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릿말
- 정의
- 설립일
- 구성
- 설립목적
- 설립위치
- 정관
2.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관리
- 조직화
- 활동
- 인적자원관리
3.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공간활용
- 전시공간
- 공연
- 문화예술도서관
- 예술학교
- 기타
4.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마케팅
- 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
- 관개조사와 시장세분화 전략
- 인터넷 마케팅
5.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재원조달
- 기부문화에 마케팅개념 도입
- 시설임대를 통한 재원조달
- 이벤트를 통한 기금 조성
사업실례)뮤지컬 초청공연에 대한 사업계획서 및 타당선 분석자료
6. 결론 및 느낀점
- 정의
- 설립일
- 구성
- 설립목적
- 설립위치
- 정관
2.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관리
- 조직화
- 활동
- 인적자원관리
3.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공간활용
- 전시공간
- 공연
- 문화예술도서관
- 예술학교
- 기타
4.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마케팅
- 마케팅의 정의와 적용범위
- 관개조사와 시장세분화 전략
- 인터넷 마케팅
5. 복합아트센터 창조의 재원조달
- 기부문화에 마케팅개념 도입
- 시설임대를 통한 재원조달
- 이벤트를 통한 기금 조성
사업실례)뮤지컬 초청공연에 대한 사업계획서 및 타당선 분석자료
6.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항공료에 1/2을 곱해주는 이유는 다른 도시에서도 뮤지컬을 같은 횟수로 공연하기로 하였기 때문에 50%씩 공동 부담하는 것이다. (보통 공연 횟수 비율로 안분 계산함)
150,000원*25실*18일
) 우리도시에서 개최하기로 한 총 일수는 14일이지만 시차 적응 및 리허설 준비기간으로 +4일 함
$80*1220원*25명*18일
$30*1220원*25명*21회
30,500,000
67,500,000
43,920,000
19,215,000
161,135,000
13.91%
예산항목
산출근거
금 액(원)
비 고
출연료 및 용역비
출연료
통 역
진행보조인력
소 계
총예산 대비율
$25,000*1220원*21
200,000원*2명*18일
50,000원*5명*18일
640,500,000
7,200,000
4,500,000
652,200,000
56.31%
임 차 료
승용차
버 스
소 계
총예산 대비율
400,000*2대*18일
500,000*1대*18일
14,400,000
9,000,000
23,400,000
2.02%
홍 보 비
프로그램
전 단
포 스 터
디자인료
거리 현수막
공연장 옥외 현수막
육교 현판
안내 사인물 제작
홍보물 배포료
TV Spot 제작비
TV Spot 방영료
일간지 광고비
기자회견
소 계
총예산 대비율
2,000원*18,500부
100원*100,000부
2,000원*1,000부
2,500,000원*1식
50,000*50종
1,000,000*1식
1,000,000*5개처
20,000원*2종*10개
500,000*3회
2,000,000*1종
2,000,000*15회
2,000,000*3회
50,000*30명*1회
37,000,000
10,000,000
2,000,000
2,500,000
2,500,000
1,000,000
5,000,000
400,000
1,500,000
2,000,000
30,000,000
6,000,000
1,500,000
101,400,000
8.75%
제세 공과금
소 득 세
문예진흥기금
소 계
총예산 대비율
640,500,000*0.22/0.78
1,422,960,000*0.6%
180,653,846
8,537,760
189,191,606
16.33%
기타 경비
진 행 비
예 비 비
소 계
총예산 대비율
50,000원*18일
900,000
30,000,000
30,900,000
2.67%
총 계
1,158,226,606
위의 예상 비용을 각 항목별 비율로 그래프를 그려보면 아래와 같은데 출연료 및 용역비가 예상 비용의 50%를 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정상급 뮤지컬 배우들을 초청해 오느라고 인건비가 많이 들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운송비인데 이것역시 배우들과 관계된 것이므로 사람과 관계된 인건비가 무려 70%나 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봐도 문화예술은 소비자에게 인적용역을 제공하는 상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홍보비용이 너무 적다는 느낌도 든다. 관람객 유치를 위해 1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마케팅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선 지출을 좀 더 늘려도 무방하리라 본다.
예상수입
좌석등급
예상점유율
좌석수
공연횟수
단 가(원)
금 액(원)
VIP
60%
200
21회
120,000
302,400,000
R
70%
200
21회
100,000
294,000,000
G
80%
310
21회
80,000
416,640,000
S
95%
260
21회
60,000
311,220,000
A
100%
80
21회
40,000
67,200,000
B
100%
50
21회
30,000
31,500,000
평균점유율
84%
1,100
1,422,960,000
1)매표수입
2)광고 수입 500,000*5=2,500,000
3)협찬 수입 50,000,000*1=50,000,000
예상수입 총계 1,475,460,000
예상순이익 : 예상수입(1,475,460,000) - 예상비용(1,158,226,606) = 317,233,394
위의 표는 수입의 100%를 차지한다 해도 과언이 아닌 좌석등급별 수입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80,000원 이상의 고가 좌석을 전체좌석의 64.5%의 비율로 잡았는데 이런 공격적 가격 책정이 성공해 목표 입장권 매출을 초과 달성하였다. 다만 여기서 주의할 점은 너무 지나친 고가석의 전략은 대중들에게 비판을 받을 수 있으므로, 사회 및 경제상황과 뮤지컬의 인지도 등을 따져서 적정 가격을 책정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 및 느낀 점
지금까지 임의로 상황을 부여하여 뮤지컬 공연에 대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보았는데 나름대로는 현실에 맞는 최상의 금액과 비용 항목 등을 생각해 보았지만 실제로 공연시장의 시세와 상황을 모르는 입장이므로 많은 오류가 있을 것이다. 그래도 이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보면서, 더 나아가 우리 조원들이 합심하여 복합 문화공간 아트센터 "창조" 라는 예술단체를 설립해 보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일반기업이라면 그래도 많이 듣고, 읽어보고 해서 낯설지가 않았을 텐데 예술단체를 만든다는 것은 무척 생소한 일이었다. 그래서 처음엔 조원들끼리 의견도 엇갈리고, 합의점도 잘 도출이 안 되고 어려웠는데 이것저것 자료를 찾으며 서로 토론하는 과정에서 발전되어 가는 우리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리포트도 중요하지만 이런 과정 또한 아주 중요한 배움이 아닌가 한다. 또 문화예술에 대해서 그저 나중에 돈 벌면, 돈 많이 생기면 관심한번 가져봐야지 했는데 이번 수업을 수강하면서, 이건 아니다 하는 생각을 갖게 된 것도 또한 큰 배움이었다. 그리고 문화예술분야에서 열심히 일하시는 분들의 모습도 직접 볼 수 있어서 좋았고, 그 분들의 프로정신이 멋있었다. 앞으로 우리나라 문화예술분야의 발전을 기원하며 우리 조원들은 이 수업을 수강한 만큼, 문화예술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혹 사장님이라도 되 돈 많이 벌면 기부금도 낼 생각이다.
참고문헌
해외대형 복합문화공간의 설립 및 운영사례 분석(함동열,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문화예술경영 ( 박신의 외 , (주)생각의 나무, 2002년)
예술경영 ( 김주호, 용호성 지음, 김영사, 2002년)
매일경제 2003년 11월 14일자 '기업 메세나'
150,000원*25실*18일
) 우리도시에서 개최하기로 한 총 일수는 14일이지만 시차 적응 및 리허설 준비기간으로 +4일 함
$80*1220원*25명*18일
$30*1220원*25명*21회
30,500,000
67,500,000
43,920,000
19,215,000
161,135,000
13.91%
예산항목
산출근거
금 액(원)
비 고
출연료 및 용역비
출연료
통 역
진행보조인력
소 계
총예산 대비율
$25,000*1220원*21
200,000원*2명*18일
50,000원*5명*18일
640,500,000
7,200,000
4,500,000
652,200,000
56.31%
임 차 료
승용차
버 스
소 계
총예산 대비율
400,000*2대*18일
500,000*1대*18일
14,400,000
9,000,000
23,400,000
2.02%
홍 보 비
프로그램
전 단
포 스 터
디자인료
거리 현수막
공연장 옥외 현수막
육교 현판
안내 사인물 제작
홍보물 배포료
TV Spot 제작비
TV Spot 방영료
일간지 광고비
기자회견
소 계
총예산 대비율
2,000원*18,500부
100원*100,000부
2,000원*1,000부
2,500,000원*1식
50,000*50종
1,000,000*1식
1,000,000*5개처
20,000원*2종*10개
500,000*3회
2,000,000*1종
2,000,000*15회
2,000,000*3회
50,000*30명*1회
37,000,000
10,000,000
2,000,000
2,500,000
2,500,000
1,000,000
5,000,000
400,000
1,500,000
2,000,000
30,000,000
6,000,000
1,500,000
101,400,000
8.75%
제세 공과금
소 득 세
문예진흥기금
소 계
총예산 대비율
640,500,000*0.22/0.78
1,422,960,000*0.6%
180,653,846
8,537,760
189,191,606
16.33%
기타 경비
진 행 비
예 비 비
소 계
총예산 대비율
50,000원*18일
900,000
30,000,000
30,900,000
2.67%
총 계
1,158,226,606
위의 예상 비용을 각 항목별 비율로 그래프를 그려보면 아래와 같은데 출연료 및 용역비가 예상 비용의 50%를 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정상급 뮤지컬 배우들을 초청해 오느라고 인건비가 많이 들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운송비인데 이것역시 배우들과 관계된 것이므로 사람과 관계된 인건비가 무려 70%나 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봐도 문화예술은 소비자에게 인적용역을 제공하는 상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홍보비용이 너무 적다는 느낌도 든다. 관람객 유치를 위해 1차적으로 중요한 것은 마케팅이므로 이 부분에 대해선 지출을 좀 더 늘려도 무방하리라 본다.
예상수입
좌석등급
예상점유율
좌석수
공연횟수
단 가(원)
금 액(원)
VIP
60%
200
21회
120,000
302,400,000
R
70%
200
21회
100,000
294,000,000
G
80%
310
21회
80,000
416,640,000
S
95%
260
21회
60,000
311,220,000
A
100%
80
21회
40,000
67,200,000
B
100%
50
21회
30,000
31,500,000
평균점유율
84%
1,100
1,422,960,000
1)매표수입
2)광고 수입 500,000*5=2,500,000
3)협찬 수입 50,000,000*1=50,000,000
예상수입 총계 1,475,460,000
예상순이익 : 예상수입(1,475,460,000) - 예상비용(1,158,226,606) = 317,233,394
위의 표는 수입의 100%를 차지한다 해도 과언이 아닌 좌석등급별 수입비율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80,000원 이상의 고가 좌석을 전체좌석의 64.5%의 비율로 잡았는데 이런 공격적 가격 책정이 성공해 목표 입장권 매출을 초과 달성하였다. 다만 여기서 주의할 점은 너무 지나친 고가석의 전략은 대중들에게 비판을 받을 수 있으므로, 사회 및 경제상황과 뮤지컬의 인지도 등을 따져서 적정 가격을 책정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 및 느낀 점
지금까지 임의로 상황을 부여하여 뮤지컬 공연에 대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보았는데 나름대로는 현실에 맞는 최상의 금액과 비용 항목 등을 생각해 보았지만 실제로 공연시장의 시세와 상황을 모르는 입장이므로 많은 오류가 있을 것이다. 그래도 이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보면서, 더 나아가 우리 조원들이 합심하여 복합 문화공간 아트센터 "창조" 라는 예술단체를 설립해 보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일반기업이라면 그래도 많이 듣고, 읽어보고 해서 낯설지가 않았을 텐데 예술단체를 만든다는 것은 무척 생소한 일이었다. 그래서 처음엔 조원들끼리 의견도 엇갈리고, 합의점도 잘 도출이 안 되고 어려웠는데 이것저것 자료를 찾으며 서로 토론하는 과정에서 발전되어 가는 우리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리포트도 중요하지만 이런 과정 또한 아주 중요한 배움이 아닌가 한다. 또 문화예술에 대해서 그저 나중에 돈 벌면, 돈 많이 생기면 관심한번 가져봐야지 했는데 이번 수업을 수강하면서, 이건 아니다 하는 생각을 갖게 된 것도 또한 큰 배움이었다. 그리고 문화예술분야에서 열심히 일하시는 분들의 모습도 직접 볼 수 있어서 좋았고, 그 분들의 프로정신이 멋있었다. 앞으로 우리나라 문화예술분야의 발전을 기원하며 우리 조원들은 이 수업을 수강한 만큼, 문화예술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가질 것이다. 혹 사장님이라도 되 돈 많이 벌면 기부금도 낼 생각이다.
참고문헌
해외대형 복합문화공간의 설립 및 운영사례 분석(함동열, 중앙대 예술대학원 교수)
문화예술경영 ( 박신의 외 , (주)생각의 나무, 2002년)
예술경영 ( 김주호, 용호성 지음, 김영사, 2002년)
매일경제 2003년 11월 14일자 '기업 메세나'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인의 문화예술 여가활동 실태 조사
미학과 예술문화
러시아 문화예술 8주차 퀴즈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예술에서의 특징서술
[A+][조선대]러시아문화예술 퀴즈족보
[조선대 인강] 프랑스문화와예술 2006년 ~ 2012년 퀴즈 문제 + 강의 정리본입니다.
스페인 문화예술 레포트(콜럼버스의 항해과정 & 아메리카 정복과정)
21C 리더쉽(문화예술) 감상문 및 느낀점
서양문화예술에 관련된 영화를 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남북한 문화예술
[프랑스문화와예술] 프랑스 대혁명
문화예술로본서양사)십자군원정의 역사적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