의 혈액이 심 장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 참고 문헌
1.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임상간호의 핵심 Ⅱ
(한우리 2003)
2. 성인간호학 문제중심 학습
(정담미디어 2003 신경림 외)
3. 성인간호학 2
(현문사 김조자 외)
3. 반좌위를 취하고 어깨와 등 뒤로 베개를 대어준다.
체위를 변경해주는 것은 늑골을 충분히 팽창시켜주어 호흡 시 심장이 부담되는 것을 줄여줌으로써 호흡곤란이나 피로를 감소시켜 준다. 그리고 피부 손상을 방지한다.
4. Digoxin의 투약을 즉시 중단한다.
Digoxin의 부작용으로 심맥 관계 증상 및 anorexia, N/V, blurred vision 이 나타날 수 있다.
5. side rail을 올려준다.
대상자의 시야가 흐려져 신체손상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침상 안정 시 side rail을 올려준다.
6. 마사지나 burger allen, 을 시행한다.
말초순환을 증진시킴으로써 skin cool과 slight cyanosis 을 호전시킬 수 있다.
7.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비 약물적인 방법으로 상태를 개선시킬 수 없거나 기능을 유지,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 시 투약할 수 있다.
문제3. 추후 필요한 간호 중재를 기술하고, 그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시오.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 휴식과 활동제한 ≫
1. 일일계획에 따른 휴식시간과 식후 1시간동 안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2. 활동 시 짧은 시간동안 천천히 하도록 한 다.
3. 식사, 개인위생, 배뇨, 배변 등 일상 활동 시 도움을 받는다.
4. 재상자의 수면 시간과 깨어있는 시간을 고 려하여 투약과 간호처치를 한꺼번에 모아 서 수행한다.
5. 필요한 물건은 환자와 근접한 위치에 놓아 둔다.
심장기능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의 적은 활동은 신체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 피부손상 예방 및 관리 ≫
1. 대상자의 피부손상 정도를 사정한다.
( 부종, 욕창, 손상부위, 손상정도, 피부색 )
2. 2hr 마다 체위 변경을 시행한다.
3. 공기매트리스, 물침대, 피부 보호 기구를 제공한다.
4. 필요시에만 목욕을 하고 중성비누를 사용 하며, 목욕 후 피부에 윤활제를 발라 피부 가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활동이 제한된 침상안정 심부전환자에게 부종이 잘생기고 욕창이 빠르게 번진다. 따라서 피부손상을 예방하는 것은 경제적 으로 효과적이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안위를 증진 시킨다.
≪ 영양 증진 ≫
1. 영양사와 협조하여 대상자의 식이를 계획 한다. (저염식이)
2. hypokalemia 방지를 위해 K이 함유된 보 충식이를 제공한다.
3. 처방된 식이 이외의 다른 음식 섭취를 하 지 않도록 교육한다.
염분 섭취를 제한시킴으로써 심부전 환 자의 부종을 조절 할 수 있다.
≪ 수면증진 ≫
1. 낮에 너무 많은 잠을 자지 않도록 한다.
2. 호흡곤란 증상을 완화하여 수면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3.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한 환경을 유 지하고,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심부전과 호흡곤란은 야간에 심해지기 쉬 우므로 낮에 적절한 치료를 충분히 받는 것이 중요하다.
심부전 증상이 완화되어도 불면이 있을 경우 병실 환경을 정비하고, 불안제거 하 는 것이 필요하다.
≪ 불안 완화 ≫
1. 대상자와 가족에게 질병에 대한 지식, 증 상을 설명한다. ( 단, 필요이상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 필요이상의 정보제공은 오히려 불안을 가중 시킨다. )
2. 환자의 불안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지지하 고 격려한다.
3.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한다.
4. 마사지, 명상, 이완요법 등으로 신체적 안 위를 증진시킨다.
심부전 증상이 있을 때 불안이 발생하며 불안은 호흡곤란을 증가시킨다.
호흡곤란은 또다시 불안을 증가시키므로 대상자의 불안의 감소는 심부전 증상을 완화 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 배설 증진 ≫
1. 화장실까지 보행이 어려울 때는 침상위 내 지 침상 옆에서 배설하도록 한다.
2. 적절히 배변을 조절하기 위해 복부마사지, 처방된 좌약을 투여한다.
3. 위의 수행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을시 처방 된 변완화제(colace, psyllium)를 투여한 다.
대변을 볼 때 힘을 주면 성문을 폐쇄시키 는 valsalva 수기로 힘을 쓰게 된다. 이때 심부전 환자는 흉곽 내에 압력의 증가로 인해 심장으로 되돌아오는 정맥혈류량은 감소된다. 힘을 준 후에 압력이 감소되면 정맥으로 귀환하는 많은 양의 혈액이 심 장의 부담을 증가시킨다.
▶ 참고 문헌
1. Essentials of Clinical Nursing 임상간호의 핵심 Ⅱ
(한우리 2003)
2. 성인간호학 문제중심 학습
(정담미디어 2003 신경림 외)
3. 성인간호학 2
(현문사 김조자 외)
키워드
추천자료
요로결석(ureter stone) 케이스 (CASE STUDY) 입니다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NICU 미숙아(Prema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Case Study(케이스 스터디)
[외과병동 실습] 충수염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경추 추간판 탈출증 케이스 (HERNIATED CERVICAL DISC) case study.pptx
뇌동정맥기형 (Arteriovenous Malforma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뇌동정맥기형 원인,...
고빌리루빈혈증 (Hyperbilirubinemia) 간호과정 고위험신생아 케이스 case study
췌장암(Pancreatic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MI, 간호과정, SOAPIE, 심근...
전고관절대치술 Total Hip replacement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A+
치매 케이스, 치매 간호과정, 치매 간호진단, 치매 CASE, 치매 사례연구, 노인간호 실습, Dem...
아동 골육종(osteosarcoma)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아동건강간호학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