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40~81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른쪽 그림에서 어느 부분을 관찰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 (신서, 신동)
① A② B
③ C④ D
⑤ E
68. 식물체에서 뿌리의 생장점, 줄기의 생장점, 줄기의 형성층을 재료로 염색체를 조사하였을 때 알 수 있는 것은 ? (천일, 배명)
① 각 부분은 염색체의 모양은 다르고, 수는 같다.
② 각 부분은 염색체의 모양은 같고, 수가 다르다.
③ 형성층의 염색체 수는 생장점의 염색체 수보다 많다.
④ 생장점끼리는 염색체 모양이 같고 형성층은 생장점과 염색체 모양이 다르다.
⑤ 생장점과 형성층의 염색체는 모두 모양과 수가 같다.
69. 체세포 분열 기간 중 염색체의 행동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서울여, 문정)
① 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된다.
② 전기 : 염색체가 복제된다.
③ 중기 : 염색체가 중앙에 배열한다.
④ 후기 : 염색체가 염색사로 된다.
⑤ 말기 : 염색체가 나누어진다.
70. 다음은 여러 가지 완두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완두의 이러한 특징과 가장 관계 있는 것은 ? (신목, 구정)
종자의 색깔은 황색인 것과 녹색인 것이 있다.
종자의 모양은 둥근 것과 주름진 것이 있다.
① 염색체의 수 ② 염색체의 크기
③ 염색체의 모양 ④ 유전자의 종류
⑤ 세포의 수
※[71~72] 오른쪽 그림은 어떤 생물의 체세포 분열 과정 중의 한 시기를 나타낸 것이다.
71. 이 시기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 (당산, 구룡)
① 세포 중앙에 세포판이 형성된다.
② 염색체가 양 극으로 나누어진다.
③ 염색체를 관찰하기에 가장 좋다.
④ 세포 분열 과정 중 시간이 가장 짧다.
⑤ 염색체가 세포 중앙에 배열한다.
72. 이 생물의 몸을 이루고 있는 체세포 한 개 속에 들어 있는 염색체 수는 몇 개인가 ? (영도, 고덕)
73. 염색체 속에 들어 있는 DNA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 (한천, 경원)
① 세포 분열을 촉진한다.
② 세포의 생장을 조절한다.
③ 생물체의 크기를 결정한다.
④ 생물의 형질을 결정한다.
⑤ 생물의 암수를 결정한다.
7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염색체를 가진 세포가 체세포 분열을 하였을 때 새로 생긴 딸세포 속에 들어 있는 염색체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경희, 고명)
75. 다음 중 남자의 염색체 구성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 (성사, 남서울)
① 46 + XX② 46 + XY
③ 44 + XX ④ 44 + XY
⑤ 22 + XY
76. 다음 중 사람의 성염색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개포, 성덕여)
① 몸의 크기를 결정한다. ② 모양과 크기가 같다.
③ 2 쌍으로 되어 있다. ④ 남녀 모두 가진다.
⑤ 44 개로 되어 있다.
77. 사람의 염색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한강, 개원)
① 모두 46 쌍이다.
② 성염색체는 2 개다.
③ 남자의 성염색체는 XY이다.
④ 여자의 상염색체는 22 쌍이다.
⑤ 상염색체는 상동 염색체로 되어 있다.
78. 체세포의 염색체 수를 으로 표시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
(대림, 둔촌)
① 체세포의 염색체는 상염색체와 성염색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② 체세포의 염색체 중 2개는 성염색체이기 때문이다.
③ 체세포의 염색체는 같은 것이 두 개씩 있기 때문이다.
④ 체세포의 염색체는 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의 2배이기 때문이다.
⑤ 각 염색체는 2개의 염색 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79. 사람의 근육 세포와 간세포의 기능이 다른 이유는 ? (강남여, 동신)
① 염색체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② 염색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③ 염색체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활동하는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⑤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80. 세포 분열의 중기에 나타나는 염색체가 두 가닥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
① 간기에 염색체가 두 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성산, 과천문원)
② 전기에 염색체가 두 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③ 중기에 염색체가 두 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④ 전기에 상동 염색체끼리 결합하였기 때문이다.
⑤ 중기에 상동 염색체끼리 결합하였기 때문이다.
81. 사람은 각자 피부색이나 얼굴 모양 등의 형질이 다르다. 그 이유는 ?
① 염색체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대림여, 동북)
② 염색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③ 염색체 속의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염색체 속의 단백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⑤ 염색체의 수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40. ⑤
41. ③
42. ②
43. ④
44. ③
45. ③
46. ④
대부분의 동물은 S자의 생장 곡선이 나타나지만 탈피하거나 변태하는 동물은 계단식 생장 곡선이 나타난다.
47. ④
48. ①
49. ②
감수 분열 과정에서 제 1 분열 전기에 상동 염색체가 붙어서 2가 염색체를 이룬다.
50. ②
51. ②
체세포 분열은 생물체의 생장을 위해 일어난다.
52. ③
체세포 분열에 의해 세포의 수가 아무리 증가해도 각 세포의 염색체 수는 모두 같다.
53. ③
세포질 분열에서 식물 세포는 세포판이 형성(안→밖)되고, 동물 세포는 원형질이 만입(밖→안)된다.
54. ①
양파의 뿌리 끝 부분은 체세포 분열 관찰에 좋다.
(ㄱ) 체세포 분열 과정
(ㄴ) 생식 세포 분열 과정
55. ⑤
묽은 염산은 뿌리를 연하게하여 세포들이 분리되기 쉽게 하고 아세트산카민 용액은 염색체를 염색하는 데 쓰인다.
56. ⑤
57. ②
58. ①
59. ⑤
60. ②
61. ④
62. DNA
63. ②
64. 상동 염색체
65. 성 염색체
66. 유전자
생물의 유전에 관계하는 물질이다.
67. ⑤
염색체는 세포 분열할 때에만 관찰할 수 있다.
68. ⑤
같은 종류의 생물은 몸의 모든 세포의 염색체의 수와 모양이 같다.
69. ③
염색체의 복제는 간기에 이루어지고, 전기에는 염색사가 염색체로 된다.
70. ④
같은 종류의 생물은 염색체의 수와 모양이 같으며, 염색체 속에는 형질을 나타나게 하는 물질이 들어 있다.
71. ②
72. 4 개
73. ④
74. ①
75. ④
76. ④
77. ①
78. ③
79. ④
80. ①
81. ③
① A② B
③ C④ D
⑤ E
68. 식물체에서 뿌리의 생장점, 줄기의 생장점, 줄기의 형성층을 재료로 염색체를 조사하였을 때 알 수 있는 것은 ? (천일, 배명)
① 각 부분은 염색체의 모양은 다르고, 수는 같다.
② 각 부분은 염색체의 모양은 같고, 수가 다르다.
③ 형성층의 염색체 수는 생장점의 염색체 수보다 많다.
④ 생장점끼리는 염색체 모양이 같고 형성층은 생장점과 염색체 모양이 다르다.
⑤ 생장점과 형성층의 염색체는 모두 모양과 수가 같다.
69. 체세포 분열 기간 중 염색체의 행동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서울여, 문정)
① 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된다.
② 전기 : 염색체가 복제된다.
③ 중기 : 염색체가 중앙에 배열한다.
④ 후기 : 염색체가 염색사로 된다.
⑤ 말기 : 염색체가 나누어진다.
70. 다음은 여러 가지 완두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완두의 이러한 특징과 가장 관계 있는 것은 ? (신목, 구정)
종자의 색깔은 황색인 것과 녹색인 것이 있다.
종자의 모양은 둥근 것과 주름진 것이 있다.
① 염색체의 수 ② 염색체의 크기
③ 염색체의 모양 ④ 유전자의 종류
⑤ 세포의 수
※[71~72] 오른쪽 그림은 어떤 생물의 체세포 분열 과정 중의 한 시기를 나타낸 것이다.
71. 이 시기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 (당산, 구룡)
① 세포 중앙에 세포판이 형성된다.
② 염색체가 양 극으로 나누어진다.
③ 염색체를 관찰하기에 가장 좋다.
④ 세포 분열 과정 중 시간이 가장 짧다.
⑤ 염색체가 세포 중앙에 배열한다.
72. 이 생물의 몸을 이루고 있는 체세포 한 개 속에 들어 있는 염색체 수는 몇 개인가 ? (영도, 고덕)
73. 염색체 속에 들어 있는 DNA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 (한천, 경원)
① 세포 분열을 촉진한다.
② 세포의 생장을 조절한다.
③ 생물체의 크기를 결정한다.
④ 생물의 형질을 결정한다.
⑤ 생물의 암수를 결정한다.
7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염색체를 가진 세포가 체세포 분열을 하였을 때 새로 생긴 딸세포 속에 들어 있는 염색체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 (경희, 고명)
75. 다음 중 남자의 염색체 구성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 (성사, 남서울)
① 46 + XX② 46 + XY
③ 44 + XX ④ 44 + XY
⑤ 22 + XY
76. 다음 중 사람의 성염색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개포, 성덕여)
① 몸의 크기를 결정한다. ② 모양과 크기가 같다.
③ 2 쌍으로 되어 있다. ④ 남녀 모두 가진다.
⑤ 44 개로 되어 있다.
77. 사람의 염색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한강, 개원)
① 모두 46 쌍이다.
② 성염색체는 2 개다.
③ 남자의 성염색체는 XY이다.
④ 여자의 상염색체는 22 쌍이다.
⑤ 상염색체는 상동 염색체로 되어 있다.
78. 체세포의 염색체 수를 으로 표시하는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
(대림, 둔촌)
① 체세포의 염색체는 상염색체와 성염색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② 체세포의 염색체 중 2개는 성염색체이기 때문이다.
③ 체세포의 염색체는 같은 것이 두 개씩 있기 때문이다.
④ 체세포의 염색체는 생식 세포의 염색체 수의 2배이기 때문이다.
⑤ 각 염색체는 2개의 염색 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79. 사람의 근육 세포와 간세포의 기능이 다른 이유는 ? (강남여, 동신)
① 염색체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② 염색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③ 염색체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활동하는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⑤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80. 세포 분열의 중기에 나타나는 염색체가 두 가닥으로 되어 있는 이유는 ?
① 간기에 염색체가 두 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성산, 과천문원)
② 전기에 염색체가 두 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③ 중기에 염색체가 두 배로 늘어났기 때문이다.
④ 전기에 상동 염색체끼리 결합하였기 때문이다.
⑤ 중기에 상동 염색체끼리 결합하였기 때문이다.
81. 사람은 각자 피부색이나 얼굴 모양 등의 형질이 다르다. 그 이유는 ?
① 염색체의 수가 다르기 때문이다. (대림여, 동북)
② 염색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③ 염색체 속의 유전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④ 염색체 속의 단백질이 다르기 때문이다.
⑤ 염색체의 수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40. ⑤
41. ③
42. ②
43. ④
44. ③
45. ③
46. ④
대부분의 동물은 S자의 생장 곡선이 나타나지만 탈피하거나 변태하는 동물은 계단식 생장 곡선이 나타난다.
47. ④
48. ①
49. ②
감수 분열 과정에서 제 1 분열 전기에 상동 염색체가 붙어서 2가 염색체를 이룬다.
50. ②
51. ②
체세포 분열은 생물체의 생장을 위해 일어난다.
52. ③
체세포 분열에 의해 세포의 수가 아무리 증가해도 각 세포의 염색체 수는 모두 같다.
53. ③
세포질 분열에서 식물 세포는 세포판이 형성(안→밖)되고, 동물 세포는 원형질이 만입(밖→안)된다.
54. ①
양파의 뿌리 끝 부분은 체세포 분열 관찰에 좋다.
(ㄱ) 체세포 분열 과정
(ㄴ) 생식 세포 분열 과정
55. ⑤
묽은 염산은 뿌리를 연하게하여 세포들이 분리되기 쉽게 하고 아세트산카민 용액은 염색체를 염색하는 데 쓰인다.
56. ⑤
57. ②
58. ①
59. ⑤
60. ②
61. ④
62. DNA
63. ②
64. 상동 염색체
65. 성 염색체
66. 유전자
생물의 유전에 관계하는 물질이다.
67. ⑤
염색체는 세포 분열할 때에만 관찰할 수 있다.
68. ⑤
같은 종류의 생물은 몸의 모든 세포의 염색체의 수와 모양이 같다.
69. ③
염색체의 복제는 간기에 이루어지고, 전기에는 염색사가 염색체로 된다.
70. ④
같은 종류의 생물은 염색체의 수와 모양이 같으며, 염색체 속에는 형질을 나타나게 하는 물질이 들어 있다.
71. ②
72. 4 개
73. ④
74. ①
75. ④
76. ④
77. ①
78. ③
79. ④
80. ①
81. 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