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객관식 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3. 주관식 기출문제
4.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3. 주관식 기출문제
4.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부흥시키고자 노력하여 당과 송의 제도와 문물을 부활시켰다.
7. ③
농촌의 11가구를 1갑, 10갑을 1리로 조직하여 세금 등을 징수하였다.
8. ②
왕안석의 개혁 정치는 송대에 이루어진 일이다.
9. ①
러시아의 남하는 청나라 때 이루어진 사실이다.
10. ④
정화의 원정 이후 중국인들이 동남 아시아 지역으로 활발히 진출하였다.
11. ②
12. ①
13. ②
문치주의 정책은 송나라를 세운 조광윤이 절도사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4. ①
정화의 해외 원정으로 중국인의 동남 아시아 지역 진출이 활발하였다.
15. ④
명은 만주족에 의해 새로운 왕조로 교체되었다.
16. ①
과거 제도→유학의 부흥, 대명률→당률의 재정비, 서민 교육의 지표→유교 윤리의 보급
17. ③
18. ①
황건적의 난은 한나라의 멸망을 가져온 농민 반란이다.
19. ②
명대의 조세 제도-일조 편법, 상품 작물의 재배로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다.
20. ④
에도 막부는 네덜란드와 교역을 통해 난학을 발달시켰다.
21. ③
22. ②
가는 한나라, 나는 명나라, 다는 청나라, 라는 송나라 한→송→명→청 순서
23. ①
청은 한족 문화를 존중하고 유지함으로써 한족을 회유하고자 하였다.
24. ④
① 명나라 말부터 양쯔 강 하류는 상공업 중심지로 발전하였고 양쯔 강 중상류 지방이 새로운 곡창 지대로 개발되었다. ② 화폐 경제는 이미 송나라 때부터 싹트기 시작하였다. ③ 정부의 무역 통제에도 불구하고 흑자를 낼 수 있었다. ④ 지정은제, ⑤은이 유입되었다.
25. ⑤
ㄱ-14세기 중엽~16세기까지의 정세, ㅁ-네덜란드 상인들을 통해 서양 문 물이 꾸준히 전해졌다(난학).
26. ③
조용조(당)→양세법(당 말)→일조편법(명)→지정은제(청)
27. ⑤
28. ⑤
29. ③
명대에는 서민 계층이 성장하여 서민 문학이 발달하였다.
30. ③
신흥 무인 세력가인 이성계는 신진 사대부와 손을 잡고 조선을 건국하였다.
31. ②
가마쿠라 막부가 무너지고 14세기 무로마치 막부가 세워졌다. 이후 15 세기에는 각 지방의 무사들이 세력 다툼을 벌이는 전국 시대가 되었다.
32. ①
막부 정치는 무사 계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봉건 제도의 바탕위에서 발전하였다.
33. ④
34. ①
35. ②
목화는 당나라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36. ④
양명학은 성리학의 형식적이고 이론에 치우친 것에 대한 반성으로 이론과 실천의 일치를 강조하였다.
37. ③
곤여만국전도은 한자로 표기된 최초의 과학적인 세계 지도로 중국인에게 광 대한 세계를 처음 소개하였다.
38. ⑤
청대 초기에는 노동력에 대한 세금을 내기 힘든 가난한 농민들이 인구 조사를 피해 숨거나 도망치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지정은제의 실시로 토지에 따라 세금을 내게 됨으로써 숨는 사람이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39. ②
40. ⑤
41. ⑤
42. ④
동남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조공을 받게 되었으며, 중국인들의 동남 아시아 진출이 확대되었다.
43. ⑤
요는 거란족, 북위는 선비족, 원은 몽고족, 명은 한족이 세운 왕조들이다.
44. ④
청은 중국의 정통 왕조임을 내세워 중국의 제도와 문화를 계승, 보호하였다.
45. ①
모두 세금을 은으로 납부했던 제도이다.
46. ④
47. ③
48. ①
49. ③
청의 강압책은 변발령 강요와 반청 사상에 대한 규제를 들 수 있다.
50. ④
청대에는 민간 무역을 통제하였다.
51. ④
청대에는 한족 문화의 부활보다 한족 회유책으로 유학을 연구하도록 하여 고증학이 일어났다.
52. ①
선교사의 손으로 경도와 위도를 계산하여 만든 최초의 실측 지도로 강희제가 친히 이름지어 주었다.
53. ②
조선 후기에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상품 작물 재배가 활발하였다.
54. ⑤
55. ⑤
56. ⑤
57. ②
서양과의 무역으로 흑자를 낼 수 있어 정부에서 민간 무역을 통제하였다.
58. ④
명청 정부는 외국과의 무역을 엄격히 통제하였으나, 대외 무역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59. ③
청은 한인 학자들이 현실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고, 학문 연구에만 몰두하 도록 대대적인 편찬사업을 벌였다.
60. ①
조선에서는 서양 문물이 전래되기 시작하였으나, 서양과의 교역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61. ①
62. ②
63. ③
64. ③
65. ①
1. 명대에 향촌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실시한 향촌 조직은?
(역삼, 하계)
2. 영락제 때 □는 대함대를 이끌고 동남 아시아 해안 일대와 인도양을 거쳐 아프리카 동북 해안까지 진출하였다. (오륜, 연희여중)
3.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세법을 쓰시오. (언주, 천일)
은의 대량 유입으로 중국의 화폐가 동전에서 은화로 바뀜
세금과 부역을 합쳐 은으로 받아들임
양세법 대신에 시행됨
4.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오금, 영도)
만주족은 중국을 정보한 뒤 강압책을 써서 한족을 통치하였으나, 중국의 사회 구조는 명나라 때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촌락은 향촌 조직에 의해 다스려졌고, 사회의 중심 세력은 여전히 □□계층이었다.
5. 다음에 설명하는 내용과 관계되는 규제 조약은? (아주, 창일)
17세기 후반 청과 러시아 사이에 맺어졌다.
청이 유럽 국가와 체결한 최초의 조약이다.
러시아가 중국으로 남하하는 것을 저지하였다.
6. 다음의 글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지 써라. (역삼, 신목)
명의 태조를 부역 의무가 있는 110호로 이(里)를 편성하고 이 가운데 토지가 많은 부유층 10호를 이장호(里長戶)로 하고, 나머지 100호는 10갑으로 나누어 1갑은 10호로 편성하여 농촌 사회를 효과적으로 다스렸다.
7. 청대에는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학문을 탐구하는 ( )이 발달하였다. (신암, 환일)
8. 일본에서는 18세기부터 일본 고전을 연구하는 ①( )의 연구와 서양의 과학 기술 지식인 ②( )이 발달하였다. (언주, 신상)
주관식 기출문제
1. 이갑제
2. 정화
3. 일조편법
4. 향신
5. 네르친스크 조약
6. 이갑제
7. 고증학
8. 국학, 난학
7. ③
농촌의 11가구를 1갑, 10갑을 1리로 조직하여 세금 등을 징수하였다.
8. ②
왕안석의 개혁 정치는 송대에 이루어진 일이다.
9. ①
러시아의 남하는 청나라 때 이루어진 사실이다.
10. ④
정화의 원정 이후 중국인들이 동남 아시아 지역으로 활발히 진출하였다.
11. ②
12. ①
13. ②
문치주의 정책은 송나라를 세운 조광윤이 절도사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14. ①
정화의 해외 원정으로 중국인의 동남 아시아 지역 진출이 활발하였다.
15. ④
명은 만주족에 의해 새로운 왕조로 교체되었다.
16. ①
과거 제도→유학의 부흥, 대명률→당률의 재정비, 서민 교육의 지표→유교 윤리의 보급
17. ③
18. ①
황건적의 난은 한나라의 멸망을 가져온 농민 반란이다.
19. ②
명대의 조세 제도-일조 편법, 상품 작물의 재배로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다.
20. ④
에도 막부는 네덜란드와 교역을 통해 난학을 발달시켰다.
21. ③
22. ②
가는 한나라, 나는 명나라, 다는 청나라, 라는 송나라 한→송→명→청 순서
23. ①
청은 한족 문화를 존중하고 유지함으로써 한족을 회유하고자 하였다.
24. ④
① 명나라 말부터 양쯔 강 하류는 상공업 중심지로 발전하였고 양쯔 강 중상류 지방이 새로운 곡창 지대로 개발되었다. ② 화폐 경제는 이미 송나라 때부터 싹트기 시작하였다. ③ 정부의 무역 통제에도 불구하고 흑자를 낼 수 있었다. ④ 지정은제, ⑤은이 유입되었다.
25. ⑤
ㄱ-14세기 중엽~16세기까지의 정세, ㅁ-네덜란드 상인들을 통해 서양 문 물이 꾸준히 전해졌다(난학).
26. ③
조용조(당)→양세법(당 말)→일조편법(명)→지정은제(청)
27. ⑤
28. ⑤
29. ③
명대에는 서민 계층이 성장하여 서민 문학이 발달하였다.
30. ③
신흥 무인 세력가인 이성계는 신진 사대부와 손을 잡고 조선을 건국하였다.
31. ②
가마쿠라 막부가 무너지고 14세기 무로마치 막부가 세워졌다. 이후 15 세기에는 각 지방의 무사들이 세력 다툼을 벌이는 전국 시대가 되었다.
32. ①
막부 정치는 무사 계급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봉건 제도의 바탕위에서 발전하였다.
33. ④
34. ①
35. ②
목화는 당나라부터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36. ④
양명학은 성리학의 형식적이고 이론에 치우친 것에 대한 반성으로 이론과 실천의 일치를 강조하였다.
37. ③
곤여만국전도은 한자로 표기된 최초의 과학적인 세계 지도로 중국인에게 광 대한 세계를 처음 소개하였다.
38. ⑤
청대 초기에는 노동력에 대한 세금을 내기 힘든 가난한 농민들이 인구 조사를 피해 숨거나 도망치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지정은제의 실시로 토지에 따라 세금을 내게 됨으로써 숨는 사람이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39. ②
40. ⑤
41. ⑤
42. ④
동남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조공을 받게 되었으며, 중국인들의 동남 아시아 진출이 확대되었다.
43. ⑤
요는 거란족, 북위는 선비족, 원은 몽고족, 명은 한족이 세운 왕조들이다.
44. ④
청은 중국의 정통 왕조임을 내세워 중국의 제도와 문화를 계승, 보호하였다.
45. ①
모두 세금을 은으로 납부했던 제도이다.
46. ④
47. ③
48. ①
49. ③
청의 강압책은 변발령 강요와 반청 사상에 대한 규제를 들 수 있다.
50. ④
청대에는 민간 무역을 통제하였다.
51. ④
청대에는 한족 문화의 부활보다 한족 회유책으로 유학을 연구하도록 하여 고증학이 일어났다.
52. ①
선교사의 손으로 경도와 위도를 계산하여 만든 최초의 실측 지도로 강희제가 친히 이름지어 주었다.
53. ②
조선 후기에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상품 작물 재배가 활발하였다.
54. ⑤
55. ⑤
56. ⑤
57. ②
서양과의 무역으로 흑자를 낼 수 있어 정부에서 민간 무역을 통제하였다.
58. ④
명청 정부는 외국과의 무역을 엄격히 통제하였으나, 대외 무역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59. ③
청은 한인 학자들이 현실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고, 학문 연구에만 몰두하 도록 대대적인 편찬사업을 벌였다.
60. ①
조선에서는 서양 문물이 전래되기 시작하였으나, 서양과의 교역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61. ①
62. ②
63. ③
64. ③
65. ①
1. 명대에 향촌을 효과적으로 다스리기 위해 실시한 향촌 조직은?
(역삼, 하계)
2. 영락제 때 □는 대함대를 이끌고 동남 아시아 해안 일대와 인도양을 거쳐 아프리카 동북 해안까지 진출하였다. (오륜, 연희여중)
3.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세법을 쓰시오. (언주, 천일)
은의 대량 유입으로 중국의 화폐가 동전에서 은화로 바뀜
세금과 부역을 합쳐 은으로 받아들임
양세법 대신에 시행됨
4. 다음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오금, 영도)
만주족은 중국을 정보한 뒤 강압책을 써서 한족을 통치하였으나, 중국의 사회 구조는 명나라 때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촌락은 향촌 조직에 의해 다스려졌고, 사회의 중심 세력은 여전히 □□계층이었다.
5. 다음에 설명하는 내용과 관계되는 규제 조약은? (아주, 창일)
17세기 후반 청과 러시아 사이에 맺어졌다.
청이 유럽 국가와 체결한 최초의 조약이다.
러시아가 중국으로 남하하는 것을 저지하였다.
6. 다음의 글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지 써라. (역삼, 신목)
명의 태조를 부역 의무가 있는 110호로 이(里)를 편성하고 이 가운데 토지가 많은 부유층 10호를 이장호(里長戶)로 하고, 나머지 100호는 10갑으로 나누어 1갑은 10호로 편성하여 농촌 사회를 효과적으로 다스렸다.
7. 청대에는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학문을 탐구하는 ( )이 발달하였다. (신암, 환일)
8. 일본에서는 18세기부터 일본 고전을 연구하는 ①( )의 연구와 서양의 과학 기술 지식인 ②( )이 발달하였다. (언주, 신상)
주관식 기출문제
1. 이갑제
2. 정화
3. 일조편법
4. 향신
5. 네르친스크 조약
6. 이갑제
7. 고증학
8. 국학, 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