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2.물상 물질의구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g과 산소 3g이 반응할 때, 다음 중 옳은 것은 ? (양동, 고명)
① 구리 8g이 남는다.
② 산소 2g이 남는다.
③ 산화구리(Ⅱ) 10g이 만들어진다.
④ 산화구리(Ⅱ) 23g이 만들어진다.
⑤ 실제로 반응하는 구리와 산소의 질량은 각각 8g, 2g이다.
[42~43] 다음은 산화구리(Ⅱ)와 탄소를 혼합하여 가열할 때의 반응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산화구리(Ⅱ)+탄소 (가열)> 구리+이산화탄소
42. 이 반응에서 10g의 산화구리(Ⅱ)를 탄소와 반응시키면 8g의 구리가 생 성된다. 이 때, 화합물인 산화구리(Ⅱ)를 구성하는 구리와 산소의 질량 비는 ? (하안, 당산)
① 2 : 1② 3 : 1
③ 4 : 1④ 5 : 2
⑤ 5 : 4
43. 산화구리(Ⅱ) 180g과 탄소 12g이 모두 반응하였을 때 생성되는 구리와 이산화탄소의 질량의 합을 구하시오. (목일, 이수)
44. 공기 중에서 40g의 구리를 가열하면 산화구리(Ⅱ) 50g이 생성된다. 이 때, 산화구리(Ⅱ)를 구성하는 산소와 구리의 질량 관계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 (대원, 일신여)
45. 오른쪽 그림은 산화은을 가열하여 분해하는 실험이다. 시험관에서 발생하는 기체는 ? (정의여, 명성여)
① 산소② 수소
③ 수증기④ 산화질소
⑤ 이산화탄소
46. 오른쪽 그림은 탄산수소나트륨의 분해 실험 장치이고 아래 그림은 불꽃 반응 실험 장치이다. 탄산수소나트륨을 시험 관에 넣고 가열하기 전과 후에 불꽃 반응을 시켰더니 모두 노란색이 나왔다. (중동, 서초)
이와 같은 사실을 돌턴의 원자설로 설명하고자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내용은 ?
① 물질은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로 되어 있다.
② 한 원소의 원자는 질량과 다른 성질이 모두 같다.
③ 원소가 다르면 원자도 다르며, 특히 원자의 질량이 다르다.
④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원자는 새로 생기거나 다른 원자로 바뀌거나 없어 지지 않는다.
⑤ 화학 변화가 일어날 때, 원자의 배열이 바뀐다.
핵심기출문제 ………
1. ⑤
실험 (가)의 결과로 양초에 수소 성분이 포함된 것을 알 수 있고, 실험 (나)의 결과로 탄소 성분이 포함된 것을 알 수 있으나 산소가 양초의 성분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2. 12 mL
수소와 산소는 2 : 1의 부피비로 반응하는 데 실험 C에서 반응한 산소의 부피가 6mL일 때 남은 기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사용한 수소의 부피는 12mL이다.
3. ④
철과 황을 가열할 때 생기는 화합물은 황하철이다.
4. A-가
기체 발생 장치에서 깔대기의 유리관은 용액에 잠기고 기체가 빠져 나가는 유리관은 용액에 잠기지 않아야 된다. 산소는 물에 잘 녹지 않으므로 수상 치환의 방법(가)으로 포집한다.
5. ⑤ 6. 탄소와 수소 7. ④ 8. D 9. 산소
10. 일정 성분비의 법칙11. ②12. ①
13. ③
푸른색 염화코발트 종이에 물이 묻으면 붉게 변한다.
14. ⑤
화학 변화 전후에 촉매의 질량은 변화 없다.
15. 탄산나트륨
16. 6 g
17. ①
처음 혼합된 기체에서 반응하지 않고 남은 기체를 빼 보면 수소와 산소는 항상 2 : 1의 부피비가 된다.
18. ③
<보기>의 첫 실험으로 발생한 기체는 산소이고, 두번째 실험으로 남은 액체는 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 ①
실험 결과 산화구리(Ⅱ)의 구리 : 산소의 질량비는 4 : 1인 것을 알 수 있고구리 원자와 산소 원자의 질량비가 4 : 1이므로 결합한 구리 원자와 산소 원자수의 비는 1 : 1이다.
20. ⑤
화합물에 어떤 금속 원소가 포함될 때 그 물질의 선 스펙트럼에는 포함된 금속 원소의 선 스펙트럼의 선이 모두 나타난다.
21. ④
반응한 마그네슘 : 산소의 질량비는 0.4 : (0.67-0.4) ≒ 0.6 : (1.0-0.6) ≒ 3 : 2로 일정하다. 따라서
24 : = 3 : 2 에서 = 16(g)이다.
22. 6 g
산화철 : 철의 질량이 7 : 5 이므로 철 : 산소의 질량비는 5 : 2이다. 따라서 15g : = 5 : 2에서 = 6g이다.
23. ②
전기 분해된 물과 발생한 수소 기체의 질량비는 28.8 : 3.2 = 45.9 : 5.1 = 9 : 1로 일정하다.
따라서 : 10g = 9 : 1에서 = 90g이다.
24. ⑤
강철솜의 연소 : (산화철)
산화철은 염산과 반응하지 않는다.
25. 5 g
에서,
4 : 1 : 5 질량비
따라서 산화구리 : 산소 = 5 : 1 = 25 : 이므로, = 5g이다.
26. 20 g
마그네슘 + 산소 → 산화마그네슘
3 : 2 : 5 질량비
따라서, 마그네슘 : 산소 = 3 : 2 = 30 : 이므로 = 20g이다.
27. ④
28. ④
황화철+염산 → 염화철+황화수소
29. 물
30. 산소, 20 mL
반응하는 수소와 산소의 부피비는 2 : 1이다.
31. 일정 성분비의 법칙
32. ②
33. ③
34. ②, ④
① 시료는 온도가 높은 겉불꽃에 넣는다.
③ 원소를 구별하는 데 스펙트럼 분석이 불꽃 반응보다 더 정확한 방 법이다.
⑤ 화합물 구성 원소 중에서 불꽃 반응이나 스펙트럼 분석으로는 금속 원소만 구별할 수 있다.
35. ④
A시험관 :
B시험관 :
D시험관 : 황화철은 철과 황의 성질을 지니고 있지 않은 새로운 화 합물이며 연소되지 않는다.
36. ③
화합물은 화학적 방법에 의해 분해될 수 있다. 물은 전기 분해에 의해 수소와 산소로 분해되므로 원소가 아니고 화합물임을 알 수 있다.
37. 산소, 280 g
1 : 8 : 9 질량비
수소 40g과 산소 40g이 반응하면 수소가 35g이 남는다. 이 수소를 완전히 반응시키려면 산소가 35×8 = 280g이 필요하다.
38. ③
화학 변화가 일어나도 구성 원소의 원자는 없어지거나 새로 생기지 않고 배열만 바뀌므로 스펙트럼은 같게 나온다.
39. 11 g
40. 40 g
41. ①
반응하는 구리와 산소의 질량비는 4 : 1이다.
42. ③
구리가 8g이므로 산소는 2g이다.
43. 192 g
질량 보존의 법칙이 성립한다.
44. ②
산화은을 가열하면 은과 산소로 분해된다.
45. ①
46. ④
열분해
>
불꽃 반응의 노란색은 나트륨(Na) 때문이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199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1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