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1.생물 메뚜기와 지렁이의 생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1~37번

정답

본문내용

눈이나 귀 등의 감각 기관이 없다.
③ 체절로 되어 있으며 몇 개의 체절이 합쳐진 환대가 있다.
④ 몸 표면이 미끈미끈한 점액 때문에 늘 축축하다.
⑤ 몸에는 뼈가 없지만 근육이 잘 발달되어 근육의 움직임으로 이동한다.
28. 지렁이가 농사에 도움이 된다고 하는 데 그 이유로 옳은 것은 ?
(아현, 배재)
① 땅에 굴을 뚫어 공기가 잘 통하므로 식물의 뿌리가 호흡하기에 좋다.
② 땅 속의 여러 해충을 잡아 먹는다.
③ 땅 속에 물을 공급하여 땅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는다.
④ 지렁이가 잡초의 뿌리를 잘라 먹는다.
⑤ 지렁이의 피부 호흡을 통해 식물에 산소를 공급한다.
29. 지렁이와 메뚜기의 공통점은 ? (정의여, 배명)
① 외골격이 있다. ② 체절이 있다.
③ 피부로 호흡한다. ④ 강모가 있다.
⑤ 다리가 3쌍이다.
30. 다음은 가재의 생김새를 적은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 (신천, 반포)
① 몸에 마디가 있다.
② 몸은 머리, 가슴, 배로 구분된다.
③ 배에는 5쌍의 헤엄다리가 있다.
④ 배의 끝은 넓적한 꼬리채로 되어 있다.
⑤ 몸은 외골격으로 덮여 있다.
31. 가재의 알이 부화되기 전에 보호되어 자라는 곳은 ? (신목, 선덕)
① 어미의 입 안 ② 바위나 물풀의 밑
③ 어미의 몸 속 ④ 어미의 배의 헤엄다리
⑤ 어미의 가슴 아래
32. 가재와 메뚜기를 비교한 것이다. 옳은 것은 ? (장훈, 역삼)
가재 메뚜기
① 촉각 1쌍 2쌍
② 호흡기 아가미 기관
③ 몸의 구조 머리, 가슴, 배 머리가슴, 배
④ 다리 마디가 있다 마디가 없다
⑤ 분류 곤충류 갑각류
33. 다음 중 환형동물과 관계 없는 것은 ? (이수, 명일여)
① 탈피를 하며 자란다.
② 무척추동물이며 많은 체절로 되어 있다.
③ 몸에는 뼈가 없다.
④ 촉각과 다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⑤ 피부 호흡을 하며 변온 동물이다.
34. 지렁이의 몸에 있는 강모의 역할은 ? (선화예술, 신동)
① 호흡 작용을 담당한다. ② 배설 작용을 담당한다.
③ 운동을 돕는다. ④ 소화 작용을 돕는다.
⑤ 생식에 관여한다.
35. 다음 중 지렁이와 같은 무리에 속하는 동물은 ? (장충, 문정)
① 지네 ② 달팽이
③ 메뚜기 ④ 오징어
⑤ 거머리
36. 지렁이는 무엇을 먹고 사는가 ? (대림, 봉은)
① 땅 속에는 식물의 뿌리를 갉아 먹고 산다.
② 땅 속의 작은 생물을 잡아 먹는다.
③ 흙 속에 있는 무기물을 먹는다.
④ 땅 속의 흙을 먹고 그 속의 양분을 흡수한다.
⑤ 땅 속의 물을 먹고 그 속의 양분을 흡수한다.
37.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지렁이가 땅 속의 흙을 땅 위로 올려 보내는 작용은 농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경희여, 가원)
① 흙 사이에 공간이 생겨 식물 뿌리의 호흡을 돕는다.
② 지렁이가 식물의 뿌리를 갉아 농사에 오히려 해롭다.
③ 배설물의 유해 성분으로 식물의 성장을 저해한다.
④ 농사일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⑤ 땅 속에 구멍이 많이 나서 벌레들이 많이 생긴다.
핵심기출문제 ………
1. ②
환대가 있는 쪽이 입이고 반대가 항문이며, 흙을 먹어 그 속의 미생물을 소화시키고 나머지는 배설한다.
2. ④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하고 빛을 싫어 하므로 습기가 많고 햇빛이 비치지 않는
곳에 산다.
3. ②
환상근과 종주근이 있어 몸을 줄였다 늘였다 할 수 있다.
4. ①
5. ①
6. 가, 라, 마
7. ②
8. ①
9. ②
10. ③
빨리 헤엄칠 때는 꼬리채를 이용한다.
11. ②
보기의 동물들의 공통점은 몸에 척추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12. (가) 촉각, (나) 겹눈
13. ②
메뚜기는 풀을 갉아먹고 사므로 큰턱과 작은 턱이 잘 발달해서 풀을 씹기에 적당하다.
14. ④
A : 매미 - 나무의 수액
B : 나비 - 꿀
C : 꿀벌 - 꿀
D : 메뚜기 - 풀, 잎
E : 파리 - 액체 물질
15. ③
배에는 공기의 통로로서 여러 쌍의 기문이 있다.
16. ①
메뚜기의 몸은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으로 나뉜다.
17. ①
환형동물 중 갯지렁이는 암수가 구분되는 자웅 이체이다.
18. ②
피부로 호흡하므로 피부가 늘 축축하고 점액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건조한 환경에서는 피부가 말라 호흡을 할 수 없다.
19. ①
지렁이는 몸이 매끄러워 땅 속을 잘 기어 다닐 수 있다. 또한 온 몸으로 빛을 감각하여 빛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20. ①
파리 - 핥는 입벌 - 빠는 입 나비 - 빠는 입
메뚜기 - 씹는 입 매미 - 찌르는 입
21. ⑤
거미는 4 쌍의 다리를 가진다.
22. (다), (마), (아), (차)
메뚜기, 잠자리, 매미, 귀뚜라미 등은 번데기 시절을 거치지 않는다.
23. ③
입의 모양은 식성과 관련이 깊다.
24. ⑤
환형동물은 피부로 호흡을 한다.
25. (가), (라)
그리마, 지네, 쥐며느리, 노래기는 절지동물이다.
26. ①
지렁이는 난소와 정소를 함께 가지는 자웅 동체이나 유성 생식을 하며 땅 속에 알을 낳는다.
27. ①
지렁이는 환대에서 가까운 쪽에 입이 있고 반대쪽에 항문이 있다.
28. ①
지렁이가 땅 속을 뚫고 다니는 것은 밭에 김을 매주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29. ②
환형동물과 절지동물의 공통점은 무척추동물, 체절, 난생, 변온 동물 등이다.
30. ②
가재의 몸은 머리가슴과 배로 구분되며 외골격으로 덮여 있다.
31. ④
가재의 배 부분에는 헤엄다리가 있어 몸을 이동하거나 알을 품는 역할을 한다.
32. ②
가재는 갑각류, 메뚜기는 곤충류이다. 곤충류는 1쌍, 갑각류는 2쌍의 촉각을 갖는다.
33. ①
몸이 원통형이고 많은 체절을 가지고 있는 동물 무리를 환형동물이라고 한다.
34. ③
지렁이의 몸 표면에 나 있는 강모들은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준다.
35. ⑤
36. ④
지렁이는 흙을 먹고 그 속에 들어 있는 유기물을 섭취한다.
37. ①
지렁이는 흙을 먹고 살며 배설물은 땅 위로 내보내 흙의 순환을 돕고, 흙 속을 다니면서 많은 공기 구멍을 만들어 식물의 뿌리가 호흡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2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