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올림픽과 장애인올림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올림픽과 페럴림픽의 역사
-마스코트, 엠블렘
-올림픽과 페럴림픽의 경기종목
-기사비교
-스폰서 및 정부지원의 문제점
-해결방안

3.결론

4.자료출처

본문내용

을 요구받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실업팀이 거의 없기 때문에 운동에만 전념해서는 생계 유지를 보장받지 못한다. 하지만 장애인 전반에 대한 차별이 만연한 사회에서 유독 장애인스포츠에 대해서만 차별 해소를 요구하는 것은 사회적 공감대를 이루지 못한다. 국내 장애인 중에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이들은 극소수이기 때문이다. 이런 모순으로 인해 장애인스포츠 차별 문제는 그 해결이 요원해 보인다.
△ 척수장애 휠체어 육상선수들의훈련(맨위,김진수기자). 2002년 10월28일 부산 아태장애인경기대회 뇌성마비 100m 달리기 예선(위,한겨레 강창광 기자). 전문가들은 장애인스포츠 선수들의 연금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장애인 대표선수들의 실상은 이런 모순된 현실만 탓하기에는 너무 절박하다. 대부분의 선수들은 장애인스포츠 경기에 참가하기 위해 어렵게 얻은 일반 직장을 포기해야 한다. 장애인올림픽의 경우 합숙 훈련과 경기 일정을 합쳐 100일 가까이 직장을떠나 있어야 하는데, 사업주가 이를 용인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표선수로 뽑혀 국제대회에 참가하려면 ‘과감하게’ 직장을 포기해야 한다.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이현옥 홍보과장은 “선수들의 직장이 대부분 영세업체인데, 이 업체들은 일꾼 한 사람 몫이 아쉬운 곳이어서 사업주로서도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며 “선수들이 안정적인 직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아테네장애인올림픽 대회에 참가하는 82명의 선수 중 50여명은 직장이 없다. 특수학교나 정립회관 등 장애인단체에 소속된 선수들까지 합하면 ‘임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선수는 60여명으로 늘어난다. 이들 중 상당수가 장애인올림픽에 참가하기 위해 그동안 다니던 직장을 포기했다. 이들이 직장을 포기하고 받는 대가는 하루 2만5천원의 훈련수당과 소속 지방자치단체나 장애인체육단체에서 주는 한달 40만∼50만원의 훈련지원비뿐이다. 일반 선수들이 소속 실업팀과 협회, 협찬 기업들로부터 든든한 재정적 지원을 받는 것과 대조적이다.
메달을 땄을 때 받는 혜택은 더욱 큰 차이가 난다. 일반 선수의 경우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면 월 100만원의 연금을 받지만, 장애인 선수들은 월 60만원에 불과하다. 얼핏 보면 별 차이가 없는 듯하지만, 차이는 메달을 여러 개 땄을 때 도드라진다. 일반 선수는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2개 이상 딸 경우 연금은 월 100만원 이상 받을 수 없지만, 누적된 메달 수만큼 일시불로 환산해 돈을 받는다. 하지만 장애인 선수는 올림픽에서 아무리 메달을 많이 따도 월 80만원 이상 받을 수 없다. 연금을 제외한 포상금에서는 더 큰 차이가 생긴다. 지난 아테네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은 소속 팀과 협회의 경제적 지원 능력에 따라 1억∼3억원의 포상금을 별도로 챙길 수 있었다. 하지만 장애인 선수들은 이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 소속된 팀도 협회도 없고, 스폰서도 없기 때문이다. 몇몇 대기업이 훈련지원비로 내놓은 돈을 대회가 끝난 뒤 선수 전원이 골고루 나눠갖는데, 지난 시드니대회 때는 1인당 300만원 수준이었다.
국민체육진흥법에 장애인은 없다
전문가들은 장애인스포츠 선수들에 대한 연금 제도만이라도 일반 선수와 똑같이 적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민규 교수(한국체육대 특수체육학과)는 “일반 선수들에 대한 포상금은 국민체육진흥기금에서 나오고 장애인스포츠는 장애인복지기금에서 나오는데, 이 기금의 규모가 6천억원(국민체육진흥기금)과 350억원(장애인복지기금)으로 큰 차이가 나기 때문에 포상금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장애인 선수들도 동등한 연금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현행 국민체육진흥법에는 장애인스포츠에 대한 규정이 없다. 이 때문에 장애인 선수들은 이 법에 따른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한 교수는 “국민체육진흥법만 놓고 보면 장애인은 국민의 범주에 아예 들어가지 못하는 셈”이라며 “우리 사회에 만연된 장애인 차별 구조가 장애인스포츠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6. 해결방안
-장애인스포츠의 열악한 환경을 개선.
-선수들의 직장이 대부분 영세업체인데, 이 업체들은 일꾼 한 사람 몫이 아쉬운 곳이어서 사업주로서도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다. 선수들이 안정적인 직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함.
-장애인스포츠 선수들에 대한 연금 제도만이라도 일반 올림픽선수와 똑같이 적용해야함.
결론
▶올림픽이나 페럴림픽 둘 다 국위선양을 위한 대회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사람 대부분은 그걸 잊고는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운동선수나 자신이 좋아하는 비장애인선수들의 경기만을 관심 갖는다. 대부분 국민들이 그렇게 생각해서 인지 정부에서도 차별을 두고 국위선양선수들에게 차별을 둔다. 이런 차별을 없애려면 비장애인선수와 장애인선수들이 같이 할 수 있는 운동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비장애인선수와 장애인선수는 신체적 능력 면에서 차이가 있다. 그걸 극복할 수 있는 건 같이하는 것밖에 없을 것 같다. 오직 내 생각만으로 얘기하건데 올림픽을 새로이 하나 만드는 것이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능력을 통일시키긴 힘들다. 그렇다면 그 능력의 차이를 하나로 하는 것, 그것을 바로 같은 종목에 같이 나 갈수 있게끔 통합 올림픽을 만드는 것이다. 이름 하여 ‘유닐림픽’ 이것은 united olympic의 합성어이다.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화합의 올림픽을 만들고자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만들자면 비장애인과 장애인이 한조가 되어서 각자가 할 수 있는 역할에 최선을 다하고 점수가 나오면 경기가 끝나고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점수를 합쳐서 순위를 결정 짖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름그대로 화합의 올림픽을 만드는 것 이다. 이렇게 되면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도 비장애인, 장애인 모두 같은 대우를 받게 될 것이고 어렵게만 느껴지던 장애인을 더욱 가깝게 느끼게 될 것이다.
※자료출처
http://olympic.hani.co.kr/
http://olympic.chosun.com/
http://www.shadowface.com/
인터넷한겨레신문
네이버지식검색
구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1.10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1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