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백혈병의 분류와 검사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AML 환자의 약 5%, 성인 ALL 환자의 약 25%, 그리고 소아 ALL 환자의 약 10%에서 관찰된다. Ph'에서는 BCR-ABL 유전자 재배열에 의하여 p210(M-BCR, 주로 CML 만성기) 또는 p190(m-BCR, 주로 급성 백혈병) 등의 BCR-ABL 단백을 생성한다. 정상 세포에서는 p145 ABL 단백이 생성된다.
바. 분자유전학적검사
Ig 및 T-cell receptor 유전자재배열은 ALL에서 관찰된다. t(9;22)(q34;q11)과 t(15;17)(q22;q11)은 각각 ABL-BCR 유전자재배열과 PML-RARA 유전자재배열을 일으킨다. t(8;14)(q;24;32), t(2;8)(p12;q24)와 t(8;22)(q24;q11)에서는 8번 염색체의 MYC oncogene이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의 heavy 또는 light chain 부위와 근접하게 된다. t(1;19) (q23;p13)에서는 1번 유전자의 PBX1 유전자와 19번 유전자의 E2A 유전자가 관여되어 있다. t(4;11) ALL에서는 ETS1, t(8;21) AML(M2)에서는 ETS2, T-ALL에서는 TCL2 및 TCL3, t(1;19) pre-B ALL에서는 PRL, 그리고 t(6;9)에서는 CAN 등 암유전자들과의 연관성이 알려져 있다.
이밖에 RAS, FMS 등 암유발유전자와 p53, RB1 등 암억제유전자들의 이상이 백혈병의 병인에 관여하는 기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암유전자 발현의 이상에는 돌연변이, 염색체 결실, 유전자재배열 등 질적인 이상과 유전자 증폭 등 양적인 이상이 있다.
  • 가격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4.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