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국어 2-2학기 중간 2단원 이야기의 구조 기출문제(교사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아기 장수 우투리
2 현명한 아내, 만카

본문내용

기록되어 사람들 사이에 읽혀져 왔다.
②우주 창조에 관한 신적인 존재의 활약상을 내용으로 한다.

③일정한 구조를 갖추고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면서 전해져 왔다.
④현실 세계에서 있었던 일을 작가가 허구적으로 꾸며낸 이야기이다.
⑤일정한 내용과 틀이 없어서 다음 내용을 짐작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설화는 같은 민족 사이에서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오는 옛 이야기이다.
[이야기의 구조] ★★★
위와 같은 글의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⑤
①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한다.
②이야기가 어떻게 짜여져 있는지 파악한다.
③이미 갖고 있는 이야기의 구조에 대한 지식을 활용한다.
④이야기 속 인물들의 갈등과 그 해결 과정을 파악하며 읽는다.

⑤일반적인 이야기의 구조에서 벗어나는 내용을 무시하면서 읽는다.
일반적인 이야기 구조에 맞게 파악하면서 읽는다.
[글의 구성 단계] ★★★

(가)~(마) 중 이야기의 첫 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문단은?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라)는 글의 마지막 부분에 해당한다.
[글의 배경] ★★★
(가)~(마) 중 시대적, 공간적 배경이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는 문단은? ①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전설은 구체적인 시간과 장소가 나타난다. (가)는 전설이다.
[문단의 이해] ★★★
(가)~(마) 중 평범한 인간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흥미와 즐거움을 주며, 교훈적인 기능도 수행하는 이야기로 볼 수 있는 문단은? ②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민담은 평범한 인간이 등장하여 자신의 삶을 개척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다룬 이야기이다. (나)는 민담이다.
[무속 의식] ★★
(가)~(마) 중 내용으로 보아 무속 의식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④
①(가)②(나)③(다)

④(라)⑤(마)
‘무당’은 무속 의식을 행하는 사람이다. (라)에서 바리데기가 되고자하는 것이 무당이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55~57)
(가) 옛날 옛날 먼 옛날, 임금과 벼슬아치들이 백성(百姓)들을 종처럼 부리던 때의 이야기야. 욕심 많은 임금과 사나운 벼슬아치들에게 시달릴 대로 시달리던 백성들은 누군가 힘세고 재주 많은 영웅이 나타나 자기들을 살려 주기를 목이 빠지게 바라고 살았지.
이 때, 지리산자락 외진 마을에 한 농사꾼 내외가 살았어. 산비탈에 밭을 일구어 구메농사나 지어먹으며, 그저 산 입에 거미줄이나 안 치는 걸 고맙게 여기고 살았지. 그렇게 살다가 늘그막에 아기를 하나 낳았는데, 낳고 보니 아기 탯줄이 안 잘라져. 가위로 잘라도 안 되고 낫으로 잘라도 안되고 작두로 잘라도 안 돼. 별짓을 다 해도 안 되더니 산에 가서 억새풀을 베어다 그걸로 탯줄을 치니까 그제야 잘라지더래.
(나) 옛날 옛적에 돈은 많지만, 성격은 매우 탐욕스럽고 파렴치한 농부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무슨 거래든지 항상 자기에게만 유리하게 하여 가난한 이웃들을 힘들게 하였습니다.
이렇게 욕심 많은 농부의 이웃 중에 가난한 양치기가 한 명 있었습니다. 양치기는 암소 한 마리를 받기로 하고 농부를 위해 일을 해 주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시기가 다 되었는데도 농부가 양치기에게 암소를 줄 수 없다고 잡아 떼었습니다. 그러자 양치기는 그 사건을 해결(解決)해 달라고 시장을 찾아갔습니다.
(다) ‘마히르’라는 이름을 가진 원숭이가 살았습니다. 그는 원숭이들의 왕으로 영리하고 재주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나이를 먹으면서 몸이 쇠약해지자 젊은 원숭이들이 공격을 하였고, 드디어는 왕의 자리에서 쫓겨나고 말았습니다.
마히르는 바닷가로 피신해서 한 무화가나무 위에 거처를 정했습니다. 어느 날 마히르는 무화가 열매를 따먹다가 그 중 한 개를 물에 빠뜨렸습니다. ‘퐁당’하는 소리가 아름다운 장단으로 들려 왔습니다. 이에 흥미를 느낀 마히르는 무화가 열매를 먹고 던지고 하면서 흥겨운 가락을 즐기기 시작했습니다. 날이 갈수록 마히르는 이 놀이를 즐겼습니다.
(라) “아바마마, 소원이 있나이다. 남편 무장승은 무덤 팔 때 산신제(山神祭)와 평토제(平土祭)를 먹고 살게 하소서. 저를 길러 준 바리공덕 할아비는 동네에 상여가 나올 때 드리는 노제(路祭)를 먹게 해 주시고, 바리공덕 할멈은 지노귀굿할 때, 영혼이 저승문에 들어설 때 대문에서 내는 별비(別備)를 받아먹게 하시고, 저의 자식은 십대왕(十代王)이 되게 하소서.”
“그럼, 너는 무엇이 되고자 하느냐?”
“제가 지옥에 가 보니 실로 안타까운 죄인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이 세상에서 아무리 부귀영화를 누리는 사람이라도, 천하고 못나고 가난한 사람도 다 저승에 가면 마찬가지로 염라 대왕의 심판을 받는 것을 보았는데 마음이 무척 아팠습니다. 이런 세상의 미련한 사람이나 죄인을 저승에 데려갈 때 이 죄인의 소행을 보면 괘씸하여 마땅히 지옥에 보내지 말아 달라는 보증인 겸 인도자 겸 구원자 노릇을 하겠나이다. 제가 비록 여자지만 그런 큰일을 하겠나이다. 결국 무당이 되겠나이다.”
[글의 소재] ★★★
(가)에서 인물의 비범한 탄생을 표현하기 위해 쓰여진 소재를 찾아 쓰시오. 억새풀
가위, 낫, 작두로 잘리지 않던 탯줄이 억새풀로 그제야 잘린다는 것에서 우투리의 기이한 출생과 억새풀이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억새풀
[인물의 성격] ★★★
(다)에 등장하는 원숭이의 성격은? ③
①다혈질적이다.
②침착하고 대범하다.

③흥미가 많고 낙천적이다.
④매사에 신중하고 조심스럽다.
⑤옹졸하며 이기적인 성향이 강하다.
왕의 자리에서 쫓겨났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놀이에 쉽게 빠져버리는 모습에서 낙천적인 성격임을 알 수 있다.
[글의 내용 이해] ★★★
(라)의 내용을 잘못 말한 것은? ⑤
①주인공은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이들에게 보답하고자 한다.
②무당은 저승길의 보증인, 인도자, 구원자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③주인공은 다른 사람의 아픔을 함께 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④사람이 죽어 저승에 갈 때는 여러 절차를 거치게 된다고 생각했다.

⑤미련한 사람이나 죄인은 죽어서 지옥에 보내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바리 공주는 지옥에 갈 사람들을 구제하기 위해 무당이 되려고 한다.

키워드

아기,   장수,   우투리,   현명,   아내,   만카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11.24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6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