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전모의고사 1회
실전모의고사 2회
정답
실전모의고사 2회
정답
본문내용
파는 건 아닐까요?
형 : 땅굴을 파면 요란한 소리가 들릴 텐데요?
측량 기사 : 땅 속에서 파는데 무슨 소리가 들리겠어요?(형에게 다가간다.) 가만, 저 쪽이 무슨 짓을 하는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라) 측량 기사 : 잘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당신 형님은 당신을 그냥 두지 않을 거예요.
아우 : 그게 무슨 뜻이죠?
측량 기사 : 이제 곧 알게 됩니다. 저 쪽의 심보 나쁜 형이 당신 땅으로 넘어 올 테니까요.
아우 : 형님이?
(마) 아우 : 난 이 들판을 나눠 가지면 행복할 줄 알았어. 형님과 공동 소유가 아닌, 반절이나마 내 땅을 가지기를 바랐지. 그래서 측량 기사가 하자는 대로 했던 거야. 하지만, 나에게 남은 건 벽과 총뿐, 그는 나를 철저히 이용만 했어.
형 : 처음엔 실습이라고 했지. 그러나 실습이 아니었어……. 그런데 지금은 동생을 죽이고 싶어! 벽 너머에서 마구 총까지 쏘아 대는 동생이 미워서……. 하지만, 동생을 죽인다고 내 마음이 편해질까? 아냐, 더 괴로울 거야.
[단어의 의미 파악] ★★★
(가)에서 ‘밧줄’이 하는 역할로 알맞은 것은? ⑤
①형제 간의 우애를 확인하게 한다.
②형제 사이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한다.
③형제에게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④형제와 측량 기사 간의 관계를 이어 준다.
▶
⑤형제들이 무의식 중에 자신들의 공간을 가르도록 유도한다.
‘밧줄’은 형과 아우의 사이를 갈라놓는 역할을 한다.
[낱말의 상징적 의미] ★★★
다음 낱말의 상징적 의미의 대립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③
우리 집 : 내 집
①대가족 제도 : 핵가족 제도
②형제의 소유 : 측량 기사의 소유
▶
③공동의 소유 의식 : 개인적 소유 의식
④이상적 소유 의식 : 현실적 소유 의식
⑤가족 간의 유대 의식 : 가족 개개인의 독립 의식
‘우리 집’을 ‘내 집’이라고 하는 것은 더 이상 공존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대화의 이해] ★★★
㉠처럼 말한 이유는? ③
①동생이 원래 완벽주의자이기에
②측량 기사의 말솜씨에 자기도 모르게
▶
③형에 대한 실망과 반발감이 있었기에
④동생이 형에게서 완전히 벗어나고 싶었기에
⑤형제 간의 우애가 깨진 것에 대한 실망감 때문에
형과의 사이를 더 확실하게 구분하겠다는 의미이다.
[시나리오의 인물] ★
측량 기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인물을 가리키는 용어는? ②
▶
①주동 인물②반동 인물 ③핵심 인물
④개성적 인물⑤입체적 인물
형과의 사이를 더 확실하게 구분하겠다는 의미이다.
[형제의 성격] ★★★
위 글로 볼 때 형제의 공통적인 모습은? ①
▶
①어리석다②너그럽다③성실하다.
④잔인하다⑤성급하다
측량기사의 이간질에 땅을 빼앗기고, 서로 대립하는 어리석음을 보여주고 있다.
[언어의 특징] ★★★
위와 같은 글에 사용되는 언어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①
▶
①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언어
②간결하고 압축적인 언어
③화려한 수식이 많은 언어
④논리가 명확한 언어
⑤투박하고 거친 언어
희극은 무대상연을 목적으로 하는 글로 현재화된 인생을 표현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언어는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언어이어야 한다.
[약도 제작 요령] ★★
약도의 제작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④
①방향을 정확히 표시한다.
②거리를 대략적으로 표시한다.
③필요한 부분은 정확히 그린다.
▶
④중간 표지물은 기록하지 않는다.
⑤상대방이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중간 표지물을 기록하면 다른 것보다 찾기 쉬워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쉽게 찾을 수 있다. 중간 표지물은 기입하는 것이 좋다.
[복합어] ★★★
다음 중 복합어의 형성이 알맞지 않은 것은? ③
①걷 + 음 → 걸음②불 + 나비 → 부나비
▶
③숟 + 가락 → 숟가락④가리 + 개 →가리개
⑤덧 + 저고리 → 덧저고리
‘숟가락’은 어근 ‘술’과 ‘가락’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형성 과정에서 ‘ㄹ'의 탈락과 ’ㄷ'의 첨가가 이루어진 낱말이다.
[합성어] ★★
다음 중 어근이 완전히 하나로 융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낱말은? ①
▶
①밤낮②한두③손수건
④오가다⑤늦가을
‘밤낮’은 늘, ‘항상’이란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관용어] ★★★
관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
①누구든지 다양하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②한 단어처럼 쓰이며 고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③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관습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④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된다.
⑤각각의 낱말이 지닌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다.
관용어는 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관습적인 말로 함부로 바꾸어 사용할 수 없다.
[정보를 전달하는 글] ★★★
다음과 같은 글을 쓸 때 고려할 점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②
근대 이전에 역사로 거슬러 올라가면 국어학자의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는다. 국어에 관한 저술이 전혀 없었던 것이 아니지만, 그것들은 대체로 유학자들의 여기(餘技)에 지나지 않았다. 정약용을 포함한 실학자들의 저술도 마찬가지다. 단 하나의 예외가 있다면 그것은 최세진의 업적이다 그가 자신의 저술들에 틈틈이 끼워 넣은 언문, 곧 정음(正音)에 대한 언급은 중세 후기 국어의 모습을 밝혀 주는 중요한 실마리이다.
①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한다.
▶
②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주로 쓴다.
③인물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내용을 마련한다.
④‘머리말 - 본문 - 맺음말’의 내용을 미리 구성한다.
⑤최세진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는 객관적인 근거를 예로 들어 쓴다.
이 글은 최세진의 업적과 일대기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글이기 때문에 국어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인물에 중심을 두고 쓴다.
[내용 전달시 유의점] ★★★
들은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 주의할 점으로 적절한 것은? ④
①말하는 이의 구성 방식을 그대로 존중해야 한다.
②듣는이가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 의견과 사실 중 사실만을 전달한다.
③듣는이의 상황을 존중하여 들은 내용의 일부분만을 이야기한다.
▶
④정확한 내용 전달을 위해서는 육하 원칙을 따르는 것이 좋다.
⑤듣는이의 판단을 돕기 위해 자신의 느낌과 감상을 덧붙인다.
들은 내용을 전달할 때에는 사실대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형 : 땅굴을 파면 요란한 소리가 들릴 텐데요?
측량 기사 : 땅 속에서 파는데 무슨 소리가 들리겠어요?(형에게 다가간다.) 가만, 저 쪽이 무슨 짓을 하는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라) 측량 기사 : 잘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당신 형님은 당신을 그냥 두지 않을 거예요.
아우 : 그게 무슨 뜻이죠?
측량 기사 : 이제 곧 알게 됩니다. 저 쪽의 심보 나쁜 형이 당신 땅으로 넘어 올 테니까요.
아우 : 형님이?
(마) 아우 : 난 이 들판을 나눠 가지면 행복할 줄 알았어. 형님과 공동 소유가 아닌, 반절이나마 내 땅을 가지기를 바랐지. 그래서 측량 기사가 하자는 대로 했던 거야. 하지만, 나에게 남은 건 벽과 총뿐, 그는 나를 철저히 이용만 했어.
형 : 처음엔 실습이라고 했지. 그러나 실습이 아니었어……. 그런데 지금은 동생을 죽이고 싶어! 벽 너머에서 마구 총까지 쏘아 대는 동생이 미워서……. 하지만, 동생을 죽인다고 내 마음이 편해질까? 아냐, 더 괴로울 거야.
[단어의 의미 파악] ★★★
(가)에서 ‘밧줄’이 하는 역할로 알맞은 것은? ⑤
①형제 간의 우애를 확인하게 한다.
②형제 사이를 이어 주는 역할을 한다.
③형제에게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④형제와 측량 기사 간의 관계를 이어 준다.
▶
⑤형제들이 무의식 중에 자신들의 공간을 가르도록 유도한다.
‘밧줄’은 형과 아우의 사이를 갈라놓는 역할을 한다.
[낱말의 상징적 의미] ★★★
다음 낱말의 상징적 의미의 대립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③
우리 집 : 내 집
①대가족 제도 : 핵가족 제도
②형제의 소유 : 측량 기사의 소유
▶
③공동의 소유 의식 : 개인적 소유 의식
④이상적 소유 의식 : 현실적 소유 의식
⑤가족 간의 유대 의식 : 가족 개개인의 독립 의식
‘우리 집’을 ‘내 집’이라고 하는 것은 더 이상 공존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대화의 이해] ★★★
㉠처럼 말한 이유는? ③
①동생이 원래 완벽주의자이기에
②측량 기사의 말솜씨에 자기도 모르게
▶
③형에 대한 실망과 반발감이 있었기에
④동생이 형에게서 완전히 벗어나고 싶었기에
⑤형제 간의 우애가 깨진 것에 대한 실망감 때문에
형과의 사이를 더 확실하게 구분하겠다는 의미이다.
[시나리오의 인물] ★
측량 기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인물을 가리키는 용어는? ②
▶
①주동 인물②반동 인물 ③핵심 인물
④개성적 인물⑤입체적 인물
형과의 사이를 더 확실하게 구분하겠다는 의미이다.
[형제의 성격] ★★★
위 글로 볼 때 형제의 공통적인 모습은? ①
▶
①어리석다②너그럽다③성실하다.
④잔인하다⑤성급하다
측량기사의 이간질에 땅을 빼앗기고, 서로 대립하는 어리석음을 보여주고 있다.
[언어의 특징] ★★★
위와 같은 글에 사용되는 언어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①
▶
①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언어
②간결하고 압축적인 언어
③화려한 수식이 많은 언어
④논리가 명확한 언어
⑤투박하고 거친 언어
희극은 무대상연을 목적으로 하는 글로 현재화된 인생을 표현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언어는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언어이어야 한다.
[약도 제작 요령] ★★
약도의 제작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④
①방향을 정확히 표시한다.
②거리를 대략적으로 표시한다.
③필요한 부분은 정확히 그린다.
▶
④중간 표지물은 기록하지 않는다.
⑤상대방이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중간 표지물을 기록하면 다른 것보다 찾기 쉬워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쉽게 찾을 수 있다. 중간 표지물은 기입하는 것이 좋다.
[복합어] ★★★
다음 중 복합어의 형성이 알맞지 않은 것은? ③
①걷 + 음 → 걸음②불 + 나비 → 부나비
▶
③숟 + 가락 → 숟가락④가리 + 개 →가리개
⑤덧 + 저고리 → 덧저고리
‘숟가락’은 어근 ‘술’과 ‘가락’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형성 과정에서 ‘ㄹ'의 탈락과 ’ㄷ'의 첨가가 이루어진 낱말이다.
[합성어] ★★
다음 중 어근이 완전히 하나로 융합하여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낱말은? ①
▶
①밤낮②한두③손수건
④오가다⑤늦가을
‘밤낮’은 늘, ‘항상’이란 새로운 의미를 나타낸다.
[관용어] ★★★
관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
①누구든지 다양하게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②한 단어처럼 쓰이며 고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③언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관습적으로 쓰이는 말이다.
④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된다.
⑤각각의 낱말이 지닌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다.
관용어는 둘 이상의 낱말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관습적인 말로 함부로 바꾸어 사용할 수 없다.
[정보를 전달하는 글] ★★★
다음과 같은 글을 쓸 때 고려할 점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②
근대 이전에 역사로 거슬러 올라가면 국어학자의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는다. 국어에 관한 저술이 전혀 없었던 것이 아니지만, 그것들은 대체로 유학자들의 여기(餘技)에 지나지 않았다. 정약용을 포함한 실학자들의 저술도 마찬가지다. 단 하나의 예외가 있다면 그것은 최세진의 업적이다 그가 자신의 저술들에 틈틈이 끼워 넣은 언문, 곧 정음(正音)에 대한 언급은 중세 후기 국어의 모습을 밝혀 주는 중요한 실마리이다.
① 최대한 객관적으로 서술한다.
▶
②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주로 쓴다.
③인물에 대한 기록을 토대로 내용을 마련한다.
④‘머리말 - 본문 - 맺음말’의 내용을 미리 구성한다.
⑤최세진에 대한 역사적인 평가는 객관적인 근거를 예로 들어 쓴다.
이 글은 최세진의 업적과 일대기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글이기 때문에 국어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 인물에 중심을 두고 쓴다.
[내용 전달시 유의점] ★★★
들은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 주의할 점으로 적절한 것은? ④
①말하는 이의 구성 방식을 그대로 존중해야 한다.
②듣는이가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 의견과 사실 중 사실만을 전달한다.
③듣는이의 상황을 존중하여 들은 내용의 일부분만을 이야기한다.
▶
④정확한 내용 전달을 위해서는 육하 원칙을 따르는 것이 좋다.
⑤듣는이의 판단을 돕기 위해 자신의 느낌과 감상을 덧붙인다.
들은 내용을 전달할 때에는 사실대로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