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북한의 문화
Ⅱ. 북한의 언어
Ⅱ. 북한의 언어
본문내용
대비해 남북한 공통의 언어 뿌리를 재발견하는 노력"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오는 2012년까지 30만 단어를 수록한 남북한 공통사전을 편찬하길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공통사전 편찬 작업 역시 냉전의 짙은 그림자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남북한 당국의 엄격한 언어통제로 남북한 언어에 많은 차이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양측은 주민들이 서로 대화하는 것은 물론 상대편의 TV 방송을 시청하거나 문학작품을 보는 것을 중대 범죄로 다루는 등 엄격히 통제해왔다.
예를 들어 '수령'이라는 단어의 경우 북한에서는 오직 김정일에게만 붙일 수 있는 최고의 경칭이지만 한국에서는 정치 분파나 파벌의 지도자, 심지어 악당 두목을 뜻한다. '북괴' 역시 마찬가지. 남한의 사전들은 북괴를 '북한의 꼭두각시 정권'으로 풀이하고 있다. 남한의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영어 단어를 남북한 공통사전에 포함시킬지도 문제다. 이 사무처장은 "정치적 문제가 있는 단어는 빼고 있으며 남한에서 무차별적으로 도입한 외국어도 제외할 것"이라고 말했다.
[yunzhen@yna.co.kr] 2006/08/31 11:28:03
③ 北 편찬 '연관어대사전' 출간
(서울=연합뉴스) 북측 학자들이 45년 간 세 번의 수정ㆍ보완 작업을 거쳐 편찬한 '우리말글쓰기연관어대사전'(전 2권)이 남측에서 처음으로 출간됐다.
황토출판사가 판권 계약을 맺어 펴낸 이 사전은 단어의 뜻을 정리한 단순한 의미의 사전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용법부터 특정 단어와 연관된 문학적 표현,동의어와 반의어 등에 이르기까지 87개 분류에 따라 다양한 연관어 75만개를 설명하고 있다.
출판사에 따르면 1960년 북측의 국어학자인 민영환, 홍기문씨 등이 사전 집필을시작한 뒤 김일성종합대와 평양외국어대, 김형직사범대, 사회과학원 등 교수진 27명이 최종 필자로 참가해 2004년 말 집필을 끝냈다.
사전에 수록된 '올림말'(핵심어) 1개 당 평균 31.5개의 연관어가 수록됐는데 ,가장 많게는 핵심어 '사람'에 대한 연관어가 2천571개, 적게는 5-6개의 연관어가 설명돼있다. 책에는 핵심어 2만개에서 시작해 연관어 75만개가 수록돼있다.
예를 들어 '억세다', '씨원씨원하다'라는 말을 찾으면 연관어로 '씨억씨억하다'가 수록돼있다. '성미나 행동이 억세고 씨원씨원하다'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말 이라 한다.
또한 '선동하다'의 동의적 표현으로는 '대중을 휘동하다'라는 말을 찾을 수 있다. 최근 자주 거론되는 북핵문제를 고려해 '핵'을 찾아보면 동의어로 '알맹이' 등이 쓰여져있고 다시 알맹이의 동의어는 '알속', '알짜' 등의 말이 들어있는 식이다.
단어들의 결합 능력을 알고 싶다면 '결합' 이라는 분류를 읽어보면 된다. 가령 '허풍'이라는 단어가 어떤 동사와 결합하는가를 찾아보면 '치다', '놓다', '떨다', '쏘다' 등이 표기돼있다.
황토출판사 측은 "기준이 되는 '핵심어'에서 시작해 연관되는 단어의 다양한 쓰임새를 적고 있는 사전"이라며 "앞으로 중국의 동북공정을 비판하고 근거를 제시하는 내용의 북측 연구자료들도 출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정선 jsk@yna.co.kr 2006/10/23 10:59:19 연합뉴스
<< 참고자료 >>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박호성,홍원표. [북한사회의 이해]. 인간사랑. 2002
세종연구소북한연구센터 . [북한의 사회문화], 한울아카데미. 2006
http://www.goodfriends.or.kr/
2005년 7월 북한 주민의 문화생활에 대한 요구
2006년 4월 북한에서의 한국 문화 열풍
http://unibook.unikorea.go.kr/
그는 오는 2012년까지 30만 단어를 수록한 남북한 공통사전을 편찬하길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공통사전 편찬 작업 역시 냉전의 짙은 그림자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남북한 당국의 엄격한 언어통제로 남북한 언어에 많은 차이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양측은 주민들이 서로 대화하는 것은 물론 상대편의 TV 방송을 시청하거나 문학작품을 보는 것을 중대 범죄로 다루는 등 엄격히 통제해왔다.
예를 들어 '수령'이라는 단어의 경우 북한에서는 오직 김정일에게만 붙일 수 있는 최고의 경칭이지만 한국에서는 정치 분파나 파벌의 지도자, 심지어 악당 두목을 뜻한다. '북괴' 역시 마찬가지. 남한의 사전들은 북괴를 '북한의 꼭두각시 정권'으로 풀이하고 있다. 남한의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영어 단어를 남북한 공통사전에 포함시킬지도 문제다. 이 사무처장은 "정치적 문제가 있는 단어는 빼고 있으며 남한에서 무차별적으로 도입한 외국어도 제외할 것"이라고 말했다.
[yunzhen@yna.co.kr] 2006/08/31 11:28:03
③ 北 편찬 '연관어대사전' 출간
(서울=연합뉴스) 북측 학자들이 45년 간 세 번의 수정ㆍ보완 작업을 거쳐 편찬한 '우리말글쓰기연관어대사전'(전 2권)이 남측에서 처음으로 출간됐다.
황토출판사가 판권 계약을 맺어 펴낸 이 사전은 단어의 뜻을 정리한 단순한 의미의 사전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용법부터 특정 단어와 연관된 문학적 표현,동의어와 반의어 등에 이르기까지 87개 분류에 따라 다양한 연관어 75만개를 설명하고 있다.
출판사에 따르면 1960년 북측의 국어학자인 민영환, 홍기문씨 등이 사전 집필을시작한 뒤 김일성종합대와 평양외국어대, 김형직사범대, 사회과학원 등 교수진 27명이 최종 필자로 참가해 2004년 말 집필을 끝냈다.
사전에 수록된 '올림말'(핵심어) 1개 당 평균 31.5개의 연관어가 수록됐는데 ,가장 많게는 핵심어 '사람'에 대한 연관어가 2천571개, 적게는 5-6개의 연관어가 설명돼있다. 책에는 핵심어 2만개에서 시작해 연관어 75만개가 수록돼있다.
예를 들어 '억세다', '씨원씨원하다'라는 말을 찾으면 연관어로 '씨억씨억하다'가 수록돼있다. '성미나 행동이 억세고 씨원씨원하다'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는말 이라 한다.
또한 '선동하다'의 동의적 표현으로는 '대중을 휘동하다'라는 말을 찾을 수 있다. 최근 자주 거론되는 북핵문제를 고려해 '핵'을 찾아보면 동의어로 '알맹이' 등이 쓰여져있고 다시 알맹이의 동의어는 '알속', '알짜' 등의 말이 들어있는 식이다.
단어들의 결합 능력을 알고 싶다면 '결합' 이라는 분류를 읽어보면 된다. 가령 '허풍'이라는 단어가 어떤 동사와 결합하는가를 찾아보면 '치다', '놓다', '떨다', '쏘다' 등이 표기돼있다.
황토출판사 측은 "기준이 되는 '핵심어'에서 시작해 연관되는 단어의 다양한 쓰임새를 적고 있는 사전"이라며 "앞으로 중국의 동북공정을 비판하고 근거를 제시하는 내용의 북측 연구자료들도 출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정선 jsk@yna.co.kr 2006/10/23 10:59:19 연합뉴스
<< 참고자료 >>
고영근. [북한의 언어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박호성,홍원표. [북한사회의 이해]. 인간사랑. 2002
세종연구소북한연구센터 . [북한의 사회문화], 한울아카데미. 2006
http://www.goodfriends.or.kr/
2005년 7월 북한 주민의 문화생활에 대한 요구
2006년 4월 북한에서의 한국 문화 열풍
http://unibook.unikorea.go.kr/
추천자료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판소리에 대한 북한의 인식태도와 <춘향전>에 대해 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북한 예술의 특징과 사례분석
[북한문학]주체문예시대 북한문학의 특징에 대하여
[한국의사회와문화] 『새터민의 문화적 갈등』에 대하여
[북한의사회와경제]북한주민의 일상생활과 의식주 생활에 대해
[북한의 언어관][북한의 언어맞춤법][북한의 언어교육][북한의 언어정책][남한의 언어정책][...
1990년대 북한 연극과 성황당 연구
문화적 상대주의 담론이 국제인권규범에서 유효한가
남북교류협력과 문화 및 학술교류협력, 사회문화교류협력, 남북교류협력과 체육교류협력, 경...
[북한의 사회와 경제 E형] 북한주민의 가치관과 일상생활에 대해 논하시오. (북한주민의 가치관)
[북한의 사회와 경제 D형] 북한의 거시경제 현황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의 사회와 경제 A형] 북한의 권력기관에 관해 논하시오.
북한 인민들의 대남 인식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