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생균근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생균근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라는 독특한 뿌리구조를 만들고, 균환을 이루면서 생장함.

균근은 송이와 소나무 사이의 물잘교환의 매개체 역할을 담당함.

송이는 소나무의 광합성 산물인 탄수화물을 절대적으로 의존하면서 살아감.
균환은 송이를 만드는 모체로 송이 균사체가 땅속에서 도넛모양을 하면서 매년 10~20cm 정도씩 자람.


송이는 20년생 전후의 소나무에서부터 80~90년생까지 다양한 연령에서 발생함.

기상인자 중에서 수분과 온도가 송이발생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줌.

토양은 양질사토, 사양토, 양토 등 산성(pH 4.5~5.5) 조건에서 잘 발생함.

송이는 땅속에서 원기(어린 버섯)가 만들어져서 땅을 뚫고 밖으로 나오며, 원기는 대개 3cm 내외, 부식층과 낙엽층을 합치면 6cm 내외에 위치함.

송이 원기의 깊이는 부식층과 낙엽층 두께가 두꺼울수록 땅속 얕은 곳에 있고, 부식층과 낙엽층이 없을수록 땅속 깊은 곳에 있음.

∴ 낙엽층을 긁어 줄수록 더 깊은 곳에서 버섯이 나오므로 우량 품질을 가짐.

송이가 지면에 보이기 시작, 5~6일이 지나면 1등품 상태의 모양 형성되어 채취적기임.

지면에 노출된 지 7일째부터 갓이 벌어지기 시작하여 8~10일에는 턱받이가 완전히 자루에서 떨어지고, 이 때 버섯의 자루길이 생장은 급격히 떨어져 정지함.
11~13일에 버섯의 갓은 자루와 수직을 이루면서 갓이 뒤집어지기 시작.

갓이 벌어지면서 포자들은 공기 중으로 산포되어 새로운 버섯을 만들기 위하여 소나무뿌리에 정착함.

■ 송이 균근 송이 는 소나무 뿌리에 비분지형의 균근을 만듬.

송이 균근을 형성한 소나무 뿌리는 뿌리털이 발달하지 않고, 옅은 적갈색이 짙은 암갈색이나 검정색으로 변함.

균근의 크기 직경이 276~435㎛, 균투는 15㎛ 미만,
피층은 50~70㎛임.
균근의 앞쪽은 균투와 내부의 세포간균막이 매우 잘 발달하고, 통도조직에는 균사들이 발견되지 않음.

균근의 중간부분에서부터는 쇠약해지는 모습의 뿌리조직과 균투발달이 미약하고 세포간균막은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음.

원뿌리와 균근을 연결해주는 뿌리는 매우 가늘고, 보통의 뿌리구조이나 피층세포가 매우 단순하게 발달하여 균사침입은 없고, 중간 중간에 마디모양의 무늬가 있음.
직경은 170~225㎛, 마디무늬의 원직경은 270~300㎛, 두께는 45~90㎛.
이 마디모양의 무늬는
송이 균근에서만 관찰되는 매우 독특한 것.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1.22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