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친족 간에 사이좋게 지내기
2 조상에 대한 예절
2 조상에 대한 예절
본문내용
전하고 행복한 나라를 물려주신 조상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진다.
▶
⑤우리가 보다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조상을 숭배해야 한다.
조상을 종교와 같이 숭배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
[용어의 이해] ★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지 쓰시오.음복
제례의 마지막 절차라고 할 수 있으며, 제사가 끝난 후에 가족들이 둘러앉아 제사를 지내고 난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조상께서 주신 복을 얻는다는 뜻을 가진 행위를 말한다.
음복
[제사] ★★
다음과 같은 주장의 의미를 두 가지로 해석할 때 그 두 가지에 해당하는 것은? ②, ③
제사는 공동체 의식의 표현이다.
① 모든 가족 구성원이 지켜야 할 공통의 절차이다.
▶
②친족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가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③조상이 우리와 함께 더불어 살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이다.
④제사를 통해 조상에 효도함으로써 자기 후손들에게 효도를 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된다.
⑤제사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함으로써 서로 돕는 상부상조 전통을 계승할 수 있다.
제사는 뿌리를 기리는 의식이다. 제사를 지내면서 한 뿌리에서 태어난 후손들이 모여 조상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좋은 기회를 가지게 된다.
[미풍양속에 관한 책] ★
다음에서 설명하는 책의 이름은 무엇인지 쓰시오. 오륜행실도
조선 후기에 양반들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널리 유교적 미풍양속을 권장하고 사람됨의 길을 밝혀주기 위해 그림과 한문, 한글, 시 등을 수록하여 모든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책이다. 이 책은 옛날부터 모범이 되었던 효자 충신 열녀 등의 인물을 뽑아서 그들의 행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알기 쉽게 나타내었다.
오륜행실도
[용어의 이해]
다음은 오늘날 일반 가정에서 지내는 제사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 각각에 대해 그 명칭을 두 글자씩 순서대로 쓰시오. (가) 기일제(기제) (나) 차례
(가)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로서, 돌아가신 조상과 그 배우자를 함께 제사 지낸다.
(나)설날, 한식, 한가위 등의 명절에 지내는 제사로서 대체로 설날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지내고 한식과 한가위 때에는 조상의 묘지를 찾아가 성묘와 함께 지낸다.
(가) 기일제(기제) (나) 차례
[조상에 대한 예절]
다음 내용에서 설명하고 있는 조상에 대한 예절은? ③
조상에 대한 ‘효’의 마음을 계속 표시하기 위한 의식 절차이다.
자기 존재의 근원에 대한 보답으로서 종교 이전의 문제이며, 미신과도 구별되어야 한다.
▶
①관례②혼례③제례
④약혼⑤효도
제사는 뿌리를 기리는 의식이다.
[오륜행실도] ★
‘오륜행실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②
①조선 정조 21년에 편찬한 책이다.
▶
②양반의 사람됨을 밝히기 위한 책이다.
③유교적 미풍 양속을 권장하기 위해 편찬하였다.
④효자, 충신, 열녀 등의 행실을 모범으로 삼았다.
⑤그림, 한문, 한글, 시 등을 수록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편찬하였다.
조선 후기에 양반들 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널리 유교적 미풍양속을 권장하고, 모든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책
[조상에 대한 올바른 예절]
다음 글을 근거로 볼 때 조상에 대한 올바른 예절 생활로써 바른 것은? ④
조상은 오늘날 나를 있게 한 근원이며, 우리의 땅과 역사와 문화를 이룩한 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①조상들이 남긴 문화재를 잘 보존한다.
②외적의 침입으로부터 이 땅을 잘 지킨다.
③조상들을 욕되게 하지 않는 삶을 살도록 한다.
▶
④조상들이 남겨놓은 전통을 잘 가꾸고 계승 발전시킨다.
⑤조상의 은혜와 사랑에 감사하며 제사를 잘 지낸다.
조상을 섬기는 자세의 기본은 조상들의 뜻을 기리고 그 분들이 남긴 모든 것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다.
▶
⑤우리가 보다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해 조상을 숭배해야 한다.
조상을 종교와 같이 숭배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
[용어의 이해] ★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지 쓰시오.음복
제례의 마지막 절차라고 할 수 있으며, 제사가 끝난 후에 가족들이 둘러앉아 제사를 지내고 난 음식을 나누어 먹는 것으로 조상께서 주신 복을 얻는다는 뜻을 가진 행위를 말한다.
음복
[제사] ★★
다음과 같은 주장의 의미를 두 가지로 해석할 때 그 두 가지에 해당하는 것은? ②, ③
제사는 공동체 의식의 표현이다.
① 모든 가족 구성원이 지켜야 할 공통의 절차이다.
▶
②친족들이 한 자리에 모여 서로가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③조상이 우리와 함께 더불어 살고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이다.
④제사를 통해 조상에 효도함으로써 자기 후손들에게 효도를 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된다.
⑤제사비용을 공동으로 부담함으로써 서로 돕는 상부상조 전통을 계승할 수 있다.
제사는 뿌리를 기리는 의식이다. 제사를 지내면서 한 뿌리에서 태어난 후손들이 모여 조상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 좋은 기회를 가지게 된다.
[미풍양속에 관한 책] ★
다음에서 설명하는 책의 이름은 무엇인지 쓰시오. 오륜행실도
조선 후기에 양반들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널리 유교적 미풍양속을 권장하고 사람됨의 길을 밝혀주기 위해 그림과 한문, 한글, 시 등을 수록하여 모든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책이다. 이 책은 옛날부터 모범이 되었던 효자 충신 열녀 등의 인물을 뽑아서 그들의 행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알기 쉽게 나타내었다.
오륜행실도
[용어의 이해]
다음은 오늘날 일반 가정에서 지내는 제사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다. (가)와 (나) 각각에 대해 그 명칭을 두 글자씩 순서대로 쓰시오. (가) 기일제(기제) (나) 차례
(가)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는 제사로서, 돌아가신 조상과 그 배우자를 함께 제사 지낸다.
(나)설날, 한식, 한가위 등의 명절에 지내는 제사로서 대체로 설날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지내고 한식과 한가위 때에는 조상의 묘지를 찾아가 성묘와 함께 지낸다.
(가) 기일제(기제) (나) 차례
[조상에 대한 예절]
다음 내용에서 설명하고 있는 조상에 대한 예절은? ③
조상에 대한 ‘효’의 마음을 계속 표시하기 위한 의식 절차이다.
자기 존재의 근원에 대한 보답으로서 종교 이전의 문제이며, 미신과도 구별되어야 한다.
▶
①관례②혼례③제례
④약혼⑤효도
제사는 뿌리를 기리는 의식이다.
[오륜행실도] ★
‘오륜행실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②
①조선 정조 21년에 편찬한 책이다.
▶
②양반의 사람됨을 밝히기 위한 책이다.
③유교적 미풍 양속을 권장하기 위해 편찬하였다.
④효자, 충신, 열녀 등의 행실을 모범으로 삼았다.
⑤그림, 한문, 한글, 시 등을 수록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편찬하였다.
조선 후기에 양반들 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들에게까지 널리 유교적 미풍양속을 권장하고, 모든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책
[조상에 대한 올바른 예절]
다음 글을 근거로 볼 때 조상에 대한 올바른 예절 생활로써 바른 것은? ④
조상은 오늘날 나를 있게 한 근원이며, 우리의 땅과 역사와 문화를 이룩한 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①조상들이 남긴 문화재를 잘 보존한다.
②외적의 침입으로부터 이 땅을 잘 지킨다.
③조상들을 욕되게 하지 않는 삶을 살도록 한다.
▶
④조상들이 남겨놓은 전통을 잘 가꾸고 계승 발전시킨다.
⑤조상의 은혜와 사랑에 감사하며 제사를 잘 지낸다.
조상을 섬기는 자세의 기본은 조상들의 뜻을 기리고 그 분들이 남긴 모든 것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