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도를 측정할 때 지시약의 색 변화로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 색 변화가 문제가 된다. 즉, 사람마다 어느 정도까지 변해야 제대로 변했다고 생각하는 기준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당장 우리 실험에서만 하더라도 조원들 간의 그 기준을 서로 다르게 잡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메틸오렌지 지시약의 색의 정도가 어디쯤이 우리가 실험에서 원하는 값인지를 정확하게 선택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이론상 보면, 각각의 실험에서 색 변화를 언급할 때 예를 들자면 붉은색으로 변한다던지 노란색으로 변한다던지 이런 것이 나와 있다. 그런데 이것도 실험에서 약간의 문제가 되었었다. 우선, 알칼리도 실험에서는 메틸 오렌지 용액을 첨가한 다음 시료의 색이 황색에서 옅은 오렌지색이 될 때까지 황산표준액을 적정해야 하는데 이기준이 사람이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적정을 어느정도까지 해야되는지에 관해서 확실하게 결정내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산도 실험에서도 메틸오렌지 지시약의 변색범위가 대략 pH 4.4정도이기 때문에 적은량의 NaOH만으로도 색이 금방 변색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적정값을 정하기가 어려웠다.
10. 참고 문헌
『Standard methods』20th, 『화학공정실험』
그리고 이론상 보면, 각각의 실험에서 색 변화를 언급할 때 예를 들자면 붉은색으로 변한다던지 노란색으로 변한다던지 이런 것이 나와 있다. 그런데 이것도 실험에서 약간의 문제가 되었었다. 우선, 알칼리도 실험에서는 메틸 오렌지 용액을 첨가한 다음 시료의 색이 황색에서 옅은 오렌지색이 될 때까지 황산표준액을 적정해야 하는데 이기준이 사람이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적정을 어느정도까지 해야되는지에 관해서 확실하게 결정내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산도 실험에서도 메틸오렌지 지시약의 변색범위가 대략 pH 4.4정도이기 때문에 적은량의 NaOH만으로도 색이 금방 변색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적정값을 정하기가 어려웠다.
10. 참고 문헌
『Standard methods』20th, 『화학공정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