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풀이
2. 해답과풀이
본문내용
-뿌리의 가장 바깥층으로 식물체를 보호한다.
⑤ (마)-뿌리털로 여러 개의 세포로 되어 있으며,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27. 물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용액의 농도는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
① (가) = (다) < (라) = (마) (오산, 아주)
② (가) > (다) = (라) > (마)
③ (가) > (다) > (라) > (마)
④ (가) < (다) < (라) < (마)
⑤ 농도와 상관이 없다.
28.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 뿌리의 구조적 차이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외떡잎식물은 생장점이 없다. (상명사대부속, 신구)
② 쌍떡잎식물은 형성층이 없다.
③ 쌍떡잎식물의 뿌리털이 더 많다.
④ 외떡잎식물은 형성층을 가지고 있다.
⑤ 쌍떡잎식물은 원뿌리와 곁뿌리가 구분된다.
29. 다음 중 식물체 내의 물질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잎에서 만들어진 물질은 체관을 통해 이동한다. (서울사대부속여, 신천)
② 뿌리에서 흡수된 물은 물관을 통해 이동한다.
③ 무기 양분은 체관을 통해 이동한다.
④ 물에 잘 녹을 수 있는 형태로 바뀌어 이동한다.
⑤ 물은 기공을 통해 수증기 상태로 방출된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이 줄기의 어느 부분을 통하여 이동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붉은 잉크를 탄 물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봉선화 줄기를 꽂아 4~5시간 동안 놓아둔 후, 붉게 물든 줄기를 면도칼로 얇게 잘라 프레파라트를 만들어 횡단면과 종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30. 다음 실험 관찰 결과에 가장 가까운 가설을 세울 때 ( ) 안에 알맞은 것은 ? (정의여, 풍납여)
가설 : 물과 무기 양분은 줄기의 ( )을 통하여 이동할 것이다.
① 물관② 체관
③ 형성층④ 물관, 체관
⑤ 물관, 체관, 형성층
31. <보기>는 식물체의 어느 부분에 대한 설명인가 ? (금란여, 구룡)
살아 있는 세포들이 모여서 형성된다.
위아래 세포 사이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광합성으로 만든 유기 양분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① 표피② 피층
③ 체관④ 형성층
⑤ 물관
32. 오른쪽 그림의 (가)는 뿌리의 단면이고, (나)는 줄기의 단면이다.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잎으로 전달되기 위해 이동되는 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 (공릉, 반포)
① A→B→C→D② A→B→D→E③ A→B→D→F
④ A→B→C→F⑤ A→B→E→F
33. 오른쪽 그림은 뿌리의 흡수 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U자관에서 (가)의 높이 변화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 (영등포, 언주)
34. 쌍떡잎식물의 뿌리가 굵어지는 것은 어떤 구조 때문인가 ? (언주, 세화여)
35. 뿌리의 구조 중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것은 무엇인가 ? (강동)
생장점을 싸서 보호한다.
뿌리의 끝부분에 있다.
죽은 세포로 되어 있으며 단단하다.
36. 아래 그림은 쌍떡잎식물 뿌리의 종단면과 횡단면이다. 각 그림에서 세포 분열이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곳은 ? (진선여, 중계)
① (가)-D② (나)-C
③ (다)-C④ (다)-A
⑤ (라)-B
37. 생물체를 구성하는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는 무엇인가 ? (명지여, 고덕)
핵심기출문제 ………
1. ④
(가)는 표피 세포가 변한 뿌리털이다.
2. ⑤
3. ②
(가)는 체관, (나)는 물관이다.
4. A→B 삼투현상
물분자의 이동은 용액의 농도와 관계가 있다.
5. ⑤
셀로판 막은 생물체의 세포막과 같이 반투과성 막이다.
6. A : 뿌리털, B : 물관
7. ②
삼투 현상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8. D-물관
A-표피B-체관C-형성층D-물관
9. ①
(가)-물관(나)-형성층(다)-체관(라)-물관
(마)-체관
10. ②, ③
그림의 표면에 나 있는 것이 뿌리털이다.
11. (나)
(가) 생장점, (나) 뿌리골무, (다) 뿌리털, (라) 표피, (마) 물관, (바) 체관이다. 생장점을 싸서 보호하는 것은 뿌리골무이다.
12. ①, ③, ④
생장점 세포는 세포 분열을 하므로 세포 크기가 비교적 작고 크기가 불규칙적이며 세포벽이 얇다.
13. ②
뿌리털은 한 개의 세포로 되어 있고,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14. 물관
뿌리털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은 물관을 통해 이동한다.
15. (라), 체관
(가) 피층, (나) 형성층, (다) 물관, (라) 체관, (마) 뿌리털, (바) 표피이다. 잎에서 만들어진 유기 양분이 이동하는 통로는 체관이다.
16. 부피 생장
(나)는 형성층으로 세포 분열을 하여 부피 생장을 하게 한다.
17. ④, ⑤
곧은 뿌리를 가지는 것은 쌍떡잎식물이다.
18. ④
뿌리는 양분 저장, 식물체의 지탱, 물과 무기 양분의 흡수, 호흡 등의 작용을 한다.
19. ①
(가) 뿌리털, (나) 표피 세포, (다) 생장점, (라) 뿌리골무
20. ⑤
(가)는 물관을 나타낸 것이다.
21. ①
물과 무기 양분은 농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22. ①
(가) 뿌리털, (나) 생장점, (다) 뿌리골무, (A) 물관, (B) 형성층, (C) 체관
23. ③
줄기에는 물관과 체관이 있다.
24. ①
A-뿌리털B-생장점C-뿌리골무D-물관
E-형성층F-체관
25. ④
26. ⑤
(가) 물관, (나) 체관, (다) 피층, (라) 표피, (마) 뿌리털이다. 뿌리털은 한 개의 세포로 되어 있고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27. ③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흡수되므로, 물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한다.
28. ⑤
쌍떡잎식물의 뿌리에는 물관, 체관, 형성층이 있고, 외떡잎식물의 뿌리에는 형성층이 없다.
29. ③30. ①31. ③
32. ④
A-뿌리털B-피층C-물관D-체관
E-형성층F-물관
33. ①
반투과성 막은 작은 물 분자는 통과시키나 큰 설탕 분자는 통과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물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려는 힘과 수면의 차이만큼의 물기둥이 누르는 힘이 같아질 때까지만 이동한다.
34. 형성층
쌍떡잎식물 뿌리의 형성층은 세포 분열을 통해 뿌리를 굵어지게 한다.
35. 뿌리골무
36. ③
(가)-표피, (나)-뿌리털, (다)-생장점, (라)-뿌리골무, A-표피, B-체관, C-형성층, D-물관
37. 세포
⑤ (마)-뿌리털로 여러 개의 세포로 되어 있으며,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27. 물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려면 용액의 농도는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
① (가) = (다) < (라) = (마) (오산, 아주)
② (가) > (다) = (라) > (마)
③ (가) > (다) > (라) > (마)
④ (가) < (다) < (라) < (마)
⑤ 농도와 상관이 없다.
28.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 뿌리의 구조적 차이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
① 외떡잎식물은 생장점이 없다. (상명사대부속, 신구)
② 쌍떡잎식물은 형성층이 없다.
③ 쌍떡잎식물의 뿌리털이 더 많다.
④ 외떡잎식물은 형성층을 가지고 있다.
⑤ 쌍떡잎식물은 원뿌리와 곁뿌리가 구분된다.
29. 다음 중 식물체 내의 물질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잎에서 만들어진 물질은 체관을 통해 이동한다. (서울사대부속여, 신천)
② 뿌리에서 흡수된 물은 물관을 통해 이동한다.
③ 무기 양분은 체관을 통해 이동한다.
④ 물에 잘 녹을 수 있는 형태로 바뀌어 이동한다.
⑤ 물은 기공을 통해 수증기 상태로 방출된다.
뿌리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이 줄기의 어느 부분을 통하여 이동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림과 같이 붉은 잉크를 탄 물을 삼각 플라스크에 넣고 봉선화 줄기를 꽂아 4~5시간 동안 놓아둔 후, 붉게 물든 줄기를 면도칼로 얇게 잘라 프레파라트를 만들어 횡단면과 종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30. 다음 실험 관찰 결과에 가장 가까운 가설을 세울 때 ( ) 안에 알맞은 것은 ? (정의여, 풍납여)
가설 : 물과 무기 양분은 줄기의 ( )을 통하여 이동할 것이다.
① 물관② 체관
③ 형성층④ 물관, 체관
⑤ 물관, 체관, 형성층
31. <보기>는 식물체의 어느 부분에 대한 설명인가 ? (금란여, 구룡)
살아 있는 세포들이 모여서 형성된다.
위아래 세포 사이에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광합성으로 만든 유기 양분이 이동하는 통로이다.
① 표피② 피층
③ 체관④ 형성층
⑤ 물관
32. 오른쪽 그림의 (가)는 뿌리의 단면이고, (나)는 줄기의 단면이다.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잎으로 전달되기 위해 이동되는 순서를 옳게 나타낸 것은 ? (공릉, 반포)
① A→B→C→D② A→B→D→E③ A→B→D→F
④ A→B→C→F⑤ A→B→E→F
33. 오른쪽 그림은 뿌리의 흡수 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U자관에서 (가)의 높이 변화를 바르게 나타낸 그래프는 ? (영등포, 언주)
34. 쌍떡잎식물의 뿌리가 굵어지는 것은 어떤 구조 때문인가 ? (언주, 세화여)
35. 뿌리의 구조 중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것은 무엇인가 ? (강동)
생장점을 싸서 보호한다.
뿌리의 끝부분에 있다.
죽은 세포로 되어 있으며 단단하다.
36. 아래 그림은 쌍떡잎식물 뿌리의 종단면과 횡단면이다. 각 그림에서 세포 분열이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곳은 ? (진선여, 중계)
① (가)-D② (나)-C
③ (다)-C④ (다)-A
⑤ (라)-B
37. 생물체를 구성하는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는 무엇인가 ? (명지여, 고덕)
핵심기출문제 ………
1. ④
(가)는 표피 세포가 변한 뿌리털이다.
2. ⑤
3. ②
(가)는 체관, (나)는 물관이다.
4. A→B 삼투현상
물분자의 이동은 용액의 농도와 관계가 있다.
5. ⑤
셀로판 막은 생물체의 세포막과 같이 반투과성 막이다.
6. A : 뿌리털, B : 물관
7. ②
삼투 현상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이다.
8. D-물관
A-표피B-체관C-형성층D-물관
9. ①
(가)-물관(나)-형성층(다)-체관(라)-물관
(마)-체관
10. ②, ③
그림의 표면에 나 있는 것이 뿌리털이다.
11. (나)
(가) 생장점, (나) 뿌리골무, (다) 뿌리털, (라) 표피, (마) 물관, (바) 체관이다. 생장점을 싸서 보호하는 것은 뿌리골무이다.
12. ①, ③, ④
생장점 세포는 세포 분열을 하므로 세포 크기가 비교적 작고 크기가 불규칙적이며 세포벽이 얇다.
13. ②
뿌리털은 한 개의 세포로 되어 있고,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14. 물관
뿌리털에서 흡수한 물과 무기 양분은 물관을 통해 이동한다.
15. (라), 체관
(가) 피층, (나) 형성층, (다) 물관, (라) 체관, (마) 뿌리털, (바) 표피이다. 잎에서 만들어진 유기 양분이 이동하는 통로는 체관이다.
16. 부피 생장
(나)는 형성층으로 세포 분열을 하여 부피 생장을 하게 한다.
17. ④, ⑤
곧은 뿌리를 가지는 것은 쌍떡잎식물이다.
18. ④
뿌리는 양분 저장, 식물체의 지탱, 물과 무기 양분의 흡수, 호흡 등의 작용을 한다.
19. ①
(가) 뿌리털, (나) 표피 세포, (다) 생장점, (라) 뿌리골무
20. ⑤
(가)는 물관을 나타낸 것이다.
21. ①
물과 무기 양분은 농도가 높은 곳으로 이동한다.
22. ①
(가) 뿌리털, (나) 생장점, (다) 뿌리골무, (A) 물관, (B) 형성층, (C) 체관
23. ③
줄기에는 물관과 체관이 있다.
24. ①
A-뿌리털B-생장점C-뿌리골무D-물관
E-형성층F-체관
25. ④
26. ⑤
(가) 물관, (나) 체관, (다) 피층, (라) 표피, (마) 뿌리털이다. 뿌리털은 한 개의 세포로 되어 있고 물과 무기 양분을 흡수한다.
27. ③
삼투 현상에 의해 물이 흡수되므로, 물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이동한다.
28. ⑤
쌍떡잎식물의 뿌리에는 물관, 체관, 형성층이 있고, 외떡잎식물의 뿌리에는 형성층이 없다.
29. ③30. ①31. ③
32. ④
A-뿌리털B-피층C-물관D-체관
E-형성층F-물관
33. ①
반투과성 막은 작은 물 분자는 통과시키나 큰 설탕 분자는 통과시키지 못한다. 그러나 물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려는 힘과 수면의 차이만큼의 물기둥이 누르는 힘이 같아질 때까지만 이동한다.
34. 형성층
쌍떡잎식물 뿌리의 형성층은 세포 분열을 통해 뿌리를 굵어지게 한다.
35. 뿌리골무
36. ③
(가)-표피, (나)-뿌리털, (다)-생장점, (라)-뿌리골무, A-표피, B-체관, C-형성층, D-물관
37. 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