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자의 짜임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③ 氣④ 立
⑤ 小
28. 밑줄 친 한자의 뜻이 같은 한자는 ? (창일, 대청)
① 降服② 季節
校服 節水
③ 處理④ 滿月
處所 滿面
⑤ 冬至
至大
29. 음을 이용하여 자전을 찾으려고 한다. 가장 먼저 나오는 글자는 ?
① 穀② 吉 (명지여, 신천)
③ 氣④ 暑
⑤ 處
30. 한자어의 해석이 바르지 못한 것은 ? (이수, 고려사대부속)
① 大暑 : 큰 더위② 品質 : 물품의 종류
③ 重刑 : 무거운 형벌④ 霜降 : 서리가 내리다.
⑤ 元氣 : 원래 타고난 기운
31. 다음 주어진 한자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 (한양, 하계)
生物 物理 化學 工學
① 美術② 文學
③ 體育④ 科學
⑤ 音樂
用
32. 다음 한자와 어울려 쓰일 수 없는 것은 ? (풍납, 경희)
① 活② 綠
③ 善④ 信
⑤ 食
33. 다음 중, 한자어의 풀이가 바르지 못한 것은 ? (숙명여, 한강)
① 干城 : 나라를 지키는 군인
② 再活用 : 다시 활용하다.
③ 百戰百勝 : 싸울 때마다 이기다.
④ 實習 : 실제로 익혀 배우다.
⑤ 五穀百果 : 다섯 가지 곡식과 백 개의 과일
34. 다음 중, 그 의미가 가장 넓은 것은 ? (대명, 신창)
① 風習② 宗敎
③ 文化④ 衣食
⑤ 言語
35. 다음 중 한자의 부수가 다른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 (진선여, 서초)
① 情, 感② 記, 論
③ 筆, 等④ 放, 防
⑤ 送, 通
36.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뜻이 바른 한자어는 ? (과천문원, 신반포)
① 通信 : 믿다② 時事 : 섬기다
③ 報告 : 알리다④ 公正 : 여러
⑤ 放送 : 막다
37. ‘報道’에서 ‘道’의 뜻은 ? (방학, 강동)
① 길② 가다
③ 말하다④ 도리
⑤ 방법
38. ‘傳’과 어울려 된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 (선화예술, 반포)
① 傳來② 傳達
③ 傳通④ 傳記
⑤ 口傳
39. 다음 중 한자가 바르게 쓰이지 못한 것은 ? (마포여, 아주)
① 신문 : 新問② 윤리 : 倫理
③ 정보 : 情報④ 원칙 : 原則
⑤ 사실 : 事實
40.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한자는 ? (세륜, 잠신)
□金, 出□, 再□, □在
① 記② 情
③ 現④ 何
⑤ 事
41. ‘公正報道’의 짜임은 ? (서연, 신암)
① 유사 관계② 수식 관계
③ 주술 관계④ 술목 관계
⑤ 대립 관계
핵심기출문제 ………
1. ③
형성자
雨 + 相 →서리(상)
(뜻) (음)
2. ③
3. ①
‘’→집과 관련된 뜻을 갖는다.
4. ②
봄, 여름, 가을, 겨울
5. ⑤
6. ④
7. ③
▶본래 부수 알기
→ 火 → 水
8. ①
▶한자의 뜻 알기
正=直
9. ④
▶한자의 여러 가지 음과 뜻
車 수레 거
차 차
10. ③
모양이 비슷한 한자에 주의할 것.
11. ③
수식 관계, 유사 관계, 대립 관계의 한자어는 해석 순서가 우리말 어순과 같고, 술목 관계, 술보 관계의 한자어는 해석 순서가 우리말 어순과 반대이다.
12. ⑤
13. ②
美→羊, 血→제부수
14. ⑤
⑤ 魚-貝(어패) : 대등 관계
15. ①
① 낙원 ② 음악 ③ 악곡
④ 요산 ⑤ 악기
16. ③
無道人之短(무도인지단) :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17. ②
事(사) : 일, 섬기다.
① 사업 ② 사친 ③ 사실
④ 사무 ⑤ 사고
18. ④
자연은 말 없는 스승이다.
형설의 공 → ‘之’의 쓰임
① 가다(동사)② 체언+~ : ~의
③ 용언+~ : ~하는④ 그것
19. ⑤
(강)내리다
降
(항)항복하다
降旗 : 항복의 뜻을 나타내는 흰 기
20. ①
① 부국 강병② 기술 개발
③ 공해 방지④ 탐구 정신
⑤ 산림 녹화
21. ③22. ①23. ②24. ⑤
25. ④26. ①
27. ③
‘至’와 ‘雨’는 제부수 글자이다.
28. ④
服 : 항복하다, 옷 복
節 : 마디, 아끼다, 계절, 절기
處 : 살다, 처리하다, 곳, 처하다
滿 : 가득하다, 차다
至 : 이르다, 지극하다
29. ①
30. ②
‘元’은 ‘으뜸’이라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본디, 본래’의 뜻으로도 쓰인다.
31. ④32. ②
33. ⑤
⑤ 오곡백과 : 다섯 가지 곡식과 온갖 과일
34. ③
35. ④
▶한자의 부수 알기
放(=)
防(=阜)
36. ③
알맞은 접미사 적용하기
시대적 사회적 성격
공평하고 올바른 경향
37. ③
▶한자의 뜻 알기
道 : 길, 도리, 말하다
38. ③
▶한자 활용하기
뜻으로 낱말이 이루어지는가 살펴본다.
通 : 통할 통
統 : 계통 통
39. ①
▶한자 바르게 쓰기
新聞(신문) : 새로운 소식
40. ③
뜻으로 낱말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본다.
41. ②
▶한자 성어의 짜임
公正 報道 : 공평하고 올바른 보도
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써 보자. (아현, 신사)
가을은 오곡 백과가 무르익는 계절이다.
2. 다음 한자들의 공통적인 음을 쓰시오. (신정여, 가원)
正 情 淨 定 政
3. 다음 숫자를 갖은자로 쓰시오. (경희, 방배)
321원
4. A : B가 같은 짜임이 되도록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마포, 언주)
A : B
開=發 硏=□
5. 다음 ( ) 안에 알맞은 절기를 한자로 쓰시오. (천호, 일신여)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節氣는 ( )과 ( )이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긴 節氣는 ( )이며, 밤이 가장 긴 節氣는 ( )이다.
6. ‘降服’에서 ‘服’의 뜻을 쓰시오. (천호, 일신여)
7. 다음은 간지(干支)를 나타낸 것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서라벌, 대치)
子 丑 寅 卯 辰 巳 □ 未 申 酉 戌 亥
8. 다음 한자어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접미사를 쓰시오. (남대문, 수서)
時事□, 公正□
9. 다음 밑줄 친 한자에 유의하여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성사, 언남)
(1) 車道………( )
(2) 人力車……( )
10. 다음 한자어들의 공통적인 짜임을 쓰시오. (역삼, 휘문)
言論 公正 正直 報道
1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독음해 보시오. (장충여, 보인)
驚蟄에는 얼었던 대동강 물도 풀린다.
주관식 기출문제
1. 五穀, 季節
2. 정
3. 參百貳拾壹
4. 究
5. 春分, 秋分, 夏至, 冬至
6. 항복하다
7. 午
8. 性
9. (1) 차도 (2) 인력거
10. 유사관계
11. 경칩
⑤ 小
28. 밑줄 친 한자의 뜻이 같은 한자는 ? (창일, 대청)
① 降服② 季節
校服 節水
③ 處理④ 滿月
處所 滿面
⑤ 冬至
至大
29. 음을 이용하여 자전을 찾으려고 한다. 가장 먼저 나오는 글자는 ?
① 穀② 吉 (명지여, 신천)
③ 氣④ 暑
⑤ 處
30. 한자어의 해석이 바르지 못한 것은 ? (이수, 고려사대부속)
① 大暑 : 큰 더위② 品質 : 물품의 종류
③ 重刑 : 무거운 형벌④ 霜降 : 서리가 내리다.
⑤ 元氣 : 원래 타고난 기운
31. 다음 주어진 한자와 가장 관계 깊은 것은 ? (한양, 하계)
生物 物理 化學 工學
① 美術② 文學
③ 體育④ 科學
⑤ 音樂
用
32. 다음 한자와 어울려 쓰일 수 없는 것은 ? (풍납, 경희)
① 活② 綠
③ 善④ 信
⑤ 食
33. 다음 중, 한자어의 풀이가 바르지 못한 것은 ? (숙명여, 한강)
① 干城 : 나라를 지키는 군인
② 再活用 : 다시 활용하다.
③ 百戰百勝 : 싸울 때마다 이기다.
④ 實習 : 실제로 익혀 배우다.
⑤ 五穀百果 : 다섯 가지 곡식과 백 개의 과일
34. 다음 중, 그 의미가 가장 넓은 것은 ? (대명, 신창)
① 風習② 宗敎
③ 文化④ 衣食
⑤ 言語
35. 다음 중 한자의 부수가 다른 것끼리 짝지어진 것은 ? (진선여, 서초)
① 情, 感② 記, 論
③ 筆, 等④ 放, 防
⑤ 送, 通
36.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뜻이 바른 한자어는 ? (과천문원, 신반포)
① 通信 : 믿다② 時事 : 섬기다
③ 報告 : 알리다④ 公正 : 여러
⑤ 放送 : 막다
37. ‘報道’에서 ‘道’의 뜻은 ? (방학, 강동)
① 길② 가다
③ 말하다④ 도리
⑤ 방법
38. ‘傳’과 어울려 된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 (선화예술, 반포)
① 傳來② 傳達
③ 傳通④ 傳記
⑤ 口傳
39. 다음 중 한자가 바르게 쓰이지 못한 것은 ? (마포여, 아주)
① 신문 : 新問② 윤리 : 倫理
③ 정보 : 情報④ 원칙 : 原則
⑤ 사실 : 事實
40. 다음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수 있는 한자는 ? (세륜, 잠신)
□金, 出□, 再□, □在
① 記② 情
③ 現④ 何
⑤ 事
41. ‘公正報道’의 짜임은 ? (서연, 신암)
① 유사 관계② 수식 관계
③ 주술 관계④ 술목 관계
⑤ 대립 관계
핵심기출문제 ………
1. ③
형성자
雨 + 相 →서리(상)
(뜻) (음)
2. ③
3. ①
‘’→집과 관련된 뜻을 갖는다.
4. ②
봄, 여름, 가을, 겨울
5. ⑤
6. ④
7. ③
▶본래 부수 알기
→ 火 → 水
8. ①
▶한자의 뜻 알기
正=直
9. ④
▶한자의 여러 가지 음과 뜻
車 수레 거
차 차
10. ③
모양이 비슷한 한자에 주의할 것.
11. ③
수식 관계, 유사 관계, 대립 관계의 한자어는 해석 순서가 우리말 어순과 같고, 술목 관계, 술보 관계의 한자어는 해석 순서가 우리말 어순과 반대이다.
12. ⑤
13. ②
美→羊, 血→제부수
14. ⑤
⑤ 魚-貝(어패) : 대등 관계
15. ①
① 낙원 ② 음악 ③ 악곡
④ 요산 ⑤ 악기
16. ③
無道人之短(무도인지단) : 남의 단점을 말하지 말라.
17. ②
事(사) : 일, 섬기다.
① 사업 ② 사친 ③ 사실
④ 사무 ⑤ 사고
18. ④
자연은 말 없는 스승이다.
형설의 공 → ‘之’의 쓰임
① 가다(동사)② 체언+~ : ~의
③ 용언+~ : ~하는④ 그것
19. ⑤
(강)내리다
降
(항)항복하다
降旗 : 항복의 뜻을 나타내는 흰 기
20. ①
① 부국 강병② 기술 개발
③ 공해 방지④ 탐구 정신
⑤ 산림 녹화
21. ③22. ①23. ②24. ⑤
25. ④26. ①
27. ③
‘至’와 ‘雨’는 제부수 글자이다.
28. ④
服 : 항복하다, 옷 복
節 : 마디, 아끼다, 계절, 절기
處 : 살다, 처리하다, 곳, 처하다
滿 : 가득하다, 차다
至 : 이르다, 지극하다
29. ①
30. ②
‘元’은 ‘으뜸’이라는 뜻으로도 쓰이지만 ‘본디, 본래’의 뜻으로도 쓰인다.
31. ④32. ②
33. ⑤
⑤ 오곡백과 : 다섯 가지 곡식과 온갖 과일
34. ③
35. ④
▶한자의 부수 알기
放(=)
防(=阜)
36. ③
알맞은 접미사 적용하기
시대적 사회적 성격
공평하고 올바른 경향
37. ③
▶한자의 뜻 알기
道 : 길, 도리, 말하다
38. ③
▶한자 활용하기
뜻으로 낱말이 이루어지는가 살펴본다.
通 : 통할 통
統 : 계통 통
39. ①
▶한자 바르게 쓰기
新聞(신문) : 새로운 소식
40. ③
뜻으로 낱말이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본다.
41. ②
▶한자 성어의 짜임
公正 報道 : 공평하고 올바른 보도
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한자로 써 보자. (아현, 신사)
가을은 오곡 백과가 무르익는 계절이다.
2. 다음 한자들의 공통적인 음을 쓰시오. (신정여, 가원)
正 情 淨 定 政
3. 다음 숫자를 갖은자로 쓰시오. (경희, 방배)
321원
4. A : B가 같은 짜임이 되도록 □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마포, 언주)
A : B
開=發 硏=□
5. 다음 ( ) 안에 알맞은 절기를 한자로 쓰시오. (천호, 일신여)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節氣는 ( )과 ( )이고, 낮의 길이가 가장 긴 節氣는 ( )이며, 밤이 가장 긴 節氣는 ( )이다.
6. ‘降服’에서 ‘服’의 뜻을 쓰시오. (천호, 일신여)
7. 다음은 간지(干支)를 나타낸 것이다.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서라벌, 대치)
子 丑 寅 卯 辰 巳 □ 未 申 酉 戌 亥
8. 다음 한자어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접미사를 쓰시오. (남대문, 수서)
時事□, 公正□
9. 다음 밑줄 친 한자에 유의하여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성사, 언남)
(1) 車道………( )
(2) 人力車……( )
10. 다음 한자어들의 공통적인 짜임을 쓰시오. (역삼, 휘문)
言論 公正 正直 報道
11. 다음 밑줄 친 부분을 독음해 보시오. (장충여, 보인)
驚蟄에는 얼었던 대동강 물도 풀린다.
주관식 기출문제
1. 五穀, 季節
2. 정
3. 參百貳拾壹
4. 究
5. 春分, 秋分, 夏至, 冬至
6. 항복하다
7. 午
8. 性
9. (1) 차도 (2) 인력거
10. 유사관계
11. 경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