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자의 쓰임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2. 핵심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음과 뜻이 모두 바른 것은 ? (장충여, 보인)
① (악) 악기② (락) 즐기다
③ (요) 좋아하다④ (악) 즐기다
⑤ (락) 좋아하다
7. 밑줄 친 ㉢에서 서술어를 찾아 쓰시오. (역삼, 휘문)
8. 다음 중, ‘立志’와 짜임이 같은 것은 ? (성사, 언남)
① 水淸② 愛國
③ 明月④ 貧富
⑤ 憂患
9. 다음 중,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 (남대문, 수서)
日入□西山 : 해는 서쪽 산으로 진다.
① 而② 則
③ 於④ 也
⑤ 雖
10. ‘男兒須讀五車書’와 가장 잘 통하는 것은 ? (서라벌, 대치)
① 多讀② 精讀
③ 速讀④ 通讀
⑤ 音讀
11. 다음 문장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천호, 일신여)
精神一到면, 何事不成이리오.
① ‘정신이 한곳에 이르면, 어떤 일이 이루어지지 않겠는가?’의 뜻이다.
② ‘何~不’은 ‘비록~더라도’로 풀이한다.
③ 독음은 ‘정신일도하사불성’ 이다.
④ 문장의 형식은 반어형이다.
⑤ 문장의 구조는 주술 확장 구조이다.
【12~19】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子ⓐ不談父㉡之㉢過 (나) □臣ⓑ不㉣事二君
12. (가) 문장의 기본 구조만 쓰시오. (마포, 언주)
13. 밑줄 친 ⓐ와 ⓑ의 독음을 구별하여 쓰시오. (경희, 방배)
14. 밑줄 친 ㉠ ‘子’의 뜻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신정여, 가원)
① 아들② 자식
③ 스승④ 그대
⑤ 사람
15. 밑줄 친 ㉡의 새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아현, 신사)
① ~의② ~하는
③ ~이④ ~에서
⑤ ~와
16. ‘過’의 뜻이 밑줄 친 ㉢과 같은 것은 ? (서연, 신암)
① 過去② 過食
③ 過失④ 過客
⑤ 過年
17. 밑줄 친 ㉣과 뜻이 같은 것은 ? (세륜, 잠신)
① 事親② 人事
③ 事前④ 農事
⑤ 事業
18. (가) 문장을 우리말로 풀이할 때, 맨 나중에 새기는 글자를 쓰시오.
(마포여, 아주)
19. (나)에서 □안에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 (선화예술, 반포)
① 忠② 孝
③ 仁④ 義
⑤ 禮
20. ‘於’의 쓰임이 다음과 같은 것은 ? (방학, 강동)
氷水爲之 而寒於水
① 孔子問禮於老子② 霜葉紅於二月花
③ 月出於東山④ 孝子揚名於後世
⑤ 先生敎詩於學生
21. 다음 글이 나타내고자 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과천문원, 신반포)
尾生이 與女子로 期於橋下한대, 女子不來어늘,
水至不去라가, 拘橋柱而死라.
① 禮節② 正直
③ 信義④ 秩序
⑤ 忠誠
22. 다음의 문장 중, 한자가 바르게 쓰인 것만 고른 것은 ? (배재, 둔촌)
(가) 약속을 충실히 지키고자 그 곳을 放問하였다.
(나) 차일피일 미루다 開學이 다 되어서야 끝냈다.
(다) 誠功은 희망과 의지의 산물이다.
(라) 시는 吟味하듯 천천히 낭송해야 한다.
(마) 화복은 恒常 자신의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
① (가), (나), (다)② (다), (라), (마)
③ (가), (다), (마)④ (나), (라), (마)
⑤ (다), (라), (마)
핵심기출문제 ………
【1~4】
(가) 아이가 책을 읽다.
(나) 남자 아이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1. ④
①③ : 술보, ② : 주술
⑤ : 병렬
2. ②
兒 ∥ 讀┃書
3. 讀
男 兒 ∥ 須 讀 ┃ 五車 書
4. ①
① 마차 ② 정거장
③ 거마비 ④ 인력거
⑤ 자전거
【5~7】
슬기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5. ④
6. ③
樂 (악) 음악
(락) 즐기다
(요) 좋아하다
7. 樂
8. ②
① 주술 ② 술목
③ 수식 ④ 대립
⑤ 유사
9. ③
‘於’의 쓰임
10. ①
사내아이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11. ②
何~不 : 어찌 ~하지 않겠는가?
반어형 : 의문의 형식을 빌어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문장의 구조 표시
□□ ∥ □ □ □ □ ∥□□
【12~19】
(가) 자식은 부모의 허물을 말하지 않는다.
(나)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
12. 子 談 過
子∥不談┃父之 過
13. ⓐ부, ⓑ불
‘不’은 ‘ㄷ,ㅈ’앞에서의 독음이 ‘부’이다.
14. ②
15. ①
之(지)┌─ ~의 (하는)
├─ ~이(~가)
└─ 가다
16. ③
①④ : 지나다
② : 너무
⑤ : 지나다, 넘기다
17. ①
事(사) ┌─ 일
└─ 섬기다
18. 不
서술어를 맨 나중에 새기는데, 부정사는 그보다 더 나중에 새긴다.
19. ①
임금을 섬길 때 행해야 하는 것.
20. ②
‘於’의 용법 : ‘~에게, ~보다, ~에서, ~에’ 등으로 쓰인다. 얼음은 물이 (변해서)된 것이지만, 물보다 차다.
21. ③
미생은 여자와 더불어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했는데, 여자가 나타나지 않고, 때마침 비가 와서 물에 잠기게 되었다. 그러나 가지 아니하고 다리 기둥을 안고 죽었다.
22. ④ 방문 : 訪問 성공 : 成功
1. ‘盡人事待天命’에서 맨 나중에 풀이되는 글자를 찾아 쓰시오. (언남, 노곡)
2. 다음 한자들의 공통적인 뜻을 1자의 우리말로 쓰시오. (남서울, 언주)
讀, 談, 許, 話
3.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서문여, 명일여)
우리는 휴식 시간이면, 담소의 꽃을 활짝 피운다.
4. 다음 문장의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온곡, 아주)
精神一到면 □事不成이리오.
5. 다음 문장에서 ‘於’와 ‘乎’의 뜻을 풀이하라. (당산서, 고덕)
(1) 揚名於後世 (2) 莫大乎尊親
6. 다음을 기본 구조만 갖춘 문장이 되도록 고쳐 쓰시오. (수서, 노원)
積善之家必有餘慶
7. ‘少年易老學難成’에 담긴 속뜻을 쓰시오. (상계, 남서울)
8. 오륜 중에서 “벗과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에 해당하는 것을 쓰시오. (경원, 과천)
9. 다음을 한문으로 바꾸어 쓰시오. (잠신, 서초)
사람의 마음이 가장 깊다.
10. 다음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청운, 역삼)
(1) 호수에 떠 있는 落葉을 보면서 지난날을 추억한다.
(2) 떠나 온 故鄕을 그리며 망향의 노래를 불렀다.
주관식 기출문제 ………
1. 待
2. 말
3. 休息, 時間, 談笑
4. 何
5. (1) ~에 (2) ~보다
6. 家有慶
7. 젊은 시절에 부지런히 공부하라.
8. 朋友有信
9. 人心最深
10. (1) 낙엽 (2) 고향
① (악) 악기② (락) 즐기다
③ (요) 좋아하다④ (악) 즐기다
⑤ (락) 좋아하다
7. 밑줄 친 ㉢에서 서술어를 찾아 쓰시오. (역삼, 휘문)
8. 다음 중, ‘立志’와 짜임이 같은 것은 ? (성사, 언남)
① 水淸② 愛國
③ 明月④ 貧富
⑤ 憂患
9. 다음 중,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는 ? (남대문, 수서)
日入□西山 : 해는 서쪽 산으로 진다.
① 而② 則
③ 於④ 也
⑤ 雖
10. ‘男兒須讀五車書’와 가장 잘 통하는 것은 ? (서라벌, 대치)
① 多讀② 精讀
③ 速讀④ 通讀
⑤ 音讀
11. 다음 문장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천호, 일신여)
精神一到면, 何事不成이리오.
① ‘정신이 한곳에 이르면, 어떤 일이 이루어지지 않겠는가?’의 뜻이다.
② ‘何~不’은 ‘비록~더라도’로 풀이한다.
③ 독음은 ‘정신일도하사불성’ 이다.
④ 문장의 형식은 반어형이다.
⑤ 문장의 구조는 주술 확장 구조이다.
【12~19】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子ⓐ不談父㉡之㉢過 (나) □臣ⓑ不㉣事二君
12. (가) 문장의 기본 구조만 쓰시오. (마포, 언주)
13. 밑줄 친 ⓐ와 ⓑ의 독음을 구별하여 쓰시오. (경희, 방배)
14. 밑줄 친 ㉠ ‘子’의 뜻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신정여, 가원)
① 아들② 자식
③ 스승④ 그대
⑤ 사람
15. 밑줄 친 ㉡의 새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아현, 신사)
① ~의② ~하는
③ ~이④ ~에서
⑤ ~와
16. ‘過’의 뜻이 밑줄 친 ㉢과 같은 것은 ? (서연, 신암)
① 過去② 過食
③ 過失④ 過客
⑤ 過年
17. 밑줄 친 ㉣과 뜻이 같은 것은 ? (세륜, 잠신)
① 事親② 人事
③ 事前④ 農事
⑤ 事業
18. (가) 문장을 우리말로 풀이할 때, 맨 나중에 새기는 글자를 쓰시오.
(마포여, 아주)
19. (나)에서 □안에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 (선화예술, 반포)
① 忠② 孝
③ 仁④ 義
⑤ 禮
20. ‘於’의 쓰임이 다음과 같은 것은 ? (방학, 강동)
氷水爲之 而寒於水
① 孔子問禮於老子② 霜葉紅於二月花
③ 月出於東山④ 孝子揚名於後世
⑤ 先生敎詩於學生
21. 다음 글이 나타내고자 하는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과천문원, 신반포)
尾生이 與女子로 期於橋下한대, 女子不來어늘,
水至不去라가, 拘橋柱而死라.
① 禮節② 正直
③ 信義④ 秩序
⑤ 忠誠
22. 다음의 문장 중, 한자가 바르게 쓰인 것만 고른 것은 ? (배재, 둔촌)
(가) 약속을 충실히 지키고자 그 곳을 放問하였다.
(나) 차일피일 미루다 開學이 다 되어서야 끝냈다.
(다) 誠功은 희망과 의지의 산물이다.
(라) 시는 吟味하듯 천천히 낭송해야 한다.
(마) 화복은 恒常 자신의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
① (가), (나), (다)② (다), (라), (마)
③ (가), (다), (마)④ (나), (라), (마)
⑤ (다), (라), (마)
핵심기출문제 ………
【1~4】
(가) 아이가 책을 읽다.
(나) 남자 아이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1. ④
①③ : 술보, ② : 주술
⑤ : 병렬
2. ②
兒 ∥ 讀┃書
3. 讀
男 兒 ∥ 須 讀 ┃ 五車 書
4. ①
① 마차 ② 정거장
③ 거마비 ④ 인력거
⑤ 자전거
【5~7】
슬기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5. ④
6. ③
樂 (악) 음악
(락) 즐기다
(요) 좋아하다
7. 樂
8. ②
① 주술 ② 술목
③ 수식 ④ 대립
⑤ 유사
9. ③
‘於’의 쓰임
10. ①
사내아이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11. ②
何~不 : 어찌 ~하지 않겠는가?
반어형 : 의문의 형식을 빌어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문장의 구조 표시
□□ ∥ □ □ □ □ ∥□□
【12~19】
(가) 자식은 부모의 허물을 말하지 않는다.
(나)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
12. 子 談 過
子∥不談┃父之 過
13. ⓐ부, ⓑ불
‘不’은 ‘ㄷ,ㅈ’앞에서의 독음이 ‘부’이다.
14. ②
15. ①
之(지)┌─ ~의 (하는)
├─ ~이(~가)
└─ 가다
16. ③
①④ : 지나다
② : 너무
⑤ : 지나다, 넘기다
17. ①
事(사) ┌─ 일
└─ 섬기다
18. 不
서술어를 맨 나중에 새기는데, 부정사는 그보다 더 나중에 새긴다.
19. ①
임금을 섬길 때 행해야 하는 것.
20. ②
‘於’의 용법 : ‘~에게, ~보다, ~에서, ~에’ 등으로 쓰인다. 얼음은 물이 (변해서)된 것이지만, 물보다 차다.
21. ③
미생은 여자와 더불어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을 했는데, 여자가 나타나지 않고, 때마침 비가 와서 물에 잠기게 되었다. 그러나 가지 아니하고 다리 기둥을 안고 죽었다.
22. ④ 방문 : 訪問 성공 : 成功
1. ‘盡人事待天命’에서 맨 나중에 풀이되는 글자를 찾아 쓰시오. (언남, 노곡)
2. 다음 한자들의 공통적인 뜻을 1자의 우리말로 쓰시오. (남서울, 언주)
讀, 談, 許, 話
3. 다음 밑줄 친 단어를 한자로 쓰시오. (서문여, 명일여)
우리는 휴식 시간이면, 담소의 꽃을 활짝 피운다.
4. 다음 문장의 □안에 알맞은 한자를 쓰시오. (온곡, 아주)
精神一到면 □事不成이리오.
5. 다음 문장에서 ‘於’와 ‘乎’의 뜻을 풀이하라. (당산서, 고덕)
(1) 揚名於後世 (2) 莫大乎尊親
6. 다음을 기본 구조만 갖춘 문장이 되도록 고쳐 쓰시오. (수서, 노원)
積善之家必有餘慶
7. ‘少年易老學難成’에 담긴 속뜻을 쓰시오. (상계, 남서울)
8. 오륜 중에서 “벗과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뜻에 해당하는 것을 쓰시오. (경원, 과천)
9. 다음을 한문으로 바꾸어 쓰시오. (잠신, 서초)
사람의 마음이 가장 깊다.
10. 다음 밑줄 친 한자어의 독음을 쓰시오. (청운, 역삼)
(1) 호수에 떠 있는 落葉을 보면서 지난날을 추억한다.
(2) 떠나 온 故鄕을 그리며 망향의 노래를 불렀다.
주관식 기출문제 ………
1. 待
2. 말
3. 休息, 時間, 談笑
4. 何
5. (1) ~에 (2) ~보다
6. 家有慶
7. 젊은 시절에 부지런히 공부하라.
8. 朋友有信
9. 人心最深
10. (1) 낙엽 (2) 고향