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표
방법
결과
고찰
방법
결과
고찰
본문내용
론 그래프와 다른 개형을 얻었다. 이에 대한 원인을 생각해보면 첫 번째로 평형에 이를 정도로 충분히 가열을 진행했다고 볼 수 없다. 두 번째로 증류 장치에서 용액이 조금 새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세 번째로 실험 도중 알코올 램프의 화력이 부족하여 알코올 램프를 교체하였다. 세 번째로 증류 장치의 틈을 완전히 매꾸었다고 보기 어렵다. 네 번째로 비중병이 완전히 건조된 상태가 아니었다. 다섯 번째로 증류하기 전 용액을 미리 제조하였기 때문에 에탄올이 일부 증류했을 가능성이 있다. 여섯 번째로 비중병에 잔류액을 넣고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비중병 외부에 액체 일부가 묻어 무게가 높게 측정됐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산 과정이 매끄럽지 않았을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온도계를 연결해놓은 곳에서 새어나가는 수증기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였고, 중간에 연결되어있는 한 곳에서 에탄올이 새어서 단증류를 통하여 얻은 에탄올의 양이 줄어든 것의 큰 원인들이 된 것 같다. 작년에 가열기에서 올해는 램프로 바꾸었기에 비교해보았을 때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그래프 또한 상승하는 모양으로 나왔기에 조금 더 연결부를 잘 연결했다면 이론에 가까운 값이 나왔을 거라고 예상한다
일정한 압력에 혼합한 용액을 일정한 온도로 증발시켜 온도를 측정하여 평형관계식을 알아내는 이번 실험은 용액의 bubble point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수용액의 몰 퍼센트에 따라 및 밀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압력 또한 실험 용액에 따라 증가하고 있어 실험 결과가 잘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온도계를 연결해놓은 곳에서 새어나가는 수증기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였고, 중간에 연결되어있는 한 곳에서 에탄올이 새어서 단증류를 통하여 얻은 에탄올의 양이 줄어든 것의 큰 원인들이 된 것 같다. 작년에 가열기에서 올해는 램프로 바꾸었기에 비교해보았을 때 더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그래프 또한 상승하는 모양으로 나왔기에 조금 더 연결부를 잘 연결했다면 이론에 가까운 값이 나왔을 거라고 예상한다
일정한 압력에 혼합한 용액을 일정한 온도로 증발시켜 온도를 측정하여 평형관계식을 알아내는 이번 실험은 용액의 bubble point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수용액의 몰 퍼센트에 따라 및 밀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압력 또한 실험 용액에 따라 증가하고 있어 실험 결과가 잘 나왔다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