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록 기체의 용해도는 커진다.
② 온도가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커진다.
③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와 무관하다.
④ 거품이 많인 발생한 시험관은 기체의 용해도가 크다.
⑤ 압력이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커진다.
91. 오른쪽 그림은 끓는점을 측정하는 실험 장치이다.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끓임쪽은 액체가 갑자기 끓어 넘치는 것을 막아 준다.
② 물중탕으로 가열하면 에탄올에 불이 붙지 않고 열을 고루 전달하며 온도 변화를 느리게 한다.
③ 쇠그물은 비커 바닥에 열을 고르게 전달한다.
④ 알코올 램프에 알코올을 가득 채우고 불을 붙여 사용한다.
⑤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도를 읽으며, 물질의 상태를 관찰한다.
92. 액체 물질의 끓는점에 영향을 주는 것은 ?
① 액체의 질량 ② 액체의 어는 점
③ 액체의 밀도 ④ 대기의 압력
⑤ 가열하는 불꽃의 세기
93. 온도와 기압의 변화에 따른 산소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4. 네 가지 물질 탄산수소나트륨, 설탕, 나프탈렌, 탄산칼슘을 5mL의 물과 에탄올에 각각 녹여 보았을 때의 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A, B, C, D 물질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용질
용매
A
B
C
D
물
에탄올
약간 녹음
녹지 않음
녹지 않음
녹지 않음
잘 녹음
거의 녹지 않음
녹지 않음
약간 녹음
A B C D
① 탄산수소나트륨 나프탈렌 설탕 탄산칼슘
②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설탕 나프탈렌
③ 나프탈렌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설탕
④ 설탕 나프탈렌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⑤ 나프탈렌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설탕
95. 10%의 설탕물 100g과 20%의 설탕물 100g을 섞으면 몇 %의 설탕물이 되겠는가 ?
① 5 %
② 10 %
③ 15 %
④ 20 %
⑤ 30 %
96. 오른쪽 그림은 어떤 물질의 용해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2개 고르면 ?
① A점은 포화 상태를 나타낸다.
② B점은 A~D 중 농도가 가장 진하다.
③ C점에서의 농도는 80%이다.
④ C점의 용액은 온도를 낮추면 포화 용액이 된다.
⑤ 60℃의 물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양은 80g이다.
51. ④
물질의 결정 모양
염화나트륨 : 정육면체
백반 : 정팔면체
수정 : 육각기둥
52. ⑤
상태 변화는 물질의 특성이라고 할 수 없다.
53. ③
겉보기 성질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 보고, 촉감으로 알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54. ④
자로 변의 길이를 재어 부피를 계산하고, 양팔 저울이나 윗접시 저울로 질량을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한다.
55. ④
볼트의 밀도 = 볼트의 질량 ÷ 볼트의 부피
56. ①, ④
물보다 가벼운 고체의 부피는 송곳이나 바늘로 고정시켜 메스 실린더의 수면까지 잠기게 한 다음 측정한다.
57. ③
58. ①
황산구리 수용액은 푸른색이다.
59. ②
① 5%, ② 30%, ③ 25%, ④ 10%, ⑤ 15%
60. ③
61. ④
30% 수용액 200g 속에는 질산칼륨 60g, 물 140g이 있고 물 140g에 질산칼륨은 84g 녹을 수 있다.
62. ①
60℃에서 포화 용액 300g에는 물 200g에 용질 100g이 녹아 있다. 30℃로 냉각시키면 물 200g에 용질 50g이 녹으므로 고체 50g은 석출된다.
63. ①
온도가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크므로 기포가 적게 발생한다.
64. ①, ④
65. ④
66. ⑤
67. ④
금강석과 수정은 모두 유리 광택이 나며 소금과 설탕은 촉감이 거칠다.
68. ③
황은 노란색, 황산구리는 푸른색, 구리는 붉은색, 금은 노란색이다. 철은 은백색이지만 공기 중에서 붉은색으로 녹이 슨다.
69. ②
부피는 수증기 > 얼음 > 물의 순이다. 그러나 밀도의 크기는 부피와는 반대이다.
70. ④
부피 변화가 큰 물질이 밀도 변화가 크다.
71. ⑤
A의 밀도는 D의 밀도의 2배이다.
72. ④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밀도의 변화를 알아보아야 한다.
73. ②
74. ③
우유, 화강암, 술, 석유, 공기, 소금물은 혼합물이다.
75. ④
D는 소금물이므로 혼합물이다.
76. ①
77. ④
순물질은 끓는점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78. ⑤
A~B, C~D 구간에서 나온 액체는 순물질이다.
79. C
혼합물은 녹는점이 일정하지 않다.
80. ②
81. ⑤
고체를 가열할 때 일정한 온도가 나타나는 것은 고체가 액체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82. ①, ②, ③
㉯ 구간 : 융해, 열 흡수
㉱ 구간 : 응고, 열 방출
녹는점 = 어는점 = 53℃
㉮ : 고체
㉯ : 고체, 액체
㉰ : 액체
㉱ : 고체, 액체
㉲ : 고체
83. ②
액체의 양이 많을수록 끓는점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84. ②
아스피린의 녹는점이 135℃인데 온도계는 110℃까지 측정 가능하므로 아스피린의 녹는점을 측정할 수 없으며, 물의 온도는 100℃이상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아스피린을 물 속에서 가열하면 녹는점까지 도달할 수 없다.
85. ③, ④
표에서 보면 압력이 높을수록 물의 온도가 높아지며, 밥이 되는 시간도 점점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86. ④
섞여 있는 두 물질의 상태가 같으면 양이 많은 쪽을 용매로 본다.
87. ③
고체를 액체에 용해시킬 경우 고체는 용질, 액체는 용매에 해당한다.
88. ⑤
고체의 용해도는 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89. ③
80℃와 20℃에서 질산나트륨의 용해도는 각각 148과 88이다.
90. ②
사이다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녹인 것이며, 온도가 높을수록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91. ④
92. ④
93. ②
94. ②
설탕은 물에 잘 녹으며 탄산칼슘은 물과 에탄올에 모두 녹지 않는다. 나프탈렌은 물에는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는 녹는다.
95. ③
10% 설탕물 100g = 설탕 10g + 물 90g
20% 설탕물 100g = 설탕 20g + 물 80g
96. ①, ④
A점은 포화 상태이며 C, D점은 불포화 상태이다.
내신문제연구소
② 온도가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커진다.
③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와 무관하다.
④ 거품이 많인 발생한 시험관은 기체의 용해도가 크다.
⑤ 압력이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커진다.
91. 오른쪽 그림은 끓는점을 측정하는 실험 장치이다. 실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끓임쪽은 액체가 갑자기 끓어 넘치는 것을 막아 준다.
② 물중탕으로 가열하면 에탄올에 불이 붙지 않고 열을 고루 전달하며 온도 변화를 느리게 한다.
③ 쇠그물은 비커 바닥에 열을 고르게 전달한다.
④ 알코올 램프에 알코올을 가득 채우고 불을 붙여 사용한다.
⑤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도를 읽으며, 물질의 상태를 관찰한다.
92. 액체 물질의 끓는점에 영향을 주는 것은 ?
① 액체의 질량 ② 액체의 어는 점
③ 액체의 밀도 ④ 대기의 압력
⑤ 가열하는 불꽃의 세기
93. 온도와 기압의 변화에 따른 산소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94. 네 가지 물질 탄산수소나트륨, 설탕, 나프탈렌, 탄산칼슘을 5mL의 물과 에탄올에 각각 녹여 보았을 때의 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A, B, C, D 물질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용질
용매
A
B
C
D
물
에탄올
약간 녹음
녹지 않음
녹지 않음
녹지 않음
잘 녹음
거의 녹지 않음
녹지 않음
약간 녹음
A B C D
① 탄산수소나트륨 나프탈렌 설탕 탄산칼슘
②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설탕 나프탈렌
③ 나프탈렌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설탕
④ 설탕 나프탈렌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칼슘
⑤ 나프탈렌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설탕
95. 10%의 설탕물 100g과 20%의 설탕물 100g을 섞으면 몇 %의 설탕물이 되겠는가 ?
① 5 %
② 10 %
③ 15 %
④ 20 %
⑤ 30 %
96. 오른쪽 그림은 어떤 물질의 용해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2개 고르면 ?
① A점은 포화 상태를 나타낸다.
② B점은 A~D 중 농도가 가장 진하다.
③ C점에서의 농도는 80%이다.
④ C점의 용액은 온도를 낮추면 포화 용액이 된다.
⑤ 60℃의 물 100g에 최대로 녹을 수 있는 양은 80g이다.
51. ④
물질의 결정 모양
염화나트륨 : 정육면체
백반 : 정팔면체
수정 : 육각기둥
52. ⑤
상태 변화는 물질의 특성이라고 할 수 없다.
53. ③
겉보기 성질을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 보고, 촉감으로 알 수 있는 성질을 말한다.
54. ④
자로 변의 길이를 재어 부피를 계산하고, 양팔 저울이나 윗접시 저울로 질량을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한다.
55. ④
볼트의 밀도 = 볼트의 질량 ÷ 볼트의 부피
56. ①, ④
물보다 가벼운 고체의 부피는 송곳이나 바늘로 고정시켜 메스 실린더의 수면까지 잠기게 한 다음 측정한다.
57. ③
58. ①
황산구리 수용액은 푸른색이다.
59. ②
① 5%, ② 30%, ③ 25%, ④ 10%, ⑤ 15%
60. ③
61. ④
30% 수용액 200g 속에는 질산칼륨 60g, 물 140g이 있고 물 140g에 질산칼륨은 84g 녹을 수 있다.
62. ①
60℃에서 포화 용액 300g에는 물 200g에 용질 100g이 녹아 있다. 30℃로 냉각시키면 물 200g에 용질 50g이 녹으므로 고체 50g은 석출된다.
63. ①
온도가 낮을수록 기체의 용해도는 크므로 기포가 적게 발생한다.
64. ①, ④
65. ④
66. ⑤
67. ④
금강석과 수정은 모두 유리 광택이 나며 소금과 설탕은 촉감이 거칠다.
68. ③
황은 노란색, 황산구리는 푸른색, 구리는 붉은색, 금은 노란색이다. 철은 은백색이지만 공기 중에서 붉은색으로 녹이 슨다.
69. ②
부피는 수증기 > 얼음 > 물의 순이다. 그러나 밀도의 크기는 부피와는 반대이다.
70. ④
부피 변화가 큰 물질이 밀도 변화가 크다.
71. ⑤
A의 밀도는 D의 밀도의 2배이다.
72. ④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압력의 변화에 따라 밀도의 변화를 알아보아야 한다.
73. ②
74. ③
우유, 화강암, 술, 석유, 공기, 소금물은 혼합물이다.
75. ④
D는 소금물이므로 혼합물이다.
76. ①
77. ④
순물질은 끓는점이 선명하게 나타난다.
78. ⑤
A~B, C~D 구간에서 나온 액체는 순물질이다.
79. C
혼합물은 녹는점이 일정하지 않다.
80. ②
81. ⑤
고체를 가열할 때 일정한 온도가 나타나는 것은 고체가 액체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82. ①, ②, ③
㉯ 구간 : 융해, 열 흡수
㉱ 구간 : 응고, 열 방출
녹는점 = 어는점 = 53℃
㉮ : 고체
㉯ : 고체, 액체
㉰ : 액체
㉱ : 고체, 액체
㉲ : 고체
83. ②
액체의 양이 많을수록 끓는점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84. ②
아스피린의 녹는점이 135℃인데 온도계는 110℃까지 측정 가능하므로 아스피린의 녹는점을 측정할 수 없으며, 물의 온도는 100℃이상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아스피린을 물 속에서 가열하면 녹는점까지 도달할 수 없다.
85. ③, ④
표에서 보면 압력이 높을수록 물의 온도가 높아지며, 밥이 되는 시간도 점점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86. ④
섞여 있는 두 물질의 상태가 같으면 양이 많은 쪽을 용매로 본다.
87. ③
고체를 액체에 용해시킬 경우 고체는 용질, 액체는 용매에 해당한다.
88. ⑤
고체의 용해도는 압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89. ③
80℃와 20℃에서 질산나트륨의 용해도는 각각 148과 88이다.
90. ②
사이다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녹인 것이며, 온도가 높을수록 거품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91. ④
92. ④
93. ②
94. ②
설탕은 물에 잘 녹으며 탄산칼슘은 물과 에탄올에 모두 녹지 않는다. 나프탈렌은 물에는 녹지 않으나 에탄올에는 녹는다.
95. ③
10% 설탕물 100g = 설탕 10g + 물 90g
20% 설탕물 100g = 설탕 20g + 물 80g
96. ①, ④
A점은 포화 상태이며 C, D점은 불포화 상태이다.
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자궁적출수술 환자 케이스사례 보고
자궁적출술 케이스 사례연구
신결석(신장 척출술) 케이스 레포트
시료중 유기물 인 화합물 인산염 형태 변화 아스코르빈산환원 흡광광도법 정량 총인 농도
황사의 원인과 대책
진주에 대한 이해 & 명품 미키모토 Story
[유기화학실험] 얇은 층 크로마토 그래피(TLC)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실험
[식물 호흡][식물 광합성][식물 구조][식물 구성요소][식물 생리조절 호르몬][식물이 받는 스...
[황사][황사현상][황사피해][사막화][황사가 많은 봄날의 건강수칙]황사현상의 개념, 황사의 ...
6생명과학보고서(식물호흡의 측정)
화학실험 - 불꽃반응 실험
화학기초실험 - 물의 알칼리도와 산도 측정
[화학] 화합물에 관해(정의,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 이온결합, 화합물의 명명법, 고분자화...
건축재료레포트 - 미장재료 및 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