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 수중보다 햇빛의 양이 많다.
46. 오른쪽 그림은 물수세미와 그 줄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A)의 역할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 (대치, 양동)
① 공기의 통로이다.
② 물과 무기 양분의 통로이다.
③ 유기 영양분의 통로이다.
④ 유기 영양분의 저장소이다.
⑤ 햇빛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47. 다음〔보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식물 눈의 이름을 쓰시오. (수서, 원묵)
지난해 여름에서 가을에 생긴다.
이듬해 봄에 싹이 튼다.
비늘잎, 진액, 털 등으로 싸여 있다.
※ [48~49] 다음 <그림>은 꽃의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여라.
48. 갖춘꽃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 4가지를 골라 그 기호 (A~F)를 쓰시오. (청담, 경성)
49. 수분이 이루어지는 곳은 어디인지 기호(A~F)를 쓰시오. (성내, 서라벌)
50. 다음 중 복숭아꽃의 특징을 옳게 나타낸 것은 ? (동덕여, 인수)
① 갖춘꽃, 양성화, 충매화, 갈래꽃
② 갖춘꽃, 양성화, 풍매화, 갈래꽃
③ 안갖춘꽃, 단성화, 충매화, 갈래꽃
④ 안갖춘꽃, 단성화, 충매화, 통꽃
⑤ 안갖춘꽃, 양성화, 풍매화, 통꽃
51. 다음 중 물관의 작용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신사, 신창)
① 세포가 분열하는 장소이다.
② 잎에서 만든 양분을 저장한다.
③ 잎에서 만든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④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이동통로이다.
⑤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52. 다음 중 민들레 잎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대청, 아현)
① 잎은 줄기에서 돌려나 있다.
②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③ 잎맥은 그물맥이다.
④ 잎은 어긋나 있다.
⑤ 잎은 가늘고 뾰족한 침엽이다.
53. 다음 중 민들레 줄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성내, 온곡)
① 곧은 줄기 ② 감는줄기
③ 땅속줄기 ④ 기는줄기
⑤ 뚜렷하지 않다.
54. 다음 중 꽃의 형태가 민들레꽃과 같은 것은 ? (한산, 장충여)
① 복숭아꽃 ② 보리꽃
③ 장미꽃 ④ 벚꽃
⑤ 국화꽃
55. 풍매화의 특징을 설명한 글이 아닌 것은 ? (수서, 아현)
① 아름답지 않다. ② 꽃가루 수가 적다.
③ 꿀샘이 없다. ④ 꽃잎이 없다.
⑤ 향기가 나지 않는다.
56. 줄기의 종류와 대상 식물을 나열한 것이다. 서로 관계 있는 것끼리 연결하여라. (일신여, 장충여)
줄기의 종류 대상 식물
① 곧은 줄기(가) 양딸기, 고구마
② 기는 줄기(나) 담쟁이덩굴, 완두
③ 땅속 줄기(다) 보리, 복숭아나무
④ 감는 줄기(라) 잔디, 감자
⑤ 기어오르는 줄기(마) 나팔꽃, 등나무
57. 식물의 잎이 줄기에 붙어 있는 모양을 잎차례라고 하는데, 잎이 줄기에 어긋나게 붙어 있는 식물은 어느 것인가 ? (신암, 신정여)
① 민들레 ② 들깨
③ 감나무 ④ 은행나무
⑤ 소나무
58. 오른쪽 그림은 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가)는감꽃에 들어 있는 무엇이 변하여 된 것인가 ? (대원, 신서)
59. 보기과 같은 특징을 가진 식물의 기관은 ? (서일, 옥정)
광합성을 하여 유기 양분을 만든다.
기공을 통하여 공기의 출입과 증산을 조절한다.
60. 오른쪽 그림은 벚나무의 눈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눈이 생기는 시기는 ? (한영)
① 봄 - 여름 ② 여름 - 가을
③ 가을 - 겨울 ④ 겨울 - 봄
⑤ 시기가 일정하지 않다.
1. ④
줄기에 통기 조직이 있는 것은 수중 식물의 특징이다.
2. 물관
줄기에는 관다발이 있고 관다발은 물관과 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3. ③
겨울눈은 비늘잎, 털, 진액 등으로 싸여 춥고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4. ①
(가)-꽃눈, (나)-잎눈
5. ②6. ④
7. ②
A-짚신벌레, B-유글레나, C-볼복스, D-해캄, E-아메바, F-종벌레. 식물의 특징을 갖는 것은 B, C, D이다.
8. ④
줄기에 공기의 통로가 있어서 몸을 가볍게 해 주는 구조는 수중 식물의 특징이다.
9. 충매화
꽃은 수분 방법에 따라 풍매화와 충매화 등으로 구분된다.
10. 속씨식물
종자식물은 씨방의 유무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된다.
11. ②
그림은 복숭아나무의 잎눈이다.
12. 화분(꽃가루)
(나)는 꽃밥이다.
13. ④
(가) 암술머리, (다) 꽃받침, (라) 씨방, (마) 밑씨
14. ①
갖춘꽃에는 복숭아꽃, 개나리꽃, 진달래꽃, 민들레꽃 등이 있고, 안갖춘 꽃에는 보리꽃, 호박꽃, 소나무꽃 등이 있다.
15. ②16. ④17. ②18. ①19. 수분
20. ③
21. E
밑씨는 자라서 씨가 되고 씨방은 자라서 열매가 된다.
22. ①
복숭아꽃은 홑씨이다.
23. ②24. ②
25. ①
복숭아나무는 속씨식물이다.
26. C
관다발은 물과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27. ②28. ④29. ③30. ④
31. ①
동식물에서 모두 발견되는 것은 핵, 세포질, 세포막이고, 세포벽은 식물 세포에서만 발견된다.
32. ④
세포벽이 있으므로 식물 세포이다.
33. ①
식물은 세포벽이 있어서 식물체가 단단하다.
34. ④
식물 세포에는 동물 세포와는 달리 세포벽, 엽록체, 액포가 있으나 중심체는 없다.
35. ⑤
단세포 생물은 몸이 하나의 세포로 되어 있는 생물이며 다세포 생물은 몸이 여러 개의 세포로 되어 있다.
36. ⑤
세포를 염색하면 핵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37. 눈
작고 길쭉한 잎눈은 잎이나 줄기로, 크고 둥근 꽃눈은 꽃으로 자란다.
38. ③39. ②40. ③
41. (ㄱ) 수분 (ㄴ) 수정42. ②
43. ②
습지에 사는 식물은 관다발이 발달하지 않은 헛뿌리로 몸을 고정시킨다.
44. ④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은 뿌리가 잘 발달하지 못하였다.
45. ③
수중은 육지보다 부력이 커서 몸을 지탱하는 데 힘이 덜 든다.
46. ①
(A)는 공기의 통로로 줄기의 비중을 작게 해 준다.
47. 겨울눈48. A, B, E, F49. B50. ①51. ⑤
52. ③53. ⑤54. ⑤
55. ②
풍매화는 수분될 확률이 적다.
56. ① (다) ② (가) ③ (라) ④ (마) ⑤ (나)
잔디는 땅속으로 줄기를 뻗는다.
57. ③
잎차례에는 마주나기, 어긋나기, 돌려나기, 뭉쳐나기 등이 있다.
58. 밑씨
(가)는 감의 종자이다.
59. 잎
60. ②
46. 오른쪽 그림은 물수세미와 그 줄기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A)의 역할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 (대치, 양동)
① 공기의 통로이다.
② 물과 무기 양분의 통로이다.
③ 유기 영양분의 통로이다.
④ 유기 영양분의 저장소이다.
⑤ 햇빛을 모으는 역할을 한다.
47. 다음〔보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식물 눈의 이름을 쓰시오. (수서, 원묵)
지난해 여름에서 가을에 생긴다.
이듬해 봄에 싹이 튼다.
비늘잎, 진액, 털 등으로 싸여 있다.
※ [48~49] 다음 <그림>은 꽃의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물음에 답하여라.
48. 갖춘꽃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 4가지를 골라 그 기호 (A~F)를 쓰시오. (청담, 경성)
49. 수분이 이루어지는 곳은 어디인지 기호(A~F)를 쓰시오. (성내, 서라벌)
50. 다음 중 복숭아꽃의 특징을 옳게 나타낸 것은 ? (동덕여, 인수)
① 갖춘꽃, 양성화, 충매화, 갈래꽃
② 갖춘꽃, 양성화, 풍매화, 갈래꽃
③ 안갖춘꽃, 단성화, 충매화, 갈래꽃
④ 안갖춘꽃, 단성화, 충매화, 통꽃
⑤ 안갖춘꽃, 양성화, 풍매화, 통꽃
51. 다음 중 물관의 작용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 (신사, 신창)
① 세포가 분열하는 장소이다.
② 잎에서 만든 양분을 저장한다.
③ 잎에서 만든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④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의 이동통로이다.
⑤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52. 다음 중 민들레 잎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대청, 아현)
① 잎은 줄기에서 돌려나 있다.
②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③ 잎맥은 그물맥이다.
④ 잎은 어긋나 있다.
⑤ 잎은 가늘고 뾰족한 침엽이다.
53. 다음 중 민들레 줄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성내, 온곡)
① 곧은 줄기 ② 감는줄기
③ 땅속줄기 ④ 기는줄기
⑤ 뚜렷하지 않다.
54. 다음 중 꽃의 형태가 민들레꽃과 같은 것은 ? (한산, 장충여)
① 복숭아꽃 ② 보리꽃
③ 장미꽃 ④ 벚꽃
⑤ 국화꽃
55. 풍매화의 특징을 설명한 글이 아닌 것은 ? (수서, 아현)
① 아름답지 않다. ② 꽃가루 수가 적다.
③ 꿀샘이 없다. ④ 꽃잎이 없다.
⑤ 향기가 나지 않는다.
56. 줄기의 종류와 대상 식물을 나열한 것이다. 서로 관계 있는 것끼리 연결하여라. (일신여, 장충여)
줄기의 종류 대상 식물
① 곧은 줄기(가) 양딸기, 고구마
② 기는 줄기(나) 담쟁이덩굴, 완두
③ 땅속 줄기(다) 보리, 복숭아나무
④ 감는 줄기(라) 잔디, 감자
⑤ 기어오르는 줄기(마) 나팔꽃, 등나무
57. 식물의 잎이 줄기에 붙어 있는 모양을 잎차례라고 하는데, 잎이 줄기에 어긋나게 붙어 있는 식물은 어느 것인가 ? (신암, 신정여)
① 민들레 ② 들깨
③ 감나무 ④ 은행나무
⑤ 소나무
58. 오른쪽 그림은 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가)는감꽃에 들어 있는 무엇이 변하여 된 것인가 ? (대원, 신서)
59. 보기과 같은 특징을 가진 식물의 기관은 ? (서일, 옥정)
광합성을 하여 유기 양분을 만든다.
기공을 통하여 공기의 출입과 증산을 조절한다.
60. 오른쪽 그림은 벚나무의 눈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눈이 생기는 시기는 ? (한영)
① 봄 - 여름 ② 여름 - 가을
③ 가을 - 겨울 ④ 겨울 - 봄
⑤ 시기가 일정하지 않다.
1. ④
줄기에 통기 조직이 있는 것은 수중 식물의 특징이다.
2. 물관
줄기에는 관다발이 있고 관다발은 물관과 체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3. ③
겨울눈은 비늘잎, 털, 진액 등으로 싸여 춥고 건조한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4. ①
(가)-꽃눈, (나)-잎눈
5. ②6. ④
7. ②
A-짚신벌레, B-유글레나, C-볼복스, D-해캄, E-아메바, F-종벌레. 식물의 특징을 갖는 것은 B, C, D이다.
8. ④
줄기에 공기의 통로가 있어서 몸을 가볍게 해 주는 구조는 수중 식물의 특징이다.
9. 충매화
꽃은 수분 방법에 따라 풍매화와 충매화 등으로 구분된다.
10. 속씨식물
종자식물은 씨방의 유무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된다.
11. ②
그림은 복숭아나무의 잎눈이다.
12. 화분(꽃가루)
(나)는 꽃밥이다.
13. ④
(가) 암술머리, (다) 꽃받침, (라) 씨방, (마) 밑씨
14. ①
갖춘꽃에는 복숭아꽃, 개나리꽃, 진달래꽃, 민들레꽃 등이 있고, 안갖춘 꽃에는 보리꽃, 호박꽃, 소나무꽃 등이 있다.
15. ②16. ④17. ②18. ①19. 수분
20. ③
21. E
밑씨는 자라서 씨가 되고 씨방은 자라서 열매가 된다.
22. ①
복숭아꽃은 홑씨이다.
23. ②24. ②
25. ①
복숭아나무는 속씨식물이다.
26. C
관다발은 물과 양분의 이동 통로이다.
27. ②28. ④29. ③30. ④
31. ①
동식물에서 모두 발견되는 것은 핵, 세포질, 세포막이고, 세포벽은 식물 세포에서만 발견된다.
32. ④
세포벽이 있으므로 식물 세포이다.
33. ①
식물은 세포벽이 있어서 식물체가 단단하다.
34. ④
식물 세포에는 동물 세포와는 달리 세포벽, 엽록체, 액포가 있으나 중심체는 없다.
35. ⑤
단세포 생물은 몸이 하나의 세포로 되어 있는 생물이며 다세포 생물은 몸이 여러 개의 세포로 되어 있다.
36. ⑤
세포를 염색하면 핵이 뚜렷하게 관찰된다.
37. 눈
작고 길쭉한 잎눈은 잎이나 줄기로, 크고 둥근 꽃눈은 꽃으로 자란다.
38. ③39. ②40. ③
41. (ㄱ) 수분 (ㄴ) 수정42. ②
43. ②
습지에 사는 식물은 관다발이 발달하지 않은 헛뿌리로 몸을 고정시킨다.
44. ④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은 뿌리가 잘 발달하지 못하였다.
45. ③
수중은 육지보다 부력이 커서 몸을 지탱하는 데 힘이 덜 든다.
46. ①
(A)는 공기의 통로로 줄기의 비중을 작게 해 준다.
47. 겨울눈48. A, B, E, F49. B50. ①51. ⑤
52. ③53. ⑤54. ⑤
55. ②
풍매화는 수분될 확률이 적다.
56. ① (다) ② (가) ③ (라) ④ (마) ⑤ (나)
잔디는 땅속으로 줄기를 뻗는다.
57. ③
잎차례에는 마주나기, 어긋나기, 돌려나기, 뭉쳐나기 등이 있다.
58. 밑씨
(가)는 감의 종자이다.
59. 잎
60.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