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표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었다.
최종적으로 U K의 값이 0이 되어야 이 실험을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는데 1회는 0.06482 J, 2회는 0.06600 J, 3회는 0.06623 J, 4회는 0.06071 J, 5회는 0.06528 J의 값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이차원 충돌 실험장치의 slope를 따라 진자가 내려올 때 진자의 회전과 마찰 등으로 변환되는 에너지(비보존력)가 발생되어 위치에너지에서 온전히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지 않았을 것이며, 진자를 빗면에서 떨어뜨릴 때, 20cm에서 손으로 직접 떨어뜨렸기 때문에 정확히 20cm에서 떨어뜨렸을 것이라고 장담하기 어렵다. 이 오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구슬일수록 수직항력이 커지므로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최대한 가벼운 진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최종적으로 U K의 값이 0이 되어야 이 실험을 성공했다고 볼 수 있는데 1회는 0.06482 J, 2회는 0.06600 J, 3회는 0.06623 J, 4회는 0.06071 J, 5회는 0.06528 J의 값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오차가 발생한 이유는 이차원 충돌 실험장치의 slope를 따라 진자가 내려올 때 진자의 회전과 마찰 등으로 변환되는 에너지(비보존력)가 발생되어 위치에너지에서 온전히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지 않았을 것이며, 진자를 빗면에서 떨어뜨릴 때, 20cm에서 손으로 직접 떨어뜨렸기 때문에 정확히 20cm에서 떨어뜨렸을 것이라고 장담하기 어렵다. 이 오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거운 구슬일수록 수직항력이 커지므로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최대한 가벼운 진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