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 (인수, 이수)
18. 어떤 물체의 평균 속력이 처음 속력보다 작고 나중 속력보다 크다면, 이 물체는 다음 중 어떤 운동을 한 것인가 ? (광명북, 한산)
① 등속 운동 ② 원운동
③ 주기 운동 ④ 속력이 감소하는 운동
⑤ 속력이 증가하는 운동
19. 물체를 연직 상방으로 던져 올렸을 때 시간과 속력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 (광남, 숙명여)
20. 직선 도로를 따라 같은 속력으로 옆에서 달리던 A, B 두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아 오른쪽 그림과 같은 운동을 하였다. 브레이크를 밟은 지 4초 후 A, B 두 자동차 사이의 거리는 몇 m가 되겠는가 ? (경희, 은광여)
21. 다음 그림은 1타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초인 시간 기록계로 어느 물체의 운동을 기록한 것이다. (윤중, 가원)
(1) AB 구간의 5타점이 찍히는 시간은 몇 초인가 ?
(2) AB 구간의 속력은 얼마인가 ?
① 2.4 cm/s② 4.8 cm/s
③ 24 cm/s④ 48 cm/s
⑤ 480 cm/s
22. 다음은 시간 기록계로 물체의 운동을 기록한 종이 테이프이다. 속력이 증가하는 것은 ?(단, 화살표는 종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이다.) (공릉, 서초)
23. 다음은 학교와 우체국, 문방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우체국에서 문방구까지의 거리는 ? (선화예술, 원촌)
학교는 우체국에서 동쪽으로 200m 지점에 있다.
문방구는 학교에서 서쪽으로 300m 지점에 있다.
① 100 m ② 200 m
③ 300 m④ 400 m
⑤ 500 m
24. 어떤 물체가 경로를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느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로 물체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식이 옳은 것은 ? (월촌, 강동)
①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② 이동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③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④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⑤ 이동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25~27] 그림은 일부 기차역의 위치를 서울역으로부터 철로의 길이로 나타낸 것이다. (단위 : km)
25. 서울을 기준으로 했을 때, 대전에서 동대구까지의 거리는 몇 km인가 ? (경성, 신천)
26. 천안을 기준으로 했을 때 대전까지와 동대구까지의 거리는 각각 얼마인가 ?
(광남, 오주)
27. 다음 중 물체의 위치를 나타낼 때 반드시 나타내어야 할 것을 3개 고르면 ?
① 거리 ② 방향 (선덕, 한일)
③ 속력 ④ 기준점
⑤ 시간
28. 다음 중 속력이 가장 빠른 것은 ? (건대사대부속, 언남)
① 20 초 동안 100 m를 달린다. ② 20 초 동안 120 m를 달린다.
③ 15 초 동안 100 m를 달린다. ④ 15 초 동안 120 m를 달린다.
⑤ 15 초 동안 140 m를 달린다.
29. 정지해 있던 자동차가 출발한 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빨라져서 3초 후의 속력이 8m/s가 되고, 이동한 거리는 12m이었다고 하면, 이 자동차의 평균 속력은 몇 m/s인가 ? (동명, 언북)
① m/s② m/s
③ m/s④ 4 m/s
⑤ 8 m/s
30.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비행기 A는 북쪽으로 400km/h의 속력으로 날아가고, 비행기 B는 동쪽으로 400km/h의 속력으로 날아가고 있다. 비행기 A에서 비행기 B를 볼 때, 어느 방향으로 날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겠는가 ?(공릉, 오금)
① ↓② →
③ ↗④ ↘
⑤ ↖
31. 오른쪽 그림은 어떤 물체의 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 물체가 30초 동안에 이동한 거리는 ?(서울여, 풍납)
① 200 m② 400 m
③ 600 m ④ 800 m
⑤ 1000 m
핵심기출문제 ………
1. ⑤
물체의 위치는 기준점을 정하고 기준점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로 표시한다.
2. ①
3. ②
4. ③
5. ②
6. ①
7. 90km/h
평균 속력은 운동하는 동안의 빠르기 변화는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8. 75m
이동 거리 = 평균 속력 × 걸린 시간
9. ① 10 ② 40
이 물체의 처음 속력은 0이며, 4초 후의 속력은 20m/s이다.
10. 40 m/s
이 물체의 평균 속력을 먼저 구한다.
11. 10 m
빗면의 길이는 평균 속력에 시간을 곱한 값이다.
12. ④
두 자동차가 정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므로 각각의 이동 거리를 더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13. ⑤
4분을 초 단위로 고치면 4×60=240초이다.
14. ⑤
소리가 이동한 거리는 6km, 시간은 4초, 소리의 속력은
15. 10 m/s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의 평균 속력은
16. ②
속력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운동의 이동 거리 = 평균 속력 × 걸린 시간,
평균 속력=10(m/s)
∴ 이동 거리 = 10m/s×2초=20m
드는 시간 - 속력 그래프에서 면적 = 이동 거리
17. ③
낙하 운동에서 물체의 속력은 일정하게 증가한다.
18. ④
등속 운동에서는 의 관계가 성립한다.
19. ①
연직 상방으로 던져 올린 물체의 속력은 일정하게 감소한다.
20. 8 m
4초 동안 두 자동차의 평균 속력으로부터 이동 거리를 구한다.
21. (1) 0.5초 (2) ②
(1) 1타점간의 시간 간격이 0.1초이므로 5타점이 찍히는 시간은
0.1초 × 5 = 0.5초
(2)
22. ②
23. ①
24. ①
이동 거리는 두 위치의 차이로부터 구할 수 있다.
25. 160 km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26. 70km, 230km
천안에서 대전까지의 거리 = 167km - 97km
천안에서 동대구까지의 거리 = 327km - 97km
27. ①, ②, ④
물체의 위치는 기준점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로 나타낸다.
28. ⑤
짧은 시간에 먼 거리를 갈수록 속력이 빠르다.
29. ④
속력이 일정하지 않고 변할 때는 전체 이동 거리와 걸린 시간으로
평균 속력을 구한다.
30. ④
31. ③
등속 운동에서 이동 거리는 시간-속력 그래프의 넓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넓이=30×20=600(m)
내신문제연구소
18. 어떤 물체의 평균 속력이 처음 속력보다 작고 나중 속력보다 크다면, 이 물체는 다음 중 어떤 운동을 한 것인가 ? (광명북, 한산)
① 등속 운동 ② 원운동
③ 주기 운동 ④ 속력이 감소하는 운동
⑤ 속력이 증가하는 운동
19. 물체를 연직 상방으로 던져 올렸을 때 시간과 속력의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 (광남, 숙명여)
20. 직선 도로를 따라 같은 속력으로 옆에서 달리던 A, B 두 자동차가 브레이크를 밟아 오른쪽 그림과 같은 운동을 하였다. 브레이크를 밟은 지 4초 후 A, B 두 자동차 사이의 거리는 몇 m가 되겠는가 ? (경희, 은광여)
21. 다음 그림은 1타점 사이의 시간 간격이 초인 시간 기록계로 어느 물체의 운동을 기록한 것이다. (윤중, 가원)
(1) AB 구간의 5타점이 찍히는 시간은 몇 초인가 ?
(2) AB 구간의 속력은 얼마인가 ?
① 2.4 cm/s② 4.8 cm/s
③ 24 cm/s④ 48 cm/s
⑤ 480 cm/s
22. 다음은 시간 기록계로 물체의 운동을 기록한 종이 테이프이다. 속력이 증가하는 것은 ?(단, 화살표는 종이 테이프의 이동 방향이다.) (공릉, 서초)
23. 다음은 학교와 우체국, 문방구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우체국에서 문방구까지의 거리는 ? (선화예술, 원촌)
학교는 우체국에서 동쪽으로 200m 지점에 있다.
문방구는 학교에서 서쪽으로 300m 지점에 있다.
① 100 m ② 200 m
③ 300 m④ 400 m
⑤ 500 m
24. 어떤 물체가 경로를 따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어느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로 물체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는 식이 옳은 것은 ? (월촌, 강동)
①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② 이동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③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④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⑤ 이동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25~27] 그림은 일부 기차역의 위치를 서울역으로부터 철로의 길이로 나타낸 것이다. (단위 : km)
25. 서울을 기준으로 했을 때, 대전에서 동대구까지의 거리는 몇 km인가 ? (경성, 신천)
26. 천안을 기준으로 했을 때 대전까지와 동대구까지의 거리는 각각 얼마인가 ?
(광남, 오주)
27. 다음 중 물체의 위치를 나타낼 때 반드시 나타내어야 할 것을 3개 고르면 ?
① 거리 ② 방향 (선덕, 한일)
③ 속력 ④ 기준점
⑤ 시간
28. 다음 중 속력이 가장 빠른 것은 ? (건대사대부속, 언남)
① 20 초 동안 100 m를 달린다. ② 20 초 동안 120 m를 달린다.
③ 15 초 동안 100 m를 달린다. ④ 15 초 동안 120 m를 달린다.
⑤ 15 초 동안 140 m를 달린다.
29. 정지해 있던 자동차가 출발한 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빨라져서 3초 후의 속력이 8m/s가 되고, 이동한 거리는 12m이었다고 하면, 이 자동차의 평균 속력은 몇 m/s인가 ? (동명, 언북)
① m/s② m/s
③ m/s④ 4 m/s
⑤ 8 m/s
30. 오른쪽 그림과 같이 비행기 A는 북쪽으로 400km/h의 속력으로 날아가고, 비행기 B는 동쪽으로 400km/h의 속력으로 날아가고 있다. 비행기 A에서 비행기 B를 볼 때, 어느 방향으로 날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겠는가 ?(공릉, 오금)
① ↓② →
③ ↗④ ↘
⑤ ↖
31. 오른쪽 그림은 어떤 물체의 운동을 나타낸 것이다. 이 물체가 30초 동안에 이동한 거리는 ?(서울여, 풍납)
① 200 m② 400 m
③ 600 m ④ 800 m
⑤ 1000 m
핵심기출문제 ………
1. ⑤
물체의 위치는 기준점을 정하고 기준점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로 표시한다.
2. ①
3. ②
4. ③
5. ②
6. ①
7. 90km/h
평균 속력은 운동하는 동안의 빠르기 변화는 생각하지 않은 것이다.
8. 75m
이동 거리 = 평균 속력 × 걸린 시간
9. ① 10 ② 40
이 물체의 처음 속력은 0이며, 4초 후의 속력은 20m/s이다.
10. 40 m/s
이 물체의 평균 속력을 먼저 구한다.
11. 10 m
빗면의 길이는 평균 속력에 시간을 곱한 값이다.
12. ④
두 자동차가 정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므로 각각의 이동 거리를 더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13. ⑤
4분을 초 단위로 고치면 4×60=240초이다.
14. ⑤
소리가 이동한 거리는 6km, 시간은 4초, 소리의 속력은
15. 10 m/s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의 평균 속력은
16. ②
속력이 일정하게 감소하는 운동의 이동 거리 = 평균 속력 × 걸린 시간,
평균 속력=10(m/s)
∴ 이동 거리 = 10m/s×2초=20m
드는 시간 - 속력 그래프에서 면적 = 이동 거리
17. ③
낙하 운동에서 물체의 속력은 일정하게 증가한다.
18. ④
등속 운동에서는 의 관계가 성립한다.
19. ①
연직 상방으로 던져 올린 물체의 속력은 일정하게 감소한다.
20. 8 m
4초 동안 두 자동차의 평균 속력으로부터 이동 거리를 구한다.
21. (1) 0.5초 (2) ②
(1) 1타점간의 시간 간격이 0.1초이므로 5타점이 찍히는 시간은
0.1초 × 5 = 0.5초
(2)
22. ②
23. ①
24. ①
이동 거리는 두 위치의 차이로부터 구할 수 있다.
25. 160 km
이동 거리 = 나중 위치의 거리 - 처음 위치의 거리
26. 70km, 230km
천안에서 대전까지의 거리 = 167km - 97km
천안에서 동대구까지의 거리 = 327km - 97km
27. ①, ②, ④
물체의 위치는 기준점으로부터의 방향과 거리로 나타낸다.
28. ⑤
짧은 시간에 먼 거리를 갈수록 속력이 빠르다.
29. ④
속력이 일정하지 않고 변할 때는 전체 이동 거리와 걸린 시간으로
평균 속력을 구한다.
30. ④
31. ③
등속 운동에서 이동 거리는 시간-속력 그래프의 넓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넓이=30×20=600(m)
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이동통신 통화품질에 관한 실험 및 결과발표
이동식 열연폭계(RIST-PW1) 개발
(이동통신사업) 이동전화에 대해서 (휴대폰,휴대전화)
(핸드폰)이동통신의 원리와 그과정에서쓰이는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조사
모래이동 억제를 통한 황사 이동 방지
번호이동성제도 그리고 KTF 브랜드전략
[발표자료]위성이동통신서비스
[중국 이동통신사업][중국 이동통신시장][휴대폰][핸드폰]중국 이동통신사업과 이동통신시장...
[휴대폰]휴대폰(휴대전화, 이동전화, 핸드폰) 개념, 휴대폰(휴대전화, 이동전화, 핸드폰) 역...
[4세대 이동통신(4G)]4G 기술의 이해, 3세대 이동통신의 한계와 4G의 등장, 4세대 이동통신(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