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측정값
2.실험결과
3.질문 및 토의
4.결론 및 검토
2.실험결과
3.질문 및 토의
4.결론 및 검토
본문내용
의 그림과 같이 등전위선은 우리가 흔히 지도에서 보는 등고선과 같은 의미로 해석하면 될 것이다. 일정한 전위차로 등전위선을 그린다면 전하에 가까운 곳일수록 밀하고, 전기장도 세며, 전하에서 멀어질수록 등전위선은 소해지고, 전기장도 약해진다. 또한 등전위선 위의 모든 점에서는 전위가 같으므로 두 점 사이의 전위차가 0이 되어 만약 등전위선 위에서 전하를 이동시킬 때에는 일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는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
mgh
)를 구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dW=qdV=-q vec{E} BULLET d vec{l} =0````( BECAUSE vec{E} =0)
전기장(electric field)은 정의가 전기적인 힘, 즉 전기력이 미치는 공간을 의미하므로 그 전기장 안에서는 어떤 전자나 양전자가 어떤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vec{F} =q vec{E}
로 표현되며 전기장, 즉 전기력선은 등전위선과는 수직이며 전기력선끼리는 겹치지 않는다. 만약 전기력선이 겹친다면 한 지점에서 두 가지의 힘을 동시에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실험을 통해 전기장과 등전위선을 직접 확인해보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이 현상들을 관찰할 수 있다. 머리를 빗을 때나 또는 TV화면의 정전기 현상이 그것이다. 이는 물질을 이루는 원자는 양전하를 띤 핵과 음전하를 띠는 전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의 이동으로 대전된 상태가 되면, 전위차가 생겨 전기장이 형성된다. 즉, 우리가 살펴본 등전위선과 전기장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mgh
)를 구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dW=qdV=-q vec{E} BULLET d vec{l} =0````( BECAUSE vec{E} =0)
전기장(electric field)은 정의가 전기적인 힘, 즉 전기력이 미치는 공간을 의미하므로 그 전기장 안에서는 어떤 전자나 양전자가 어떤 방향으로 힘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vec{F} =q vec{E}
로 표현되며 전기장, 즉 전기력선은 등전위선과는 수직이며 전기력선끼리는 겹치지 않는다. 만약 전기력선이 겹친다면 한 지점에서 두 가지의 힘을 동시에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실험을 통해 전기장과 등전위선을 직접 확인해보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도 흔히 이 현상들을 관찰할 수 있다. 머리를 빗을 때나 또는 TV화면의 정전기 현상이 그것이다. 이는 물질을 이루는 원자는 양전하를 띤 핵과 음전하를 띠는 전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의 이동으로 대전된 상태가 되면, 전위차가 생겨 전기장이 형성된다. 즉, 우리가 살펴본 등전위선과 전기장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